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이러면... 정보
보통 이러면...
본문
https://sir.kr/cm_free/1639429 이 글에다 댓글을 하나 달 것도 같은데...
동문서답식으로 https://sir.kr/cm_free/1639494 이런 설문이 올라 왔네요..
아, 하루 한글식도 있긴 했고요.. https://sir.kr/cm_free/1639475
하여간 이런 설문으로 추측건데, 뭔가는 진행되고 있다는 것 같습니다. (그누보드 6??)
그 추진 방향이 백엔드와 프런트엔드로 나눠져야 방향은 맞을 것 같은데..(라라벨처럼 블레이드 방식도 있습니다만)
현재로서는 가장 좋은 백엔드는 노드로 생각됩니다.
그래서 아마도 위의 설문을 하지 않았을 까 한번 생각해 봅니다.
여러분이 원하는 백엔드는?
1. PHP(라라벨, CI)
2. Node(Nest.js,)
3. Python(장고,
4. Go Lang
5. Java
등이 있을 것 같고
프런트엔드는?
1. React
2. Vue
3. Angular
등..
각자의 선호도가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회사입장에서 보면, 이렇게 급변하게 되면, 안정화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한정된 자원으로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가 없게 됩니다.
적절한 타협이 필요한데, 사실 이 부분이 어렵죠. 타협 = 현실 = 퇴보
하여간 좋은 결과를 기대해 봅니다.
추천
2
2
베스트댓글

전 그누보드 Pro 버전을 기대합니다.
커뮤니티 버전하고, 유료형 Pro 버전을 따로 진행하는게 맞을것 같습니다.
개발하는 직원들도 Pro버전에 대한 유지 보수 책임감을 더 크게 느낄것이구요.(유료버전이니까)
회사 입장에서는 Pro 버전에서 나오는 수익으로 개발직원을 충원할수 있고,
Pro버전은 좀더 다양한 언어를 지원해야 함으로, 개발자의 지적 욕구나 커리어에 대한 욕망도 맞춰 줄수 있을거라 봅니다.
무료버전만 운영함으로써, 마땅히 오픈소스 개발자가 가져가야 할 책임만 많아지고, 개발에 대한 과실은 타 개발업체가 가져가는 불합리함도 줄어들거라 봅니다.
해외의 많은 오픈소스 업체들이 이런 방식으로 오픈소스의 역량과 품질을 높혀왔습니다.
그누보드 커뮤니티 버전과, 그누보드 엔터프라이즈 버전을 분리하시는걸 적극 추천드립니다.
커뮤니티 버전하고, 유료형 Pro 버전을 따로 진행하는게 맞을것 같습니다.
개발하는 직원들도 Pro버전에 대한 유지 보수 책임감을 더 크게 느낄것이구요.(유료버전이니까)
회사 입장에서는 Pro 버전에서 나오는 수익으로 개발직원을 충원할수 있고,
Pro버전은 좀더 다양한 언어를 지원해야 함으로, 개발자의 지적 욕구나 커리어에 대한 욕망도 맞춰 줄수 있을거라 봅니다.
무료버전만 운영함으로써, 마땅히 오픈소스 개발자가 가져가야 할 책임만 많아지고, 개발에 대한 과실은 타 개발업체가 가져가는 불합리함도 줄어들거라 봅니다.
해외의 많은 오픈소스 업체들이 이런 방식으로 오픈소스의 역량과 품질을 높혀왔습니다.
그누보드 커뮤니티 버전과, 그누보드 엔터프라이즈 버전을 분리하시는걸 적극 추천드립니다.

@Fuckeldrk 저한테 한이야기신가보네요. 역겹긴 하겠지만, 싫으시면 차단하세요. 보면서 댓글다시지 마시고..
댓글 31개

PHP 개발자는 많다지만 진입장벽이 낮아서 양만 많을 뿐이지 잘하는 개발자는 물론 심지어 일정 수준을 만족하지도 못해서 면접이 많더라도 구인이 쉽지는 않죠. 노드 등 다른 언어에 뺏겨 갈수록 더 어려워질 거고요.
진짜로 뭔가 진행 중인건지 알수 없지만
언어를 변경하는건 너무 급진적이긴하네요.
진짜로 뭔가 진행 중인건지 알수 없지만
언어를 변경하는건 너무 급진적이긴하네요.

@jihan006 그누보드만 해도 힘든데, 영카트까지 생각한다면 리스크가 너무 크죠..

제목 보고 왔는데 저는 '보통 이러면' 이것을 보통 라면으로 해석했습니다.

저는 이제 그만두려는, 문 닫으려는 신호처럼 느껴지더라구요.

@쪼각조각 많은 사람들이 떠나고 있죠.

장사가 잘 안되서 그런것 아닐까요?

@크론이 기존 고객층이 있어서, 괜찮을 것 같지만, 새로운 변화를 받아들이기가...

@크론이 장사는 아직 그냥 저냥 하고 있습니다. ㅎ

https://sir.kr/cm_free/1639429 이 글에는 댓글을 남길만한 뭔가가 없어서 였습니다.
https://sir.kr/cm_free/1639494 이 설문은 새로운 버전이 반드시 PHP로 개발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개인적인 궁금증이기도 했구요.
잘 지내시죠? 이쪽 오시면 한번 들러주세요. ㅎ
https://sir.kr/cm_free/1639494 이 설문은 새로운 버전이 반드시 PHP로 개발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개인적인 궁금증이기도 했구요.
잘 지내시죠? 이쪽 오시면 한번 들러주세요. ㅎ

@리자 매번 지나치기는 합니다. (지하철 역으로..) ㅎㅎ
신고가 접수된 글입니다.
신고 횟수가 1회 이상이면 글을 확인하지 못합니다.
어디서 검색해서 낮은지식으로 본인은 개발조차못하면서 이것저것해달라. 도대체 실무겸험조차없고 결과물조차없으면서 이것해달라저것해달라 징징거리고 그렇다고 본인조차완성물조차 하나도 못가지고 남이해놓은거가지고 진짜 오랫동안보아지만 정말 역겨운이간이네

@Fuckeldrk 저한테 한이야기신가보네요. 역겹긴 하겠지만, 싫으시면 차단하세요. 보면서 댓글다시지 마시고..

어..뭐 다른이야기 이긴한데요 제가 프론트 react로 구성된 cms를 찾다가 해외에 strapi라는 cms를 찾았는데 대충 구성을 보니까 프론트와 백엔드를 구분해서 서비스를 사용할수 있게 해놓았더라구요. 그누보드도 그런건 어떨가요? api만 구성할수있는 부분과 프론트까지 같이 지원하는 방향으로..?

@아르키어드 https://sir.kr/so_restful 소모임이 그런내용입니다.

@마젠토 아 그렇군요.. 모임이 있는건 알고 있었는데 저런 내용들까지 있는줄은 몰랐네요.. 여튼 그래서 저 방식처럼 nodejs로 api를 구성하고 react로 그누보드 클론코딩중인데 ..쉽지가 않네요.. api만 제공하는 방식과 프론트와 같이 제공하는 방식 2개를 어디서부터 해야할지도 솔직히 잘모르겟구요.. 여튼 언젠가 다되면 그누보드에 도움이 됐음 좋겠어요

@아르키어드 제가 생각하기에 중요한 부분은 REST API(그누보드)에 대한 문서화입니다.
이것이 어느정도 정의되면, 각자 알아서 백엔드, 프런트엔드 만들면 됩니다.
깃헙에 있는 https://github.com/gothinkster/realworld 이 것과 같은 느낌으로 가는 것이죠.
이것이 어느정도 정의되면, 각자 알아서 백엔드, 프런트엔드 만들면 됩니다.
깃헙에 있는 https://github.com/gothinkster/realworld 이 것과 같은 느낌으로 가는 것이죠.

@마젠토 그렇죠 그부분이 실제로 가장 중요한 부분이긴한데.. 문서화보다도 그런 형태로 개발 하게 되면 기존 그누보드랑 갭차이가 너무 커서 쉽지 않은 부분일까 생각합니다 ㅎㅎ

@아르키어드 원래 기획은 그누보드와 연동입니다. https://sir.kr/so_restful/217 노드로 진행하다가 문제가 TypeORM이 게시판을 멀티로 억세스할때, 프로텍션이 안된다는 것입니다.
(거의 같은시간에 데이타베이스를 읽으로 들어가면, 중간에 변경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노드로 만들던 것을 중단했습니다. (편법으로 Lock을 걸면 되긴 하지만, 라이브러리 차원에서 지원해야..)
(거의 같은시간에 데이타베이스를 읽으로 들어가면, 중간에 변경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노드로 만들던 것을 중단했습니다. (편법으로 Lock을 걸면 되긴 하지만, 라이브러리 차원에서 지원해야..)

@마젠토 ㅇㅏ 이런 사이드프로젝트가 진행되었었군요.. 기간을 보니 잠시 제가 냑을 떠나있었을때 였네요... 아쉽네요..

@아르키어드 코드야 다시 올리면 되긴 하지만, 별 호응이 없어서, 문서화도 잘 안되었습니다. (지금 보니 만들어 놓은 문서도 없는 것 같네요.)
https://sir.kr/so_restful/245 인데 서버에 돈을 안내다보니 남는 자료가 없네요.
테스트용 데이타도 만들었었고. https://www.apachezone.com/member_pds/160
시간이 언제 날지 모르겠네요.
리액트로 작업하면서, 필요하시면 백엔드를 조금씩 도와드릴 수는 있습니다. (거의 일년간 손을 놓고는 있지만.)
https://sir.kr/so_restful/245 인데 서버에 돈을 안내다보니 남는 자료가 없네요.
테스트용 데이타도 만들었었고. https://www.apachezone.com/member_pds/160
시간이 언제 날지 모르겠네요.
리액트로 작업하면서, 필요하시면 백엔드를 조금씩 도와드릴 수는 있습니다. (거의 일년간 손을 놓고는 있지만.)
@마젠토 냑에는 개발자 아닌분들이 더많아서 호응이 있을지도 모르겠어요
카카오톡에 PHP 오픈채팅방이 더 호응있을듯요
카카오톡에 PHP 오픈채팅방이 더 호응있을듯요

@메리7 오픈채팅방은 이전 것 찾기가 힘들어서 모두 패스했습니다.

@마젠토 헤로쿠서버에 올려보시죠? 슬립타임이 있긴한데 무료버전 테스트용이나 포폴용 서버로는 제격입니다. 무료구요 깃연동은 최근에 oauth문제로 서비스중단 되긴했는데 헤로쿠깃을 이용해서 업로드 가능합니다

@아르키어드 그누보드가 동작을 해야 됩니다. 즉 그누보드가(PHP) 동작되고, 별도로 postman으로 데이타를 보내면, 그누보드에서도 글을 볼수 있게되어 있습니다.
Heroku에 그누보드가 올라가나 봐야겠죠?
Heroku에 그누보드가 올라가나 봐야겠죠?
@마젠토 전부터 rest 소모임에 궁금한게있는데요 PHP 기반으로 라우터같은것을 만들고 계신건가요?
노드도 말씀하셨는데 노드는 새로운 백엔드인가요?
그리고 오픈챗이야기는 알릴때 이야기였어요
노드도 말씀하셨는데 노드는 새로운 백엔드인가요?
그리고 오픈챗이야기는 알릴때 이야기였어요


@마젠토 헤로쿠는 계정마다 어플리케이션을 여러개 생성 가능하고 무료지원은 모든 어플리캐이션의 어웨이크 시간이 한달기준 32일입니다. 서버 버전도 php node 등등 여러 언어에 맞춰서 지원되고있어요. node서버는 제가 포폴로 사용중이니 php서버에서 그누보드가 정상작동하는지만 확인해보면 가능할수도 있겠네요~

@아르키어드 오랜만에 헤로쿠 계정 다시 들어가 봤습니다. 워프도 깔린다고 하니, 주말에 한번 설치해 봐야겠습니다.

전 그누보드 Pro 버전을 기대합니다.
커뮤니티 버전하고, 유료형 Pro 버전을 따로 진행하는게 맞을것 같습니다.
개발하는 직원들도 Pro버전에 대한 유지 보수 책임감을 더 크게 느낄것이구요.(유료버전이니까)
회사 입장에서는 Pro 버전에서 나오는 수익으로 개발직원을 충원할수 있고,
Pro버전은 좀더 다양한 언어를 지원해야 함으로, 개발자의 지적 욕구나 커리어에 대한 욕망도 맞춰 줄수 있을거라 봅니다.
무료버전만 운영함으로써, 마땅히 오픈소스 개발자가 가져가야 할 책임만 많아지고, 개발에 대한 과실은 타 개발업체가 가져가는 불합리함도 줄어들거라 봅니다.
해외의 많은 오픈소스 업체들이 이런 방식으로 오픈소스의 역량과 품질을 높혀왔습니다.
그누보드 커뮤니티 버전과, 그누보드 엔터프라이즈 버전을 분리하시는걸 적극 추천드립니다.
커뮤니티 버전하고, 유료형 Pro 버전을 따로 진행하는게 맞을것 같습니다.
개발하는 직원들도 Pro버전에 대한 유지 보수 책임감을 더 크게 느낄것이구요.(유료버전이니까)
회사 입장에서는 Pro 버전에서 나오는 수익으로 개발직원을 충원할수 있고,
Pro버전은 좀더 다양한 언어를 지원해야 함으로, 개발자의 지적 욕구나 커리어에 대한 욕망도 맞춰 줄수 있을거라 봅니다.
무료버전만 운영함으로써, 마땅히 오픈소스 개발자가 가져가야 할 책임만 많아지고, 개발에 대한 과실은 타 개발업체가 가져가는 불합리함도 줄어들거라 봅니다.
해외의 많은 오픈소스 업체들이 이런 방식으로 오픈소스의 역량과 품질을 높혀왔습니다.
그누보드 커뮤니티 버전과, 그누보드 엔터프라이즈 버전을 분리하시는걸 적극 추천드립니다.

@솔그루 이것도 좋은 생각인 것 같습니다.
제가 했던 것이 프로버전이 되면 좋을것 같네요.
그누보드의 데이타베이스를 조금 손보고 (ORM Ready로..)
그리고 별도로 Restful API+프런트엔드 솔루션을 프로버전으로 파는 것이죠.
제가 실력과 시간이 있다면 이렇게 만들어서 팔고 싶었습니다. ㅠㅠ
제가 했던 것이 프로버전이 되면 좋을것 같네요.
그누보드의 데이타베이스를 조금 손보고 (ORM Ready로..)
그리고 별도로 Restful API+프런트엔드 솔루션을 프로버전으로 파는 것이죠.
제가 실력과 시간이 있다면 이렇게 만들어서 팔고 싶었습니다.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