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센스와 CPC 광고의 궁금한점 정보
애드센스와 CPC 광고의 궁금한점본문
안녕하세요 애드센스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뉴스 기사에 보면 일베 사이트가 페이지뷰가 하루 일억건에 정도 되며
서비 운영 비용이 월 1억에 가까울 것이고 애드센스와 같은 광고 수익이 2000만원 정도 예상한다는
기사가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애드센스와 같은 광고는 운영 비용을 따라오지 못한다는 말인데
그말은 포털에서 운영하는 블로그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사이트를 운영한다면 트레픽이 증가될수록
마이너스가 된다는 말인데 이게 사실인가요?
추천
0
0
댓글 6개
애드센스 수익으로만 타산 맞출수 있는 사이트가 있을까요?
사이트 규모가 커질수록 애드센스는 부수익이고 새로운 수익목델을 갖고 있어야겠죠..
사이트 규모가 커질수록 애드센스는 부수익이고 새로운 수익목델을 갖고 있어야겠죠..
콘텐츠가 좌우합니다. 애드센스도 매체에 따라 CPM기준 100원도 안나오는 일베 같은 곳도 많고 CPM 10000원도 넘게 나오는 곳도 있습니다. 광고로 도배된 언론사는 단가 낮기로 유명한 연예매체조차 CPM 5000원이 훌쩍 넘어갑니다.
일베가 잘 나갈때는 구글 애드센스 수익이 월 7천만원 가량 했던 것으로 알고 있고, 서버도 10대이상 이용한적이 없으며, 방문자수를 고려했을때 회선 비용도 그리 많이 들지는 않을 것이라 판단됩니다. 제가 볼때 전성기때 일베 서버비용은 월 1~2천만원 수준이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물론 DDoS 처맞은 규모가 정확히 얼마인지에 따라 좀 변동이 있겠지만, 만약 DDoS 안맞았다면 천만원도 안들었을겁니다.
하루 1억건된다는 말은 그다지 와닿는 부분이 아닌게, 운영자 세부가 공개한 것에의하면 나름 잘나갈때 일 페이지뷰 3천만이었던 것으로 아는데 아무리 이슈화가 되었다고 하루 1억건으로 되었다는 것은 전혀 말이 안됩니다.
단언컨데, 현재로선 사이트는 광고외엔 답이 없습니다. 대기업인 구글, 야후, 네이버, 페이스북, 트위터 다 광고가 주요 수익원입니다.
사이트 경영을 잘못해서 손해나는 것을 구글 애드센스의 수익성이 낮다고 오판하면 안됩니다.
특화된 서비스 모델을 가진 업체가 아닌이상 구글 애드센스보다 더 높은 광고 수익을 가져다줄 수 있는 것은 없습니다. 물론, 규모가 커질수록 광고 매체를 다변화하여 안정적인 수익 창출을 도모하는 방안은 있겠습니다만, 이는 광고를 한 지면에 몇개씩이고 넣는 언론사들한테나 해당되는 말이고, 일반 사이트와는 거리가 먼 상황이죠.
일베가 잘 나갈때는 구글 애드센스 수익이 월 7천만원 가량 했던 것으로 알고 있고, 서버도 10대이상 이용한적이 없으며, 방문자수를 고려했을때 회선 비용도 그리 많이 들지는 않을 것이라 판단됩니다. 제가 볼때 전성기때 일베 서버비용은 월 1~2천만원 수준이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물론 DDoS 처맞은 규모가 정확히 얼마인지에 따라 좀 변동이 있겠지만, 만약 DDoS 안맞았다면 천만원도 안들었을겁니다.
하루 1억건된다는 말은 그다지 와닿는 부분이 아닌게, 운영자 세부가 공개한 것에의하면 나름 잘나갈때 일 페이지뷰 3천만이었던 것으로 아는데 아무리 이슈화가 되었다고 하루 1억건으로 되었다는 것은 전혀 말이 안됩니다.
단언컨데, 현재로선 사이트는 광고외엔 답이 없습니다. 대기업인 구글, 야후, 네이버, 페이스북, 트위터 다 광고가 주요 수익원입니다.
사이트 경영을 잘못해서 손해나는 것을 구글 애드센스의 수익성이 낮다고 오판하면 안됩니다.
특화된 서비스 모델을 가진 업체가 아닌이상 구글 애드센스보다 더 높은 광고 수익을 가져다줄 수 있는 것은 없습니다. 물론, 규모가 커질수록 광고 매체를 다변화하여 안정적인 수익 창출을 도모하는 방안은 있겠습니다만, 이는 광고를 한 지면에 몇개씩이고 넣는 언론사들한테나 해당되는 말이고, 일반 사이트와는 거리가 먼 상황이죠.
음 그렇군요... 저도 검색하다 기사를 인용한거라 운영비용에 대한 사실여부는 모르겠습니다.
짤막님 댓글에 공감이 되는데요 한가지 cpm이란 노출단가를 말하는 것같은데 금액 가치는 무슨기준으로 평가하나요?
구글 인력이 모니터링 하여 평가하지는 않고 광고주가 직접 광고액수를 결정하는건가요?
짤막님 댓글에 공감이 되는데요 한가지 cpm이란 노출단가를 말하는 것같은데 금액 가치는 무슨기준으로 평가하나요?
구글 인력이 모니터링 하여 평가하지는 않고 광고주가 직접 광고액수를 결정하는건가요?
구글 자체 시스템과 광고주 입찰 상한액을 기준으로 CPC 단가와 노출 빈도를 결정합니다. 구글 애드센스 시스템은 클릭 효과를 특정하여 퀄리티가 있는 클릭인지, 아니면 그냥 클릭했다 바로 끄는 쓸모없는 유입인지 판단합니다. 거기에 매체사의 이득도 보장하기위해서 무조건 단가 높은 것보다는 클릭율이 높은 광고가 가산점을 받아 클릭당 단가가 낮아도 총수익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노출됩니다. 그래서 이 시스템으로 입찰가를 조정하고 해당 사이트의 페이지뷰가 높을수록, 타겟팅하는 광고주가 많을 수록 CPC와 CPM은 올라가게됩니다. 광고주는 최대 입찰액만 선정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페이스북과 트위터에서도 사용하는 광고 입찰 방식입니다.
구글 광고는 매체사로만 활동해서 모르겠으나 페이스북 광고의 경우 일반 오프라인 상점 팬페이지 클릭당 비용이랑 미디어 매체 팬페이지 클릭당 비용이 최대 5배이상도 차이가 났습니다. CPC라도 클릭율에 따라서도 최적화가 되기 때문이죠.
구글 애드센스에서 CPM으로 수익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만, CPC 수익을 평균내서 1000회 노출당 수익인 CPM으로 환산하여 계산한 것입니다.
구글 광고는 매체사로만 활동해서 모르겠으나 페이스북 광고의 경우 일반 오프라인 상점 팬페이지 클릭당 비용이랑 미디어 매체 팬페이지 클릭당 비용이 최대 5배이상도 차이가 났습니다. CPC라도 클릭율에 따라서도 최적화가 되기 때문이죠.
구글 애드센스에서 CPM으로 수익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만, CPC 수익을 평균내서 1000회 노출당 수익인 CPM으로 환산하여 계산한 것입니다.
아 이제 이해됩니다
도움이 많이 되는 글입니다
도움이 많이 되는 글입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