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리전 핑속도 정리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해외 리전 핑속도 정리 정보

해외 리전 핑속도 정리

본문

KT 기준으로 측정한 평균 값

 

일본 : 30~40ms

 

중국 : 25~35ms (해안도시쪽이 인터넷이 빠릅니다. 다른곳은 낙후되서 엄청 느리죠.)

 

타이완 : 45~50ms

 

홍콩 : 80~85ms

 

싱가포르 : 110ms~150ms

 

미국 : 200~250ms / 높은 경우 300ms 이상

 

유럽 : 기본 300ms 이상

 

인도, 인도네시아 등 남부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300ms 이상 (드물게 200ms 이하인 곳도 있음.)

 

실제로 사용해보기도 하고, 다양하게 측정도 해본 결과

80ms 정도가 마지노선 인거 같네요.

근데 사실 80ms 도 TTFB 지연이 좀 있어서 이미지를 많이 쓰는 사이트라면

cdn을 이용하지 않는 이상 꽤나 버벅거립니다.

 

그래서 쾌적하게 이용가능한건 타이완 정도까지 이려나...

근데 타이완 쪽은 아직 개발이 덜 된건지 상용화 되거나 서비스하는 곳이 극히 드물기도 하고

가격적으로 크게 경쟁력이 없어서 접하기가 어려울 것입니다.

중국 리전은 data transfer fee 가 꽤나 비싸기도 하고, 리전을 보유한 업체가 많지 않고

대부분 가입이나 이용절차가 까다로워서 개인이 쓰기엔 불편할 것 같습니다.

물론 아닌 곳도 있겠지만, 제가 겪어본 바로는 대부분 그렇네요.

 

해외리전. 해외 호스팅, vps는 비지니스 용도가 아닌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용도로서 메리트가 있습니다.

한국인 대상으로 하는 곳은 일본 리전도 비추입니다. 우리나라 isp 업체가 해외망에 대해서

매우 쪼잔해요. KT도 따져보면, 일본쪽은 괜찮지만 유럽쪽으로 넘어가면 그냥 모뎀으로 돌아갑니다.

vpn을 쓰면, 10배 100배는 더 빠르게 쓸 수 있을 정도 입니다. sk는 지역마다 차이가 많고

lg u+도 해외망에 쪼잔하고요.

 

그에 비해 일본에서는 해외망 접속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그도 그럴게, 아시아쪽에서만 이미 3~4개의 전용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https://www.stratanetgroup.com/networks/)

여기엔 한국이 껴있지 않은 전용망도 있고요.

그래서 싱가포르나 홍콩, 미국, 유럽 등은 일본을 통해서 접속하는게 한국보다 훨씬 더 빠르죠.

암튼 해외 리전 생각하시는 분이 있으시다면, 참고가 되시길...

추천
3

댓글 1개

전체 67 |RSS
자유게시판 내용 검색

회원로그인

(주)에스아이알소프트 / 대표:홍석명 / (062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7-34 한신인터밸리24 서관 1402호 / E-Mail: admin@sir.kr
사업자등록번호: 217-81-363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2014-서울강남-02098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김민섭(minsup@sir.kr)
© SIR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