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백업 어떤 방식으로 하는 게 좋은지요...?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데이터 백업 어떤 방식으로 하는 게 좋은지요...? 정보

데이터 백업 어떤 방식으로 하는 게 좋은지요...?

본문



안녕하세요... (__)

저는 그냥 가정에서 데스크탑과 노트북을 이용하는 라이트유저인데

얼마 전에 뜻밖에 외장하드가 고장나서 크게 곤란을 겪은 뒤

백업의 중요성을 느끼게 되어서요... ㅜ


회사나 전문가분들은 전문기기나 raid, nas(?)같은 것을 이용해서 백업을 하시지만

일반인 수준에서 백업을 한다면 어떤 방식으로 하는 게 좋을지요...?;


제가 생각해본 것은

1. 하드드라이브를 통으로 쓰지 않고 여러 파티션으로 나누어 사용한다

2. 토렌트처럼 하드에 무리를 주는 프로그램은 별도 전용하드에서 사용한다

3. 파워는 용량이 큰 것을 사용한다

4. 외장하드는 충격을 받지 않도록 뽁뽁이로 싸서 보관한다

5. 엔드라이브나 구글드라이브를 사용해서 중요파일을 복사해둔다

6. 하드를 추가구입해서 중요파일을 복사해둔다


혹시 이 외에 다른 좋은 방법이 있을지요...?; ㅜ



추천
0
  • 복사

댓글 10개

다음클라우드 + 드롭박스 이용중입니다.
근데 용량이 살살 부족해져서 Nas 생각중이에요.
iptime nas2e 15만 정도에 하드 2tb 끼면 30만원 안에 나만의 웹 클라우드를 만들수 있더라고요;;
근데 역시 30만원은 비싸서;; ㅠ
저도 노트북 유저인데요,
저의 경우는 하드 파티션을 나눠서 백업공간으로 사용하고
별도로 N드라이브에도 함께 백업을 해 놓습니다..
저전력 컴터한대 세팅해놓고(나스개념) 거기에 넣어둡니다. 그 컴은 하드두개달아서 주기적으로 미러링 해요

1번 파티션 나누는것은 어차피 한 하드에서 왔다갔다 하는거라.원본 보존차원에서라면 모를까. 사고대비에는 의미가 없구요
2,3번은 백업과 무관한듯 싶구요^^
4번. 충격보호는 되겠지만 뽁뽁이는 정전기가 많아요. 되려 뽁뽁이 감싸고 풀르고 하다가 정전기로 하드 사망할지도.
5번. 너무 느려요. 계정 털리면 내 자료도 털리니까. 그냥 쇼셜에 올릴만한 사진같은거 외에는 비추
6. 제일 좋은방법 같습니다.
백업은 별거 없고. 중요한것을 다른곳에 사본떠놓는걸 잘하는게 백업이죠.
하드 두개달아서 레이드 돌리던가
나스 따위로 스캐쥴링 하기. 이런거는 사본뜨기를 편하고 자동으로 하게끔 하기위한거구요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