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누인 베타의 RSS feed 수집 정보
그누인 베타의 RSS feed 수집본문
스쳐 지나가는 생각입니다.
현재 그누인베타에 유명블로거의 rss도 등록이 되어 글이 올라오고 있는데요.
블로그 소유자의 동의없이 rss가 등록이 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보여질 경우
문제가 되지 않을까요?
개인이 구독하는데는 문제가 없겠지만요.
한편으로는 블로그를 알려주고 많은 사람들이 구독할 수 있게 해줘서 블로그 주인이 고마워할지도 모르겠지만 워낙에 다양한 생각을 가지고 그 목소리가 블로그를 통해서 나오니까요.
지나가다 생각이 나서 글을 올렸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추천
0
0
댓글 13개

트래픽 용량문제와 저작권 문제로 메타블로그에서 자신의 글을 긁어가는걸 싫어하시는 블로거들을 다수 보았습니다.
블로거 자신이 자신의 rss 주소를 등록하는 방식이 옳다고 봅니다.
특정 사이트의 운영자가 rss를 무단으로 등록하는건 분명 문제가 됩니다.
블로거 자신이 자신의 rss 주소를 등록하는 방식이 옳다고 봅니다.
특정 사이트의 운영자가 rss를 무단으로 등록하는건 분명 문제가 됩니다.
네..저도 그런 분을 메타블로그에서 본 적이 있습니다.
파란의 블로그 스페이스때문에 말들이 엄청나게 많더군요.
그누보드를 관심있게 보고 사용하는 사용자로서 이런 문제에 대해서 걱정이 좀 되네요.
그누보드 운영자님은 rss를 등록하시지 않았을 겁니다. 회원분들이 올리시지 않았을까 생각이 드는군요.
파란의 블로그 스페이스때문에 말들이 엄청나게 많더군요.
그누보드를 관심있게 보고 사용하는 사용자로서 이런 문제에 대해서 걱정이 좀 되네요.
그누보드 운영자님은 rss를 등록하시지 않았을 겁니다. 회원분들이 올리시지 않았을까 생각이 드는군요.

아직 이것에 대한 명쾌한 답변을 본적이 없습니다.
http://srlog.egloos.com/1338881
http://kldp.org/node/46377
베타테스트 기간이므로 문제가 되면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
http://srlog.egloos.com/1338881
http://kldp.org/node/46377
베타테스트 기간이므로 문제가 되면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
예..맞습니다. 아직 RSS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제가 관리자님의 새로운 서비스에 태클을 거는 게 아니라 메타블로그를 보면서 문제시하는 블로거들이 보이더라는 말씀을 드리는 것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그누인베타가 참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RSS 수집에 대한 것이 요즘 이슈가 되고 있다는 것을 참고하시라고 글을 올리는 것 뿐입니다. 오해없으셨으면 합니다.
제가 관리자님의 새로운 서비스에 태클을 거는 게 아니라 메타블로그를 보면서 문제시하는 블로거들이 보이더라는 말씀을 드리는 것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그누인베타가 참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RSS 수집에 대한 것이 요즘 이슈가 되고 있다는 것을 참고하시라고 글을 올리는 것 뿐입니다. 오해없으셨으면 합니다.

오해는요... ^^
그렇지 않아도 말씀하신 부분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당분간 등록한 RSS 피드에 대한 테스트만 해야 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렇지 않아도 말씀하신 부분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당분간 등록한 RSS 피드에 대한 테스트만 해야 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서비스로 발전하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그누인의 적용은 발전적인 부분이라 저도 좋게 생각합니다.
잘 이용하면 분명 큰 도움이 될 겁니다. ^^
잘 이용하면 분명 큰 도움이 될 겁니다. ^^

문제가 전혀 없습니다.
이것이 문제 된다면 구글이나 네이버, 다음 과 같은 검색엔진 사이트들도 전부 문제가 되겠지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http://curlychoi.com/tt/47
이것이 문제 된다면 구글이나 네이버, 다음 과 같은 검색엔진 사이트들도 전부 문제가 되겠지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http://curlychoi.com/tt/47
그렇다면 블로그라는 개념과 rss라는것은 애초부터 시작하지 않았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블로그를 사용한다는것 자체부터 RSS는 뭐든 블로깅을 허용한다는 것을 의미하는것으로 생각해야 할 듯 합니다.
.. 홈페이지에 rss 기능 빼야겠다. 씨익~
블로그를 사용한다는것 자체부터 RSS는 뭐든 블로깅을 허용한다는 것을 의미하는것으로 생각해야 할 듯 합니다.
.. 홈페이지에 rss 기능 빼야겠다. 씨익~
오호~ '곱슬최씨'님께서 쥔장이셨군요^^*
===================================< 인용문 시작 >===================================
5. 데이터베이스와 저작권
저작권법에 의하면 데이터베이스 자체가 저작권으로 보호받는다. 때문에 웹페이지나 RSS 의 일부(메타 데이터)를 수집한 데이터 베이스를 통째로 팔아먹어도 법적으로 문제될 소지가 없다.
====================================< 인용문 끝 >====================================
-. RSS의 일부(메타 데이터)
이 부분을 혼동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비유한다는 것 자체가 얼토당토 하지 않은 일이지만,
외적으로는 '이메일 헤더' 정도의 형태를 갖추는 부분만을 지칭하는 것인지,
약간의 내용('이메일 제목'과 내용의 첫글자)까지도 포함하는 것인지의 불분명성에 있다고 봅니다.
-. 다시 원천적인 부분으로 돌아와 상단에 인용한 내용을 단적으로 표현하자면,
특정 게시물이 갖고 있는 고유의 정보(메타 데이터 또는 헤더라 칭할만한),
즉, 위치정보를 제외하고 비록 약간의 내용이라 할지라도 그 데이터가 포함되어,
구체적인 형태로 저장되는 DB가 되었을 경우 그것은 단순히 볼 만한 문제는 아닌 것 같습니다.
-. 다른 이야기가 될 수도 있으나 구체적인 그 대상을 '온라인 뉴스'라고 했을 때,
뉴스사이트에서 적용한다는 '디지털뉴스 이용규칙'을 하나의 예로 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디지털뉴스 이용규칙'
http://search.empas.com/search/all.html?qn=&s=&f=&bd=&bw=&z=A&q=%B5%F0%C1%F6%C5%D0%B4%BA%BD%BA+%C0%CC%BF%EB%B1%D4%C4%A2
'디지털뉴스 이용규칙'
http://blog.naver.com/eloha/80029533753
그러나, 직전에 기재한 블로그 링크 내용에 포함되지 않은 영역까지도,
고려해야 한다는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저장되는 형태(DB가 존재하는)로의 이용에 대해서는 일체의 링크조차 허용하지 않으며,
만에 하나라도 그것을 어겼을 경우 저작권을 주장할 수 있는 사이트(홈페이지, 업체)로 부터,
뒤통수를 맞을 수도 있다는 사실입니다.
===================================< 인용문 시작 >===================================
5. 데이터베이스와 저작권
저작권법에 의하면 데이터베이스 자체가 저작권으로 보호받는다. 때문에 웹페이지나 RSS 의 일부(메타 데이터)를 수집한 데이터 베이스를 통째로 팔아먹어도 법적으로 문제될 소지가 없다.
====================================< 인용문 끝 >====================================
-. RSS의 일부(메타 데이터)
이 부분을 혼동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비유한다는 것 자체가 얼토당토 하지 않은 일이지만,
외적으로는 '이메일 헤더' 정도의 형태를 갖추는 부분만을 지칭하는 것인지,
약간의 내용('이메일 제목'과 내용의 첫글자)까지도 포함하는 것인지의 불분명성에 있다고 봅니다.
-. 다시 원천적인 부분으로 돌아와 상단에 인용한 내용을 단적으로 표현하자면,
특정 게시물이 갖고 있는 고유의 정보(메타 데이터 또는 헤더라 칭할만한),
즉, 위치정보를 제외하고 비록 약간의 내용이라 할지라도 그 데이터가 포함되어,
구체적인 형태로 저장되는 DB가 되었을 경우 그것은 단순히 볼 만한 문제는 아닌 것 같습니다.
-. 다른 이야기가 될 수도 있으나 구체적인 그 대상을 '온라인 뉴스'라고 했을 때,
뉴스사이트에서 적용한다는 '디지털뉴스 이용규칙'을 하나의 예로 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디지털뉴스 이용규칙'
http://search.empas.com/search/all.html?qn=&s=&f=&bd=&bw=&z=A&q=%B5%F0%C1%F6%C5%D0%B4%BA%BD%BA+%C0%CC%BF%EB%B1%D4%C4%A2
'디지털뉴스 이용규칙'
http://blog.naver.com/eloha/80029533753
그러나, 직전에 기재한 블로그 링크 내용에 포함되지 않은 영역까지도,
고려해야 한다는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저장되는 형태(DB가 존재하는)로의 이용에 대해서는 일체의 링크조차 허용하지 않으며,
만에 하나라도 그것을 어겼을 경우 저작권을 주장할 수 있는 사이트(홈페이지, 업체)로 부터,
뒤통수를 맞을 수도 있다는 사실입니다.

호곡.. 제 블로그를 알고 계셨나요? ^^;;
뭐 저는 검색엔진이 웹페이지를 수집하거나 메타블로그가 RSS 를 수집하거나 같은 개념이라고 생각합니다.
뭐 저는 검색엔진이 웹페이지를 수집하거나 메타블로그가 RSS 를 수집하거나 같은 개념이라고 생각합니다.
I know?!
I see~*^^*
I see~*^^*
위의 내용도 곱슬옵빠 블로그였어요? .. 테러해야겠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