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에디터이야기.(마지막일까?) 정보
한국의 에디터이야기.(마지막일까?)
본문
nhn의 토스트도 있고.. (https://ui.toast.com/tui-editor)
다른 에디터도 있나요?
Vditor라고 중국분이 개발하신 에디터도 있고.. https://sir.kr/g5_tip/16808
그러다 이번에 연관으로 올라온 에디터가 있어서..
밀크다운 에디터 (https://milkdown.dev/) 이것도 중국분이 개발한 것 같네요.
플러그인 방식으로 되어 있는 장점이 있고,
UI가 예뻐 보이는 장점이 있네요. https://milkdown.dev/#/online-demo
Vditor는 Golang으로 파서를 별도로 만들었죠 https://github.com/88250/lute
토스트 UI도 마크다운 파서를 만들었습니다. ToastMark https://github.com/nhn/tui.editor/tree/master/libs/toastmark
결국은 한국형 에디터를 만들려면(원하는 기능을 추가할려면) 파서를 만들어야 될 것 같습니다.
추천
1
1
댓글 12개

toast ui 에디터를 잠깐 테스트 하다가 말았답니다. 왜 중단했는지는 까먹었네요. ㅠ
기능은 정말 좋았습니다~
기능은 정말 좋았습니다~

@리자 3.0되면서 위지위그도 되고 많이 좋아진것 같습니다.

@마젠토 아~ 위즈위즈가 HTML 로 나오지 않아 그만 두었던 것으로 기억나네요.

리자님이 말씀하시는 테스트 때 제가 없었던 거 같은데...
암튼 블록 에디터, 마크다운 에디터는 파서가 필수일 수 밖에 없는 것 같네요라고 쓰지만 제가 무슨 얘기하는 건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암튼 블록 에디터, 마크다운 에디터는 파서가 필수일 수 밖에 없는 것 같네요라고 쓰지만 제가 무슨 얘기하는 건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지운아빠 그래도 많이 아시는 거죠. 블록 에디터, 마크다운 에디터

중국 프로그램은 조금 겁이나서 가급적 안쓰게 되더군요.
기능도좋고 마크다운 기능도 좋은데 단지......쩝~
암튼 메리크리스마스 입니다.
기능도좋고 마크다운 기능도 좋은데 단지......쩝~
암튼 메리크리스마스 입니다.

@亞波治 메리크리스마스.. 오픈소스 MIT인데요

요즘 neovim에 빠져있는데 기똥찬 퍼지서치 플러그인 fzf를 만든 사람이 젊은 한국청년이라 놀랐습니다. vscode도 vim 플러긴을 설치해 쓰게 중 ^^

글을 읽고보니 web 페이지 플러긴용 에디터를 말씀하시는 모양이군요...

@오리궁뒤 HTML에디터죠. 예전에 에디터 하면 VI 였었죠. 날라다니면서 코딩하던 시절이..
저는 그냥 제가하는작업은(대부분 일본작업이지만~~)ckediter를적용합니다........
특별히 사용자들요구사항이 없으니............
그냥~~~~~ㅋㅋㅋ
특별히 사용자들요구사항이 없으니............
그냥~~~~~ㅋㅋㅋ

@구다라 ckeditor와 froala가 대세인 것 같은데, 그것과 견줄만한 에디터 하나 만들어 보고 싶어서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