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막한 설계 팁 정보
짧막한 설계 팁본문
여러 AI를사용하시는 경우 유용하게 활용 가능할거라 생각됩니다.
대화형모델로 우선 논의
[내가 원하는 큰 그림 과 작은 부분들을 상세하게 알려줍니다.]
EX. 나는 nginx 와 파이썬 fastapi를 연동해서 간단한 웹호스팅 도구를 만들고싶어.
1. 일단 OS는 어떤 것이며, 외부인지 내부인지.
2. 일단 사용하는게 nginx랑 fastapi만 있는지 php 8.4 등을 설치하는지?
3. 프레임워크 기반인지 순수 구현인지.
4. DB는 sql lite 인지 mysql 또는 mariadb인지.
5. 독립설정을 어떻게하고, ssl은 어떻게 할건지?
6. nssm 등을 이용해 서비스 로 간편화 등을 할건지?
큰 틀이랑 내가 생각하는 작은 틀을 제시하고 대화로 정리하면서 논의를 하고 전체설계도를 마크다운으로 만듭니다.
다시, 새로운 대화를 열어서 마크다운을 제시하고 더욱더 논의를 하면서 단계별로 어떤식으로 어떤걸중점으로. 예를들어 함수 네임규칙이나 psr 스타일적용이나, 주석을 활용한다던가 하는 세부적인 규칙들에 대해서 더욱더 논의하고 단계별 프롬프트를 만듭니다.
대략 2개 ~ 3개의 md 를 만들었다면 이제 커서ai든 깃헙카피롯이든 클로드데스스크탑이든 해당 md를 mcp로 참조하게 하거나, 규칙을 정하거나 매번 응답시마다 첨부하거나 해서 단계별로 직접 세부 컨트롤을 해주시면됩니다.
대충 "진행해" 라고 하면 뭘 진행해야할지 잘 모르거나 잘못된 순서로 인해불일치가 생기고. 함수중복남발이 생기며 역할에 따른 그런게 명확해지지 않습니다.
mvc라면 확실한 모델경로, 뷰어경로, 컨트롤러 경로 를 정해줘야하고 각 클래스 정의들도 다 미리미리 만들어주고 그걸 기반으로 만들게하거나, 스키마를먼저만들고 스키마구조에 따라 순서에 맞게 만들도록 세부적으로 해야 단시간안에 빠르게 결과물을 만들더라구요.
물론 디버그를 해야하긴합니다만 그것도 맡기는것보다는 로컬 ai들 임배드 모델을 활용해보는것도 좋고 5000 급 정도 보유중이라면 파인튜닝 해보는것도 재밌더랍니다.
정리하면
규칙, 스타일 , 역할 , 순서만 잘 잡아주면 최소의 토큰으로 최대의 효율을 뽑을 수 있습니다.
0
댓글 2개

움~ 물론 맞는 말씀 입니다.
저의 경우는 프로젝트 가이드 마크다운 파일을 프롬프팅 하면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이러면 시간이 지날수록 해당 프로젝트를 견고히 할수 있습니다.

오래 사용하다보니.. 이제는 프롬프트를 잘 생성해주는 도구들을 옆에 두고서 사용하게 되네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