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몬사이트 기획 정보
티몬사이트 기획본문
http://www.ticketmonster.co.kr/
티켓몬스터 사이트인데 겉으로만봐서 어떤어떤 기능이 들어갔는지모르겠네요
일단은 공동구매 사이트인거같은데 혹시 이런사이트 개발해보신분 조언좀 주세요
개발금액은500정도 생각하고잇습니다
티켓몬스터 사이트인데 겉으로만봐서 어떤어떤 기능이 들어갔는지모르겠네요
일단은 공동구매 사이트인거같은데 혹시 이런사이트 개발해보신분 조언좀 주세요
개발금액은500정도 생각하고잇습니다
추천
0
0
댓글 11개
좋은정보 얻어갑니다

외람된 얘기이지만 자칫 기획자게시판이, 소위.. 제작관련 문의에 있어 가장 까다로운 의뢰문의 건들로 채워지고.. 무상 분석을 해드리는 곳이 되진 않을까 하는 우려가 되는데요? ^^;;
우선 질문에 있어, 경험유무를 떠나 실질적인 답이 되려면, 누가됐든 일정부분 분석 시간을 할애하여 답을 드려야 한다는 것과, 필요하다면 소정의 기획료를 감안하며 분석 의뢰하는 게 낫겠다는 생각입니다. 왜냐하면, 이것이 카깡님께서 중요하게 준비하시는 프로젝트라면 더할 나위 없이 그런 것이고, 일반적으로 가볍게 답변드릴 수 있는 단편적이거나 엉뚱한 답 보다는 낫기 때문이겠지요.
엄밀히 말해, 제가 기획을 하고 제작을 하는 입장이라면 500만원 예산 수준에 해당 사이트와 같이 잘 모르는 아이템으로의 접근은 논하는 자체가 오류라는 생각입니다. 물론, 통상적으로 이것저것 생각하면서 현황 파악을 위해 대략 문의하는 경우가 많겠습니다만, 이런 경우 묻는 사람도 응하는 사람도 결과적으로 비효용을 초래할 수 밖에 없지 않은가 싶습니다.
우선 질문에 있어, 경험유무를 떠나 실질적인 답이 되려면, 누가됐든 일정부분 분석 시간을 할애하여 답을 드려야 한다는 것과, 필요하다면 소정의 기획료를 감안하며 분석 의뢰하는 게 낫겠다는 생각입니다. 왜냐하면, 이것이 카깡님께서 중요하게 준비하시는 프로젝트라면 더할 나위 없이 그런 것이고, 일반적으로 가볍게 답변드릴 수 있는 단편적이거나 엉뚱한 답 보다는 낫기 때문이겠지요.
엄밀히 말해, 제가 기획을 하고 제작을 하는 입장이라면 500만원 예산 수준에 해당 사이트와 같이 잘 모르는 아이템으로의 접근은 논하는 자체가 오류라는 생각입니다. 물론, 통상적으로 이것저것 생각하면서 현황 파악을 위해 대략 문의하는 경우가 많겠습니다만, 이런 경우 묻는 사람도 응하는 사람도 결과적으로 비효용을 초래할 수 밖에 없지 않은가 싶습니다.
제가 생각이 짦았습니다 큰기대는 안했는데 그래도 즐콘님께서 좋은정보를 주셔서 걱정을 덜었네요 프리야님의 말씀 새겨듣겠습니다
프리야님 말씀에 동감입니다.
일단, 사이트는 소셜커머스입니다. 관련 자료로 기본 스킬을 먼저 알아보셔야 할듯^^
일단, 사이트는 소셜커머스입니다. 관련 자료로 기본 스킬을 먼저 알아보셔야 할듯^^
감사합니다 즐콘님께서 올려주신 솔루션사이트와 조인중입니다

업체 쪽에서는 100명을 모으면 얼마에 해주겠다 이런 식으로 사이트에 제의를 하고, 사이트에서는 SNS를 이용해 싼 가격에 살 구매자들을 모아주는 대신에 약간의 수수료를 받아가는 방식인가요? 말만 많이 들어봤지 직접 본 건처음이네요.
ㅋㅋ 그러게요 저도 의뢰받고 저사이트 가입하고 한참 돌아봤는데 뭐하는곳인지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참조: http://news.mt.co.kr/mtview.php?no=2010100410511547871&type=1
저도 얼마전에 의뢰받아서 좀 체크했었는데...흠~
저도 얼마전에 의뢰받아서 좀 체크했었는데...흠~
판매자와 구매자들의 사이에서 피해없이 잘 조율하여 연결해준다면, 사용될 곳은 무궁무진한 것 같습니다.

소셜 커머스의 일종인 티켓몰 이네요.
목표인원을 설정하고 달성시 공급업체와 딜을 한 원가에서 판매 수수료를 얻는 수익구조 입니다.
업체에서 사전에 매입한 후 공급단가에서 마진율을 붙여 판매하는 방식과, 총 판매금액에서 일정 수수료를 뺀 나머지를 역정산 해주는 방식이 통상적인 구조입니다.
물론 목표인원 미달시에는 해당 딜은 무효되며 기존에 결제한 고객들은 자동 환불처리됩니다.
미국 시카고에서 시작된 그루폰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알고있습니다.. ^^
목표인원을 설정하고 달성시 공급업체와 딜을 한 원가에서 판매 수수료를 얻는 수익구조 입니다.
업체에서 사전에 매입한 후 공급단가에서 마진율을 붙여 판매하는 방식과, 총 판매금액에서 일정 수수료를 뺀 나머지를 역정산 해주는 방식이 통상적인 구조입니다.
물론 목표인원 미달시에는 해당 딜은 무효되며 기존에 결제한 고객들은 자동 환불처리됩니다.
미국 시카고에서 시작된 그루폰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알고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