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의 카드 결제 정보
각국의 카드 결제
본문
Q/A에 올라온 질문 https://sir.kr/qa/387293 에 갑자기 궁금해 져서..
한국의 카드 시스템도 VAN이라는 (PG) 회사를 통해서 결제가 됩니다.
대략 트랜잭션당 얼마나 금액에 대한 %를 먹는 것 같습니다.
https://sir.kr/main/landing/kcpevent2020/
여기에서 몇 %를 가져가는 형태겠죠 (맞는지 안맞느지는 모름 ㅎㅎ)
미국은 한국과 같은 VAN(?)회사가 있습니다. 틀린점은 원가는 정해져 있지만, 각각의 사용자(가게)에 다른 %가 적용된다는 것입니다. 보통 이런 조직을 (ISO, MSP라고 합니다.)
온라인에서 강한 곳이 Stripe, Square 가 MSP라고 보시면됩니다. 이런 곳은 API를 주면서 카드 프로세싱까지 합니다.
authorize.net은 이런 다양한 MSP를 연결하는 모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나 미국은 서버도 미국에 있어야 되고, 미국 법인이이 있어야 됩니다. (테러방지 및 불법 돈세탁 방지.)
그래서 해외 결제는 Eximbay (컨텐츠 몰에 모듈도 판매중) 등을 한국에서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일본 또는 각나라의 온라인 결제 시스템은 어떻게 되나요?
댓글 9개


수수료는아마 비슷할것이고 API연계방식으로 건당의 수수료로 책정되어있습니다..
https://stripe.com/jp/pricing 를 번역해가면 참고하시면 될듯합니다....
그이외에 가장 일반적으로 쇼핑몰(일본에서는보통 넷샵,EC사이트라고 합니다.)에 사용되는 결제모듈은 아래 사이트를 번역하셔서 참고하시면 될듯합니다......
https://www.ec-cube.net/product/alliance.php/

너무 많아서 골르기 힘들겠네요. 2.0-4.0대응이라고하는 아마존 페이, SB페이먼트, VeriTrans정도가 그냥 눈에 띄네요.
일본에서는 수수료를 나눠주는(영업을 해서 이익실현) 그런 곳도 있나요? (여러회사들중에서..)

※수수료를 나눠주는(영업을 해서 이익실현)는 구체적으로 어떤걸말씀하시는건가요?
2차결재업체를 말씀하시는건가요?


결재대행업체는 많이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러고보니 제가 2000년즈음에 결재업체를만들어 결재대행을 하려고 제안서를만들어서
여기저기 투자자모집하러 다니던 생각이나네요~~~~~~
결국 투자금모으는데 실패해서.........덮었지만........그때 결재대행업체를 했더라면~지금쯤~~~~~ㅋㅋㅋ


기계로 하는일인데도 그렇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