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 도메인은 해외 도메인업체를 이용하세요.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me 도메인은 해외 도메인업체를 이용하세요. 정보

me 도메인은 해외 도메인업체를 이용하세요.

본문

me 도메인을 새로 영입하려 하니 비용적으로 너무 압박이 와서...

근데 me 도메인이 너무 이뻐서 포기할 수가 없더군요.

그래서 결심을 하고(지름신 강림), 작년 초에 국내에서 등록 하려니

가장 저렴한 곳도 18,000원인가 19,000원 인가 했던거 같습니다.

여기에 도메인 프라이버시 비용도 무료가 아니기에... 월 2천원~3천원 정도 하죠...

너는 왜 이렇게 비싼거니??? 를 연발하며...

 

평소 구글링의 실력을 유감없이 십분 발휘해 해외쪽 찾아보니

국내보다 3~5천원 정도 저렴하더라고요. 도메인 프라이버시 무료이고...

영어로 되어 있지만, 영어를 못하는 저도 전혀 불편한거 못 느꼈습니다.

저는 주로 웹호스팅부터 시작해서 거의 모든 걸 해외 업체를 이용하는 편인데

사실 인터페이스가 덜 이쁘고, 한글이 아니라서 조금 불편할 수도 있겠지만

그런데가 많더라고요. 한국은 사용자 페이지 UI는 정말 최강인거 같습니다. 그래서 비싼가...?

 

암튼 조금의 불편을 감수하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혹시 너무 많은 금액을 주고, 이용하고 있지는 않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 도메인 등록업체, 호스팅 업체는 추천해 드리지 않습니다.

다만, 한가지 팁을 드리자면, 해외 쪽에서 가장 큰 IT 업체를 이용하시면 저렴합니다.

국가 상관없이 검색해보세요. 과연 어디가 가장 큰 곳인지... ㅎㅎ

 

======================================================

아파치님이 말씀해주셔서, 주의할 점 추가합니다.

 

외국에서 검색해서 구입 하실때는 꼭 확인해야 하는것이 있습니다.  Hidden money  라고 하는건데요. 이게 안보이는 곳에 조그맣게 써있어서 무심코 지나치는 일이 많습니다. 

 

라는 의견 주셨습니다. 슈퍼 그뤠잇!

 

1. 최초 등록 (Registration / 그러니깐 1년 등록비용만 세일해서 6$이고, Renewal (갱신) 비용은 10$ 이런식으로 되어 있지만, 처음 페이지에선 최초 1년 등록 비용에 대해서만 나와 있어서 갱신할 때의 가격을 모르고 세일하는 가격에 혹해서 구매하는 것을 조심해야 합니다.) 

이걸 방지하려면, 상세페이지에서 확인을 한다던가, 1년이 아닌 2년으로 등록했을 때 가격이 변동이 되는 것을 보고 계산을 하면 됩니다. 폼 창에서 1년으로 설정했는데, 8달러였지만, 2년으로 설정하니 16달러가 되어야 하는데 20달러다. 그러면 갱신비용이 8달러가 아닌, 12달러인 셈이죠.

 

2. 일부 업체의 경우 최초에 가입할 때 가승인을 거쳐서 카드 승인번호(Transaction Code)를 물어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걸로 인증하는 거죠. 그러니까 우리나라에서 회원가입할 때 휴대폰 번호로 본인인증 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 승인번호는 해당 카드앱에서 해외 가승인 된 내역을 찾아보면, 6자리로 되어 있습니다. 실제 결제가 되는 것은 아니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보통 0.5~1 달러 정도 가승인을 하는데

만약 터무니 없이 회원가입시 20달러로 가승인을 거친다? 이런건 좀 의심해 봐야 합니다. 절대 20달러나 가승인을 거칠리가 없거든요.

 

3. 기관이전시에는 반드시 만료일이 7일이하로 남아있으면 안됩니다. 또한 기관이전비용은 없지만, A에서 B 업체로 기관을 이전한 후에 B 업체에서 Transfer 비용을 내야 하는데, 1년 연장 비용이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그러니까 이전하기전에 A 업체에서 도메인이 2개월 남아있었다면, B업체에서 결제 하면 만료일이 14개월로 늘어난 것이죠.

 

=======================================================================

해피정님의 국제도메인 추가 주의 사항 입니다.

 

국제도메인 기관 이전시 주의사항 추가합니다. 
국제도메인 기간 연장후 60일이내에 연장하는경우에는 기존 기관에서의 연장기간은 무효가 됩니다. 
즉, 도메인 만료일이 2018년 1월 31일 이었고, A 기관에서 1년(혹은 2년이상) 연장한 상태에서 
2018년 4월 3일이전에 B 기관으로 이전을 진행하면, 도메인 만료일은 2019년 1월 31일 입니다.

 

라고 의견 주셨습니다. 슈퍼 그뤠잇!

추천
1
  • 복사

댓글 9개

외국에서 검색해서 구입 하실때는 꼭 확인해야 하는것이 있습니다.
Hidden money  라고 하는건데요. 이게 안보이는 곳에 조그맣게 써있어서 무심코 지나치는 일이 많습니다.

도메인의 경우 처음에 $1~3정도 하지만
리뉴 할때는 비싸지는 곳이 많으니 리뉴얼 할때 도메인 가격이 달라지는지 확인 후 구입하시기 바랍니다.
저도 이 말을 쓰려다가 말았는데,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 초보자의 경우 그러니까 해외에서 도메인을 구입해보지 않은 사람은 주의해야죠. Registration 가격은 세일 중인데, Renewal 은 턱없이 높은 경우가 종종 있으니깐요.
국제도메인 기관 이전시 주의사항 추가합니다.
국제도메인 기간 연장후 60일이내에 연장하는경우에는 기존 기관에서의 연장기간은 무효가 됩니다.
즉, 도메인 만료일이 2018년 1월 31일 이었고, A 기관에서 1년(혹은 2년이상) 연장한 상태에서
2018년 4월 3일이전에 B 기관으로 이전을 진행하면, 도메인 만료일은 2019년 1월 31일 입니다.
이건 몰랐던 부분인데, 추가 의견 감사합니다! 그러니까 기존 업체에서 연장 결제를 한 후 60일이 지난 다음에 이전해야 하는 거군요.
.com .net 규정인데,
그외 도메인의 경우는 기간이 다소 다를수 있습니다.
도메인 만료일이후 6개월 미만에는 기관이전을 가급적 피하는게 좋습니다.
me 도메인이 비싸긴 비싼거 같아요
그래도 me가 개인용도로는 매우 이쁜것 같아요 ㅎㅎ
.kim 도 있던데... 제 성으로 된 것도 나왔으면 좋겠네요 ㅋㅋ
국내 저가 도메인업체중 W업체는 기관이전하려면
관공서에 가서 주민등록번호가 포함된 등기로 보내달라고 하는 업체도 있습니다.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