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호환성과 접근성??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웹호환성과 접근성?? 정보

웹호환성과 접근성??

본문

개인적으로 궁금한점이 있는데.

이제 내년부터 모든 웹사이트들이 웹접근성을 지키게

작업을해야하잖아요.. 안지키면 벌금문다는데..

궁금한게.. 아는분중 조그만 에이전시 하시는분있는데

가끔 일도와주는데 마크업등등.. 웹접근성은 고려하지 말고

무조건 크로스무라우징만 지키라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이미지같은것두 통이미지로 자르고..

흠흠... 이렇게 작업할경우.. 나중에

다시작업을 해야하지 않을가해서요..ㅡㅡ

그냥 그렇게 하라고 해서 도와주긴했는데.

퍼블리싱 작업하시는분들중 어떻게 작업을하신지 궁금하네요..



추천
0

댓글 6개

통이미지로 쓰느냐 잘게 나누느냐는 웹 접근성과 무관합니다. 통이미지를 써도 IR 기법 등으로 대체 텍스트를 제공하면 오히려 웹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이미지를 잘게 나눠놓고도 의미있는 마크업을 하지 않으면 웹 접근성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웹 접근성이 장차법 때문에 부각이 되었지만, 단순히 장애인에 대해 대응한다는 시각보다는, 디바이스와 브라우저에 대응한다는 더 넓은 시각에서 바라볼 때는 크로스 브라우징도 웹 접근성 향상을 도모하는 방법이긴 합니다. 다만 지금처럼 크로스 브라우징'만' 지킬 경우에는 나중에 다시 뒤엎어서 작업을 해야 할 공산이 매우 큽니다.
글을 써놓고 다시 읽어보니 마지막 줄이 애매하네요. 크로스 브라우징이 어려운 경우는 보통 스타일 먹이면서 브라우저마다 서로 다른 랜더링 방식 때문인 경우가 대부분인데... 제 글은 참고만 하세요. ㅠ
제가 이해한
"가끔 일도와주는데 마크업등등.. 웹접근성은 고려하지 말고
무조건 크로스무라우징만 지키라고 하더라고요."

이 말의 의미는 일단 크로스 브라우징을 먼저 완성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인것 같네요.
가끔 어떤 업체에서 크로스 브라우징이 안되는 것에 민감한 곳이 몇군데 있었습니다.

저도 분명한것은 만들기 전에는 접근성을 많이 고려하지만,
실제로 만들때는 크로스 브라우징의 기준을 놓고 접근성을 작업합니다.
"접근성으로 구조화시키고 크로스 브라우징으로 구현한다." 라고 생각합니다. ㅎ
통 이미지일 경우
전 hidden 으로 내용을 전부 스크린리더로 확인가능하게 따로 작업을해주는 편이에요
psd txt 가져다가 붙여 넣는 경우가...
여려가지 방식이 있지만 img+hidden 으로 사용해요~
현재로써는 비표준이 너무 많이 대중화 된 상태에서 크로스브라우징의 의미는 단순히 모든 브라우저에서 똑같이 보이게.. 라는 것 그 이상은 없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표준의 필요성을 몸소 느끼고 있으신 분들의 선행노력과 새로이 HTML을 접하는 분들께서 웹표준을 익혀감에 따라 크로스브라우징은 의미가 점차 확대되어 "웹표준" 이라는 큰 테두리 안에 당연한 결과로 자리 잡을 것이라 생각되네요..
감사합니당.ㅜㅜ 제가 생각하기에도 웹표준 웹접근성 웹호환성 모든게 같이 이루어져서 작업이 되야 한다고 생각이 드는데 아는분은 크로스브라우징만 지키라고 이래서 궁금해서 질문하엿습니다.ㅎ
전체 199,641 |RSS
자유게시판 내용 검색

회원로그인

(주)에스아이알소프트 / 대표:홍석명 / (062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7-34 한신인터밸리24 서관 1402호 / E-Mail: admin@sir.kr
사업자등록번호: 217-81-363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2014-서울강남-02098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김민섭(minsup@sir.kr)
© SIR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