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맵 api 키값을 받지 않고 그냥 써도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구글 맵 api 키값을 받지 않고 그냥 써도 정보

구글 맵 api 키값을 받지 않고 그냥 써도

본문

그간 구글 맵 v.3.0이후로는 api 키값을 받지 않고 그냥 써도 된다라고 은연중에 알고 있었는데 그게 아닌가 보네요. 상용으로 사용시에는 개별 프로젝트 생성해서 키값을 받아 사용해야 한답니다.(무료는 일일 25000건 이내로 사용가능)

 

아 근데 구글 api 개발자센터 불편하네요.

중요한 문서는 한글 번역문이 없어요. 

추천
0
  • 복사

댓글 23개

http://maps.google.co.kr/maps/api/js?v=3.2&sensor=false
네 가능은 합니다.(25000건)

단 상용 이용시 프로젝트 건 별로 키값은 생성해 써야 하더라구요. 관리자에서 과금 과정이 보여져야 해서요.
빨간색 보니
------------------------------------------
Static Maps API, and the StreetView Image API
에 대해서면 적용된다고 적혀 있어요.

즉, JS 로 지도이미지 생성하는 사이트와 로드뷰만요.
------------------------------------------

이거 몇년 전에 봤던 기억이 있는데, 2013 년에 강화 되었네요.

단, 2011 년 이후 부터 시행된 트래픽이 많은 사이트는
키를 별도로 받아야 하나봐요.
Static Maps API이걸 묶으면 일정 쿼리 이상은 과금하겠다라는 방침이 아닐까요? 그리고 대부분 웹에서는 js로 지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있으니 무료라기 보다는 유료라고 해석되네요.

저도 이참에 구글 api 지도를 보면서 v.1이후 많은 것들이 바뀌어서 어리둥절 하고 뭐가 뭔지 모르겠네요. 봉사 문고리 잡는 심정으로 보고 있습니다.

아참 무료 25000회는 그리 많이 주는 것은 아닌걸로 보여집니다. 새로고침 한번 할 때마다 1회를 잡으니.
Static Maps  <---- 이게 js 로 요구하면
이미지로 만들어서 Return 해주는 방식으로 알고 있구요

일반적인 방식은 다음맵, 네이버맵 같은 방식으로 Static Maps 과는
다른 방식(서비스)으로 알고 있어요.

단, 일반맵( 다음맵 같은것  )의 경우라 할지라도 일정량 이상의 트래픽을
요구하는 경우는 키를 받으라고 알고 있구요

사유가
이미지로 생성하는 지도은 이미지로 변환할때
CPU 와 램을 많이 사용해서 제한을 걸수밖에 없는걸로 알고 있고

일반맵(다음맵 같은것)은 전세계 이미지를 하나의 통이미지로 만들어서
캐쉬에 다 올려놓고, 서비스하니 부담이 적거든요....방식은 아시다 싶이
위성에서 촬영한 좌표 부분만 캐쉬에  Update 시켜 주는 방식이라....
https://developers.google.com/maps/licensing?hl=ko
이걸 봐서는 알려주신 내용과 반대 되는 해석으로 보여지네요.

------------------------------------------
Static Maps API, and the StreetView Image API
에 대해서면 적용된다고 적혀 있어요.

즉, JS 로 지도이미지 생성하는 사이트와 로드뷰만요.
------------------------------------------
짧은 지식으로 해석한거지만

If your website surpasses 25,000 map loads per day for 90 consecutive days
Google will attempt to contact you with information about payment options

90 일 동안 거의 매일 25,000 횟수 만큼의 맵을 로드 한다면 돈 내라네요.....
http://sir.co.kr/qa/?page=16&s_tag=%EA%B7%B8%EB%88%84%EB%B3%B4%EB%93%9C5&wr_id=14119&vsst=lastet

정리하고 자야겠습니다. 관심 주셔서 감사하구요. 성과있는 밤 되세요.
일반맵은 링크거신 페이지에 없어요......제한이 없다라는 얘기

오로지
https://developers.google.com/maps/usagelimits/

On April 8, 2011, Google announced usage limits on the Google Maps API for high traffic websites. These limits have been enforced since September 23, 2013 and apply to the Google Maps JavaScript Maps API v3, the Static Maps API, and the StreetView Image API.

입니다....제가 위의 뎃글에 적은것.....
마티즈 번호판좀 보고 있었는데 그새 댓글을 다셨네요.ㅎㅎㅎ

본문에 좀 주목해 주셨으면...

"상용으로 사용시...."

--------------------------------------
그냥 제가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무료서비스 유료서비스를 구분에 요금을 묻겠다라는 것과 api를 사용하는 유료서비스는 일정 쿼리 이상에 대해 요금에 묻겠다.
--------------------------------------

제가 내일 관련한 미팅이 있어서 되지도 않는 영어실력으로 구글번역기와 함께 또는 착하신 분들의 한글 포스팅을 보며 얻은 내용입니다.

무료서비스를 하는 곳인데도 일정 쿼리 이상에 대한 요금은 물을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드는 내용도 간간히 보여지기도 하구요.

https://developers.google.com/maps/faq?hl=ko#usage_calculated

위에 언급하신 내용이 저도 헷갈리는 부분이기는 합니다. 일정쿼리 이상 90일은 api지도를 이용한 무료 컨텐츠도 돈을 물리겠다는 건지 어쩌자는 건지가요.

아래는 링크지의 내용입니다. 번역기를 돌리는 통에 정확한 내용이 잡히지가 않아 영어가 되시는 분이 한번 보시고 해석 한번 해주셨으면 합니다.

----------------------------------------
How will excess usage by a site be calculated and billed?

Excess usage over the usage limit for each Maps API service is calculated at the end of each day. If your site generates excess usage every day for 90 consecutive days we will notify you that you need to respond in one of the following ways:
•Modify your Maps API application such that the number of map loads generated per day is below the usage limit for each Maps API service that your application uses;
•Enroll for automated billing of excess map loads in the Google Developers Console; or
•Purchase a Google Maps API for Work license

If you chose to enable billing you will need to provide your credit card details. Your excess usage will continue to be calculated at the end of each day, and the total charged to the credit card provided at the end of every month, priced as given below.

----------------------------------------

아래는 2011년도 글인데 현재의 정책과 맞는 글인지가 의문이라 일단 자료에서는 빼고 2014년 이후 문서들만을 기준으로 했습니다. 물론 제 자의적 해석이 많기는 하구요.

http://raftwood.net/blog/3973
예에..본문글을 보고서 뎃글을 작성한거였구요...
작정하고 뒤져 보았는데
몰랐던 내용이 있는걸 이제야 알았습니다.

과거에 대부분 개발했던 사이트들은 지도에 모두 오픈된거라
생각을 않 했었는데, 아래의 링크를 보니 제한을 걸면
트래픽과 별도로 과금이있다라는걸 이제야 알았습니다.

2014 년 7 월에 작성된것이라 맞을것 같다라는 생각이예요

http://m.todayhumor.co.kr/view.php?table=programmer&no=4528

[여담]
GNU 라는 미명하에, 저 자신을 너무 설치게한것 같다라는 생각이 들어서
이제는 기술적인 부분에 대해서 가급적 얘기 않하도록 노력 하겠습니다.
이러다 좋은분들과 앙숙 될것 같다 라는 생각이
어제와 오늘 크게 느껴져서...

진짜 기분 나쁘지 않으셨으면 하구요,
내일 미팅에서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라겠습니다...(ㅡㅡ)(__)
너무 깊은 생각을 하시는 듯 하네요. 논란의 여지가 있는 구글 편의의 정책이라 유연성이 많은 부분같습니다. 제작업체 입장에서의 이러한 규정이나 약관에 대한 태도라는 것이 자칫 이윤과 연관되어지지도 않으면서 기획단계에서 부터 깨지고 들어 가는 사안이라 제가 선 자리에서의 자의적 해석인 부분도 있었습니다.

벤지님이 속이 여리신분이라 댓글이 이어지는 내내 우려했던 부분인데 결국 그러셨던 모양입니다. 저야 뭐...원채 보신용 똥개 인성이라 출근전 까지도 별 생각없다가 글을 보니 제 기분도 조금 그렇네요.

좋은 하루 되시고 서로 바쁜일 끝나면 한번 아무 용건없이 한번 뵈었으면 합니다.
이게 논란의 여지가 많은 내용이라 질문차원에서 내용을 요약정리해봅니다.

1. 만일 "Google api map"를 사용해 무료 컨텐츠를 제공한다면 애드센스나 기타 사이트 수익이 될만한 광고를 실었을 때에 요금을 묻게 될까요? 이건 애드센스를 달아 보시는 분들이나 기타 제휴광고를 유치한 회원님들이 궁굼해하실 문제라 묻는 내용입니다.

2. 유료컨텐츠를 운영하는 사이트에서 "Google api map"를 사용하지만 단순 컨텐츠를 보완하는 형태를 띄고 있으면서 무료 사용자에게도 보여진다면 이건 유료(비지니스)로 전환해 사용해야 하는 문제인지와 인트라넷과(내부망)에도 같이 사용할 시 프로젝트 단위별 서버 아이피 등록 방식에서 구분되어지게 2개의 아이피를 사용해야 하는지도 의문입니다.


구글의 모든 서비스는 아주 일방적인 서비스들이라 애매모한 규정에 걸려도 일방적으로 짤리기가 쉬운 내용이기에 제작업체 입장에서 아주 조심스럽게 다가서야 할 내용이고 인터넷에 떠도는 문서들이 서로 상이한 내용들이 많아 혼란스러워서 올려봅니다.

일단 저는 내일 업체 미팅에서 확실하고 손해보지 않을 가이드 라인을 제시할 생각이기는 합니다.
저는 몰라서 내용을 보고도 답변을 못 드렸는데요.
생각을 한 번 담아 보겠습니다.

1. 지불해야 한다 생각합니다.
2. 유료전환이 맞을 것 같고요. 2개 아이피 사용하셔야 할 것 같아요.
저도 구글api 키받고 해석하고 번거럽기도 하고 홈페이지 하나 만들때마다 키값을 받기도 뭐하고 해서 키값 없이 사용할 수 있는 daum api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왠지 다음도 그닥 믿음은 가지 않고 그렇더라구요. 그리고 다음지도는 다음 지도가 아닐거에요. 그쪽도 지도는 임대하는 형식이던가 해서 출력해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지도가 그래도 너무 이쁘고 관련 문서가 체계적이라 관리는 잘 되고 있더라구요. 구글은 한국 너무 무시하는 경향이 있어 좀그렇더라구요.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