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 개발자팁

개발자팁

개발과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세요.
질문은 QA에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메모리 정보

Linux 메모리

본문

 메모리

14.1 메모리 관리
초창기 컴퓨터부터 메모리 관리 시스템은 운영체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중의 하나이다.

14.1.1 가상 메모리
메모리를 필요로 하는 프로세스들 사이에 메모리를 공유토록 하여 시스템이 실제 가진 것보다 더 많은 메모리를 가진 것처럼 보이게 하는 기법이다.
하드 디스크의 일부를 마치 확장된 RAM처럼 사용한다.
물리적 메모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기법중의 하나이다.
가상적인 메모리로 쓰이는 하드디스크의 영역을 스왑이라 한다.

14.1.2 스와핑
비어있는 물리적 메모리가 없을 때 운영체제가 물리적 메모리에서 다른 페이지를 제거하여 공간을 마련한다.
물리적 메모리에서 제거될 페이지가 변경되었을 때 재사용을 위해 보존된다.
리눅스에서는 시스템에서 제거될 페이지를 다루기 위해 가장 최근에 사용되지 않은(Least Recently Used, LRU) Page Aging 기법을 사용한다.

14.2 캐시(Cache)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해두는 장소이다.
최근에 요구한 정보를 재 요청할 때 캐시로부터 가져와 속도 개선과 부담 감소

14.2.1 메모리 관련 캐시
1) 버퍼 캐시
2) 페이지 캐시
3) 스왑캐시
4) 하드웨어 캐시

14.3 스왑 공간의 생성 -  swapfile
시스템을 운영하다 보면 설치시 설정했던 swap 공간이 부족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램을 추가시킬 수 있지만 하드디스크의 여유공간을 이용해서 스왑공간을 만들어 활용할 수 있다.
kernel은 최대 8개의 swap partitions을 지원하고, 단일 파티션에서 2 기가를 넘지 못한다.
[root @edu00 linux]#dd if=/dev/zero of=/swap bs=1024 count=10240 
: if는 input file의 의미, of는 output file의 의미
[root @edu00 linux]#file /swap
[root @edu00 linux]#mkswap /swapfile 10240
: 스왑공간을 설정, 커널이 가상 메모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만 마친 상태이다.
[root @edu00 linux]#file /swap
[root @edu00 linux]#free
: 스왑의 상황을 모니터링한다.
: top 명령이나 /proc/meminfo 파일에서도 같은 정보를 볼 수 있다.
[root @edu00 linux]#chmod 600 /swap
[root @edu00 linux]#swapon /swap
: 커널에게 해당 공간을 스왑으로 사용됨을 지정
[root @edu00 linux]#free
[root @edu00 linux]#swapoff /swap
: 스왑 공간의 사용을 중지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
추천
0

댓글 0개

전체 5,397
개발자팁 내용 검색

회원로그인

(주)에스아이알소프트 / 대표:홍석명 / (062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7-34 한신인터밸리24 서관 1402호 / E-Mail: admin@sir.kr
사업자등록번호: 217-81-363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2014-서울강남-02098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김민섭(minsup@sir.kr)
© SIR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