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누보드6 실서비스를 위한 웹서버설정 후 > .env파일을 수정 > 서버를 재시작 >>

그누보드6 실서비스를 위한 웹서버설정 후 > .env파일을 수정 > 서버를 재시작 >>

QA

그누보드6 실서비스를 위한 웹서버설정 후 > .env파일을 수정 > 서버를 재시작 >>

답변 2

본문

-

- "누보드6 실서비스를 위한 웹서버설정" 후, .env파일을 수정하고 서버를 재시작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

- "그누보드6 실서비스를 위한 웹서버설정"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 .env파일을 수정하고 서버를 재시작  하는 것이 되는 것 같습니다.

-

아파치 서버( https://glitter.kr/apm/ )와 같이 사용 중입니다.

-

저의 .env 파일은 아래와 같습니다. 

../base2/.env  -- 그누보드6의 WorkingDirectory(DocumentRoot) : ../base2/ 


# DB_Setting
DB_TABLE_PREFIX='g5_'
DB_ENGINE='mysql'
DB_USER='glitter2'
DB_PASSWORD='*******'
DB_HOST='localhost'
DB_PORT=3306
DB_NAME='glitter2'
DB_CHARSET = "utf8mb4"
 
# (True/False)
APP_IS_DEBUG = "True"
 
#
SESSION_COOKIE_NAME = "session"
SESSION_SECRET_KEY='**************'
 
#  SMTP_USERNAME="***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이메일주소 노출방지 ***"
SMTP_SERVER="smtp.gmail.com"
SMTP_PORT=25
SMTP_USERNAME="***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이메일주소 노출방지 ***"
SMTP_PASSWORD="**************"
 
# /admin/templates/
ADMIN_THEME = "basic"
 
# "False" /
IS_RESPONSIVE = "True"
 
UPLOAD_IMAGE_RESIZE = "False"
# MB
UPLOAD_IMAGE_SIZE_LIMIT = 60
# px
UPLOAD_IMAGE_RESIZE_WIDTH = 1200
# px
UPLOAD_IMAGE_RESIZE_HEIGHT = 2800
# (0~100) default 80
UPLOAD_IMAGE_QUALITY = 100
 
COOKIE_DOMAIN='.glitter.kr:66'
 
TIME_ZONE = "Asia/Seoul"

-

"그누보드6 실서비스를 위한 웹서버설정"을 하기전에 사용하던 서버 재시작-실행을

'실서비스 설정' 후에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

현재, "그누보드6 실서비스를 위한 웹서버설정"후 사용( http://glitter.kr:66 ) 중이며

 메일서버를 정상적으로 작동 할 수가 없는 상태로

 G5에서 DB도 옮겨 왔으나, 멜썹을 작동할 수가 없어, G6로 이사하던 중, 주춤한 상태입니다.

-

제가 할 수 있는 방법을 여러모로 사용하였으나, 다음과 같은 에러가 계속 발생합니다.


(venv) root@HumanpcNAS:/mnt/VOL1/base2# uvicorn main:app --reload --host 0.0.0.0 --port 66
INFO:     Will watch for changes in these directories: ['/mnt/VOL1/base2']
 ERROR:    [Errno 98] Address already in use 
(venv) root@HumanpcNAS:/mnt/VOL1/base2#

-

== 조언 부탁드립니다.

-

이 질문에 댓글 쓰기 :

답변 2

/mnt/VOL1/base2/start.sh


cd /mnt/VOL1/base2
sudo -H -u root bash -c 'echo "pw" | sudo -S python -m venv venv && source venv/bin/activate'
source venv/bin/activate
pip install -r requirements.txt
sudo uvicorn main:app --reload --host 0.0.0.0 --port 66 &

시스템 시작시 /mnt/VOL1/base2/start.sh 이 파일을 호출해야 합니다.

ex)/etc/rc.local


#! /bin/sh
/mnt/VOL1/base2/start.sh

sudo -s python3 => sudo -S python3
로 대문자로 해 보세요. 그리고 시스템이 어떤 것 인지 몰라서 잘 모르겠습니다.
시작/재 시작이 잘되지 않더라도 따로 킬 한 후 시작하면 되어야 하는데요..
시놀로지 나스 테스트 페이지 https://kimmgl.synology.me http://kimmgl.synology.me:8000

네이버 메일이 있으면

SMTP_SERVER="smtp.naver.com"
SMTP_PORT=465
SMTP_USERNAME="아이디.com"
SMTP_PASSWORD="비밀번호"

이렇게 넣고 하면 잘 됩니다.
지메일은 잘 안되네요..

    ※ 필자가 얻은 결론 요약 ※

 

!. Server에 Secure Shell(SSH)로 접속하여, 현재 열려 있는 모든 TCP 및 UDP 포트를 리스트 확인 -

!. 이 예시의 Server_SSH 사용자는 root이다. -명령 접두어(sudo) 생략 됨.

 

네트워크 연결과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정보 확인 - 


netstat -tuln
lsof -i -P -n

 

!. uvicorn이 실행되고 있는 port(필자의 uvicorn port : 66)를

아래의 명령어로 열어 uvicorn 명령어의 PID 숫자를 확인 후, 

sudo kill -9 <PID 숫자>으로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 시킨다.


lsof -i :66
kill -9 <PID>

 

!. uvicorn서버 재시작 - uvicorn.service 설정(백그라운드 실행)을 마친 경우 -


systemctl daemon-reload
systemctl restart uvicorn.service
systemctl status uvicorn.service
답변을 작성하시기 전에 로그인 해주세요.
QA 내용 검색
질문등록
전체 124,746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