▶ 그누보드를 이용한 노프레임 구조 설명 ◀ > 그누3 팁자료실

매출이 오르면 내리는 수수료! 지금 수수료센터에서 전자결제(PG)수수료 비교견적 신청해 보세요!

그누3 팁자료실

▶ 그누보드를 이용한 노프레임 구조 설명 ◀ 정보

HTML ▶ 그누보드를 이용한 노프레임 구조 설명 ◀

본문

그누보드를 이용한 노프레임 구조 설명입니다... (2_60~~2_61버젼 동일)
처음 그누보드를 설치 하시는 분들을 위한 설명이라 테이블 구조를 간단하게 해서 설명했습니다..      
시험 삼아 한번 따라해보면 다음엔 좀더 복잡한 구조를 구현 할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주의)head.php, foot.php, 파일을 따로 때어낼시 드림위버나 나모등의 툴을 사용하면 전체화면
       테이블 구조가 깨질수 있습니다.
       이유는 나모나 드림위버는 테이블 구조를 강제로 끊을시 자동으로 붙여버리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메모장이나 워드패드, 에디터플러스, 울트라에디트, 등의 툴을 사용하기 바랍니다..

head.php, foot.php, 이 파일들은 굳이 이와 같은 이름을 가질 필요는 없지만, 단지 전체틀과 상관 관계가 있기 때문에
확장자 명을 php로 한것이지 다른 이유는 없습니다... 즉 파일 이름은 자기가 원하는 대로 만들면 됩니다....

또 한가지 더...
그림에 보이는 게시판 관리자 부분에 적용된것은
head.php, foot.php 이 파일은 index.html 파일과 같은 경로에 있을 때 입니다.
만약 head.php, foot.php 파일이 다른 디렉토리 상에 있을 경우 경로를 다르게 해주어야 겠지요....
프레임으로 나누어진 인트로 페이지 일경우 (2-62 버전)
../head.php
../foot.php
====================================================================================
2-63 버젼에서는 [상]head.php ,  [하]tail.php 부분이 압축파일 안에 있습니다...
그리고 index.php 파일을 보면 아래와 같은 부분이 있습니다...
index.html 파일 만들시 반드시 아래부분이 들어가야 하며, 만약 프레임으로 나눈
index.html 파일일 경우 [위쪽 include($gnu_path . 'head.php');]과
                                [아래쪽 include($gnu_path . 'tail.php');]을 빼고 사용하셔야 합니다.
[위쪽]
include($gnu_path . 'lib.php');

$html_title = "그누보드";
include($gnu_path . 'head.sub.php');
include($gnu_path . 'head.php');
?>
[아래쪽]
<?
include($gnu_path . 'tail.php');
include($gnu_path . 'tail.sub.php');
?>
노프레임 구조 원리는 위와 같으니 참고 하세요........
추천
10

댓글 전체

훗~~~bbking님~~~!!
아주 상세하구~~쉬운설명~~~
한마디로 굳입니다~~~^^
초보자들은 무지 쉬워 지겠네요~~~^^
저두 저폼 맹근다구 첨엔 무지 애 썻는뎅~~~^^
여러분의 칭찬 고맙습니다....
여기서 많은 도움을 받았기에 조금이나마 또 다른 이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한것인데 이렇게 많은 칭찬을 해주시니
고맙습니다......
서명에 쓰인 고사성어는
不怨天 不尤人 下學而上達 知我者 其天乎
"부원천 부우인 하학이상달 지아자 기천호" 라" 이 글의 출전은 논어에 나오는 글입니다..
하늘을 원망하지 않고 사람을 허물하지 않으며, 밑으로 배워 위로 통달하니 나를 아는 사람은 하늘 뿐이다라는 뜻을 가집니다.

◈하학상달(下學上達)◈

아래하, 배울학, 윗상, 통달할 달
[출전] 논어

1) 아래로는 인간의 事理를 배우고,위로는 하늘의 道理를 통함. 2) 가까운 데부터 배워서 점차 깊은 학문에 나아감.

學은 지식을 배우는 글공부 같은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가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실천하는 공부를 말한다.

공자의 제자 子夏(자하)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남의 착한 것을 착하게 여기기를 어여쁜 이성을 어여쁘게 생각하듯 하며, 부모를 힘을 다해 섬기고, 임금을 몸을 바쳐 섬기며, 친구와 말하여 진실됨이 있으면, 비록 배우지 못했다 말하더라도 나는 반드시 배웠다고 말한다.

또 같은 편에서 "먹는데 배부른 것을 찾지 않고, 거처한는데 편한 것을 찾지 않으며 일에 민첩하고 말에 조심하여 도있는 사람에게 나아가, 옳고 그른 것을 바로잡으면 배움을 좋아한다고 말할 수 있다." 고 했다.

즉, 세상 사람들이 말하는 공부보다도 실천을 통한 수양이 참다운 배움이란 것을 강조한 것이고 모두가 생활을 통한 향상을 배움이라고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유교는 행동을 통해 하늘을 아는 종교인 것이다. 불교와 같은 사색을 위주로 진리를 깨치는 것도 아니며, 기독교와 같이 덮어놓고 하늘에만 매달리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유교는 행동을 위주로 하는 관계로 속세적인 현실주의로 타락하는 경향을 띠고 있다. 즉 하학이 주가 되고 상달이 무시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공자는 자신을 가리켜 "하늘을 원망하지 않고 사람을 허물하지 않으며, 밑으로 배워 위로 통달하니 나를 아는 사람은 하늘 뿐이다 " 라고 했다. 공자는 진리를 스스로 깨달아 알 게 할 뿐 , 알지 못하는 사람에게 이를 궃이 알리려 하는 일은 없었다.



참조)
유가(儒家)의 성전(聖典)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사서(四書)의 하나로, 중국 최초의 어록(語錄)이기도 하다. 고대 중국의 사상가 공자(孔子)의 가르침을 전하는 가장 확실한 옛 문헌으로, 공자와 제자와의 문답을 주로 하고, 공자의 발언과 행적, 그리고 고제(高弟)의 발언 등 인생의 교훈이 되는 말들이 간결하고도 함축성있게 기재되었다.
【명칭과 편자】 《논어》라는 서명(書名)은 공자의 말을 모아 간추려서 일정한 순서로 편집한 것이라는 뜻인데, 누가 지은 이름인지는 분명치 않다. 편자에 관해서는 숭작참(崇爵讖)의 자하(子夏) 등 64제자설(六四弟子說), 정현(鄭玄)의 중궁(仲弓)·자유(子游)·자하(子夏)설, 정자(程子)의 증자(曾子)·유자(有子)의 제자설, 그 밖에 많은 설이 있으나 확실치 않다. 현존본은 <학이편(學而篇)>에서 <요왈편(堯曰篇)>에 이르는 20편으로 이루어졌으며, 각기 편 중의 말을 따서 그 편명(篇名)을 붙였다. <학이편>은 인간의 종신(終身)의 업(業)인 학문과 덕행을, <요왈편>은 역대 성인의 정치 이상을 주제로 한 것처럼, 각 편마다 주제가 있기는 하나, 용어가 통일되지 않았고 같은 문장의 중복도 있다. 특히 전반(前半) 10편을 상론(上論), 후반을 하론(下論)이라고 하는데, 그 사이에는 문체나 내용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브라우저 창에 보이는 부분인거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html파일 상단 부분에 타이틀 제목 들어가는 부분인거 같더군요..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title>제목</title>---->이 부분인거 같습니다.....
</head>
<body>
<p>&nbsp;</p>
</body>
</html>
설치할때 그 부분을 자기가 사용하는 홈페이지 제목을 넣으면 브라우저 창 상단 좌측 부분에 보여 지더군요...
안녕하세요? bbking님...^^
잘보입니다.....

echo head("그누보드") 는 어떤 작용을 합니까?
궁금해서요......

불?천 불?인 변(?하?)학이상달(?) 지화(아)자 기천호라.......<----이거두 뜻이 궁금해요........

상세한 설명 감사합미다....
음~~ 그림파일 가로 크기가 게시판 설정 582픽셀 이하 인거 같아 그림속 글자들이 조금 찌그러 지는군요..
보기에 크게 무리가 없으리라 생각 됩니다만..... 어떨지 모르겠군요///
전체 5

회원로그인

(주)에스아이알소프트 / 대표:홍석명 / (062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7-34 한신인터밸리24 서관 1404호 / E-Mail: admin@sir.kr
사업자등록번호: 217-81-363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2014-서울강남-02098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김민섭(minsup@sir.kr)
© SIR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