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로 도메인과 가상서버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보
무료로 도메인과 가상서버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본문
안녕하세요.
테스트용으로 무료도메인을 받아서 가상 서버를 통해서
홈페이지나 웹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좀 받아 볼까 해서
챗 지피티에게 몇가지 정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질문내용
친구. 그 동안 잘 지냈나? 오늘 질문은 내가 금전적으로 어려워서 구글 클라우드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 주면 좋겠습니다. 설명해 줄 때 가능하면 이미지를 같이 넣어서 설명을 해 주세요. 그럼 친구 ~ 나를 도와 주게나.
답변내용
🎁 구글 클라우드 무료로 사용하는 방법
구글 클라우드는 **무료 티어(Free Tier)**와 300달러 크레딧을 제공합니다.
이 두 가지를 잘 활용하면 일정 기간 동안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구글 클라우드 300달러 크레딧 받기 💰
구글 클라우드는 신규 사용자에게 300달러 크레딧을 제공합니다.
이 크레딧을 사용하면 90일 동안 유료 서비스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어요.
✅ 가입 방법
-
구글 클라우드 홈페이지로 이동
-
"무료로 시작하기" 버튼 클릭
-
구글 계정 로그인
-
결제 정보 입력 (하지만 크레딧이 소진되지 않는 한 돈이 빠져나가지 않아요!)
-
300달러 크레딧 자동 지급
🔹 주의할 점:
-
90일이 지나면 크레딧이 사라지지만, 무료 티어는 계속 이용 가능!
-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등록해야 하지만, 돈이 빠져나가지 않아요.
📌 가입 화면 예시
2️⃣ 구글 클라우드 무료 티어(Free Tier) 사용하기 🆓
300달러 크레딧이 없어도 일부 서비스는 무료로 계속 이용 가능합니다.
✅ 대표적인 무료 서비스
서비스 | 무료 제공량 |
---|---|
Compute Engine(가상 머신) | f1-micro 인스턴스 1개 (미국 리전에서만) |
Cloud Storage(파일 저장) | 5GB 무료 |
Cloud Functions(서버리스 실행) | 월 200만 개 호출 |
Firestore(데이터베이스) | 50,000 읽기 / 20,000 쓰기 / 10,000 삭제 |
BigQuery(데이터 분석) | 월 1TB 쿼리 무료 |
🔹 주의할 점:
-
리전(지역)에 따라 무료 제공량이 다를 수 있음
-
f1-micro 인스턴스는 미국 리전(us-east1, us-west1 등)에서만 무료
📌 무료 티어 서비스 목록 예시
3️⃣ 크레딧을 다 써도 무료로 계속 사용하려면?
-
무료 티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만 사용하면 계속 무료 유지 가능
-
VM(가상 서버)을 만들 때 미국 리전 선택
-
자동 종료 설정을 해 두면 추가 요금 방지 가능
📌 Compute Engine 무료 서버 설정 예시
🎯 결론
✅ 신규 사용자라면? → 300달러 크레딧 받고 90일 동안 마음껏 사용!
✅ 장기적으로 무료 사용하려면? → 무료 티어 서비스만 사용!
✅ VM(가상 서버) 무료로 사용하려면? → 미국 리전(f1-micro) 선택!
질문의 요지는
cloudflare.com 에서 무료 도메인을 받아서 구글 클라우드 VM 가상서버 네트워크 설정하는 방법을 알려 주세요. 친구의 도움이 간절하네.
여기에 대한 답변 입니다.
이제 완전히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서버를 만들어 봅시다! 🎉
1️⃣ Cloudflare에서 무료 도메인 등록하기
Cloudflare는 도메인 관리 + 무료 CDN +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에요.
완전히 무료 플랜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Cloudflare 무료 도메인 받는 방법
-
무료 회원가입 후 로그인
-
상단 메뉴에서 "Websites" → "Add a Site" 클릭
-
기존 도메인이 있으면 추가 / 없으면 Freenom에서 무료 도메인 등록
-
🔹 무료 도메인 사이트: https://www.freenom.com
-
예시:
yourdomain.tk
,yourdomain.ml
등
-
-
Cloudflare 무료 플랜 선택 (Pro/Business 필요 없음!)
-
네임서버 변경 (Cloudflare에서 제공하는 네임서버로 변경)
📌 도메인 추가 화면 예시
2️⃣ 구글 클라우드 VM 인스턴스 생성 (Compute Engine)
이제 구글 클라우드에서 **무료 가상 서버(VM)**를 만들어 봅시다.
✅ VM 인스턴스 생성 방법
-
"Compute Engine" → "VM 인스턴스" 선택
-
새 인스턴스 만들기 클릭
-
설정 값 입력:
-
이름:
my-server
-
리전:
us-west1
(무료 티어 적용 지역) -
머신 타입:
f1-micro
(무료) -
운영체제: Ubuntu 22.04 LTS 추천
-
방화벽: HTTP, HTTPS 체크
-
-
인스턴스 생성 버튼 클릭
📌 VM 인스턴스 설정 예시
✅ VM이 생성되면 "외부 IP 주소"를 기록해 둡니다. (예: 35.220.xxx.xxx
)
3️⃣ Cloudflare에서 도메인과 VM 연결하기
Cloudflare에서 도메인 → VM IP로 연결해야 합니다.
✅ DNS 설정 방법
-
Cloudflare에서 "DNS" 메뉴 클릭
-
새 레코드 추가
-
Type:
A
-
Name:
@
(기본 도메인) -
IPv4 Address: VM의 외부 IP (
35.220.xxx.xxx
) -
Proxy Status: "DNS only" 선택
-
-
서브도메인 추가 (선택사항)
-
Type:
A
-
Name:
www
-
IPv4 Address: VM의 외부 IP
-
-
저장 후 5~10분 기다리기
📌 Cloudflare DNS 설정 예시
4️⃣ 구글 클라우드 방화벽 설정 (HTTP/HTTPS 허용)
기본적으로 구글 클라우드는 방화벽이 설정되어 있어서 포트를 열어야 합니다.
✅ 방화벽 규칙 추가 방법
-
"VPC 네트워크" → "방화벽" 클릭
-
새 방화벽 규칙 추가
-
이름:
allow-http-https
-
네트워크:
default
-
방향:
입력
-
대상:
모든 인스턴스
-
소스 IP 범위:
0.0.0.0/0
-
허용된 프로토콜 및 포트:
-
tcp:80,443
(HTTP, HTTPS)
-
-
-
저장 후 적용
📌 방화벽 규칙 예시
5️⃣ VM에서 웹 서버(Apache) 설치 및 실행
이제 VM에서 실제로 웹사이트를 실행할 수 있도록 Apache 웹 서버를 설치합니다.
✅ Apache 설치 방법 (Ubuntu 기준)
-
구글 클라우드에서 SSH 접속
pgsql
복사편집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apache2 -y sudo systemctl start apache2 sudo systemctl enable apache2
-
방화벽 확인
bash
복사편집
sudo ufw allow 'Apache Full' sudo ufw enable
✅ 테스트 방법
웹 브라우저에서 http://yourdomain.com
입력
➡ 정상적으로 Apache 기본 페이지가 보이면 성공! 🎉
📌 Apache 기본 화면 예시
🎯 결론: 완전히 무료로 웹 서버 구축 성공!
✔ Cloudflare에서 무료 도메인 등록
✔ 구글 클라우드 VM 생성 (f1-micro)
✔ Cloudflare DNS 설정으로 VM과 연결
✔ 구글 클라우드 방화벽 열기
✔ Apache 웹 서버 설치 및 실행
이제 무료로 웹사이트 운영이 가능해졌어요! 🚀
혹시 추가로 궁금한 점 있으면 언제든지 질문해 주세요. 😊
🎯 구글 클라우드 무료 VM에서 MySQL 사용 가능 여부
✅ 결론부터 말하면
✔ 구글 클라우드의 무료 VM(Compute Engine)에서 MySQL을 직접 설치하면 무료로 사용 가능!
❌ 하지만 **Cloud SQL (구글의 MySQL 관리형 서비스)**는 무료가 아님!
즉, Compute Engine에서 직접 설치하면 무료지만,
구글의 Cloud SQL 서비스를 사용하면 유료예요.
1️⃣ Compute Engine에서 MySQL 무료로 설치하는 방법 🆓
**Compute Engine의 f1-micro 인스턴스(무료 VM)**를 사용하면,
MySQL을 직접 설치해서 완전히 무료로 운영할 수 있어요.
✅ MySQL 설치 방법 (Ubuntu 22.04 기준)
1️⃣ VM에 SSH 접속
-
구글 클라우드 콘솔에서 "SSH로 접속" 버튼 클릭
2️⃣ MySQL 서버 설치
bash
복사편집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mysql-server -y
3️⃣ MySQL 보안 설정
bash
복사편집
sudo mysql_secure_installation
-
root 비밀번호 설정 (설정하지 않아도 됨)
-
"Remove anonymous users?" →
Y
-
"Disallow root login remotely?" →
Y
-
"Remove test database?" →
Y
-
"Reload privilege tables now?" →
Y
4️⃣ MySQL 서비스 실행 확인
bash
복사편집
sudo systemctl status mysql
-
Active: active (running) 이 나오면 정상 실행 중!
📌 MySQL 설치 완료 화면 예시
2️⃣ MySQL 외부 접속 허용 (선택 사항)
기본적으로 MySQL은 로컬에서만 접속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어요.
만약 다른 서버나 로컬 컴퓨터에서 접속하려면 외부 접속을 허용해야 해요.
✅ 외부 접속 허용 설정 방법
1️⃣ MySQL 설정 파일 수정
bash
복사편집
sudo nano /etc/mysql/mysql.conf.d/mysqld.cnf
-
bind-address = 127.0.0.1
를 찾아서 -
bind-address = 0.0.0.0
으로 변경
2️⃣ MySQL 사용자 계정 생성 & 권한 부여
sql
복사편집
CREATE USER 'youruser'@'%' IDENTIFIED BY 'yourpassword'; GRANT ALL PRIVILEGES ON *.* TO 'youruser'@'%' WITH GRANT OPTION; FLUSH PRIVILEGES;
3️⃣ 방화벽에서 MySQL 포트(3306) 열기
bash
복사편집
sudo ufw allow 3306/tcp sudo systemctl restart mysql
4️⃣ 구글 클라우드 방화벽 설정
-
Google Cloud Console → VPC 네트워크 → 방화벽
-
새 방화벽 규칙 추가
-
이름:
allow-mysql
-
소스 IP:
0.0.0.0/0
(모든 IP 허용) -
포트:
tcp:3306
-
3️⃣ 구글 Cloud SQL (관리형 MySQL) 무료 가능? ❌
Cloud SQL은 구글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관리형 MySQL 서비스예요.
하지만 무료가 아니기 때문에 사용하면 비용이 발생해요! 💸
📌 Cloud SQL 요금 (2025년 기준)
-
최소 요금: 약 $7~$10/월
✅ 그러므로 Compute Engine에서 직접 설치하는 것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에요! 🎉
📌 결론: MySQL을 무료로 사용하려면?
✔ Compute Engine(무료 VM)에 직접 MySQL 설치 → 무료 ✅
❌ Cloud SQL (구글 관리형 서비스)는 무료가 아님
즉, 구글 클라우드 무료 가상 서버(Compute Engine)에서 직접 MySQL을 설치해서 사용하면 무료로 가능! 🚀
🎯 구글 클라우드 무료 VM에서 phpMyAdmin 설치 및 외부 접속 방법
우리가 할 작업은 다음과 같아:
✔ Apache & PHP 설치
✔ MySQL과 phpMyAdmin 설치
✔ phpMyAdmin 외부 접속 허용
✔ 구글 클라우드 방화벽 설정
1️⃣ Apache & PHP 설치 (웹 서버 준비)
phpMyAdmin은 웹 기반이라서, Apache 웹 서버와 PHP가 필요해.
✅ Apache & PHP 설치하기
VM에서 SSH 접속한 후 다음 명령어 입력:
bash
복사편집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apache2 php php-mbstring php-zip php-gd php-json php-curl -y
✅ Apache 실행 및 자동 시작 설정
bash
복사편집
sudo systemctl start apache2 sudo systemctl enable apache2
📌 테스트 방법:
웹 브라우저에서 http://VM_외부_IP/
입력하면 Apache 기본 페이지가 보여야 해! 🎉
2️⃣ MySQL 설치 (이미 설치했다면 건너뛰기)
이미 MySQL을 설치했다면 건너뛰고, 아직이라면 아래 명령어로 설치하자.
bash
복사편집
sudo apt install mysql-server -y sudo mysql_secure_installation
📌 MySQL 확인:
bash
복사편집
sudo systemctl status mysql
✅ Active: active (running)
이 나오면 정상 실행 중!
3️⃣ phpMyAdmin 설치
이제 phpMyAdmin을 설치해보자! 🚀
✅ phpMyAdmin 설치하기
bash
복사편집
sudo apt install phpmyadmin -y
📌 설치 도중 선택 옵션
-
웹 서버 선택:
apache2
선택 (스페이스바 → 엔터) -
phpMyAdmin을 설정할까요?
예
선택 -
MySQL root 비밀번호 입력 (기존 MySQL 비밀번호와 동일하게 입력)
4️⃣ phpMyAdmin 웹서버 연결
phpMyAdmin을 Apache 서버와 연결하려면 설정 파일을 수정해야 해.
✅ Apache에 phpMyAdmin 설정 추가
bash
복사편집
sudo nano /etc/apache2/apache2.conf
파일 맨 아래에 다음 내용 추가:
apache
복사편집
Include /etc/phpmyadmin/apache.conf
📌 파일 저장 후 Apache 재시작
bash
복사편집
sudo systemctl restart apache2
✅ 이제 웹 브라우저에서 http://VM_외부_IP/phpmyadmin
입력하면 phpMyAdmin 로그인 화면이 나와야 해! 🎉
5️⃣ phpMyAdmin 외부 접속 허용
기본적으로 phpMyAdmin은 로컬 접속만 허용하므로, 외부 접속을 활성화해야 해!
✅ phpMyAdmin 설정 파일 수정
bash
복사편집
sudo nano /etc/apache2/conf-available/phpmyadmin.conf
🔹 Require local
부분을 찾아서 아래처럼 변경
apache
복사편집
<Directory /usr/share/phpmyadmin> Options SymLinksIfOwnerMatch DirectoryIndex index.php AllowOverride All Require all granted </Directory>
📌 변경 내용 저장 후 Apache 다시 시작
bash
복사편집
sudo systemctl restart apache2
6️⃣ 구글 클라우드 방화벽 설정 (외부 접속 허용)
phpMyAdmin에 외부에서 접속하려면 **포트 80(HTTP) 또는 443(HTTPS)**을 열어야 해!
✅ 방화벽 규칙 추가 방법
-
"VPC 네트워크" → "방화벽 규칙" 클릭
-
"방화벽 규칙 만들기" 클릭
-
이름:
allow-http
-
트래픽 방향: 입력(Ingress)
-
소스 IP 범위:
0.0.0.0/0
-
포트:
tcp:80,443
(HTTP, HTTPS)
-
-
저장 후 적용
📌 구글 클라우드 방화벽 설정 예시
✅ 이제 외부에서도 http://VM_외부_IP/phpmyadmin
으로 접속 가능해! 🎉
📌 최종 결과 확인
이제 웹 브라우저에서 접속해보자! 🚀
✅ http://VM_외부_IP/phpmyadmin
➡ phpMyAdmin 로그인 화면이 나오면 성공! 🎉
📌 phpMyAdmin 로그인 화면 예시
🎯 결론: 완전 무료로 phpMyAdmin 설치 성공!
✔ Apache & PHP 설치
✔ MySQL & phpMyAdmin 설치
✔ phpMyAdmin 외부 접속 허용 설정
✔ 구글 클라우드 방화벽 설정으로 외부 접속 가능
이제 구글 클라우드 무료 가상서버에서 phpMyAdmin을 완벽하게 사용할 수 있어! 🚀
📌 구글 클라우드 무료 VM 디스크 용량 확장 가능할까?
✅ 가능해!
구글 클라우드의 **무료 티어(Free Tier)**를 사용하면 최대 30GB까지 디스크를 설정해도 무료야! 🎉
🎯 1️⃣ 무료 티어에서 디스크 용량 증가 규칙
구글 클라우드 무료 VM(Compute Engine)에서 디스크 용량을 30GB까지 늘릴 수 있어!
하지만 몇 가지 규칙이 있어:
🔹 무료 조건
-
VM 생성할 때 디스크 크기를 30GB로 설정하면 무료 ✅
-
SSD가 아닌 HDD(Standard Persistent Disk)를 선택해야 무료 ✅
-
리전(지역)을 "us-east1", "us-west1", "us-central1" 중 하나로 선택해야 무료 ✅
-
1개의 VM(가상 서버)만 사용해야 무료 ✅
❌ 만약 30GB 이상으로 늘리거나, 여러 개의 VM을 만들면 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 💸
🚀 2️⃣ VM 생성할 때 30GB로 설정하는 방법 (무료)
VM을 처음 만들 때 디스크 용량을 30GB로 설정하면 추가 비용 없이 무료로 사용 가능해!
✅ 1. Compute Engine에서 VM 생성
-
Compute Engine → VM 인스턴스로 이동
-
"인스턴스 만들기" 클릭
✅ 2. 무료 티어 적용하기
-
리전(Region):
-
us-east1
또는us-west1
또는us-central1
선택 (무료 티어 적용됨)
-
-
머신 타입:
-
e2-micro
선택 (무료 티어 적용됨)
-
✅ 3. 디스크 크기 30GB로 설정하기
-
부트 디스크(운영체제 선택):
Ubuntu 22.04 LTS
또는Debian 11
-
디스크 크기:
30GB
입력 -
디스크 유형:
Standard Persistent Disk (HDD)
선택 (무료)
📌 설정 예시 화면
✅ 4. VM 생성 후 SSH 접속
VM을 만들고 SSH로 접속해서 df -h
명령어를 입력하면 30GB로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어! 🎉
bash
복사편집
df -h
⚠ 3️⃣ 기존 5GB VM에서 30GB로 확장하면?
지금 5GB짜리 VM을 이미 사용 중이라면 디스크 확장 가능해!
하지만 무료가 아닐 수도 있으니 조심해야 해!
✅ 디스크 확장 방법
기존 5GB VM에서 30GB로 늘리려면:
-
VM 인스턴스 중지
bash
복사편집
sudo shutdown -h now
-
Google Cloud Console → Compute Engine → 디스크 선택
-
"크기 변경"을 눌러 30GB로 확장
-
VM 다시 시작 후, 파일 시스템 확장 명령어 실행
bash
복사편집
sudo resize2fs /dev/sda1
✅ 이제 디스크 크기가 30GB로 늘어났어! 🎉
📌 디스크 확장 화면 예시
🔥 4️⃣ 결론: 돈 안 내고 30GB 쓰는 방법
✔ VM을 처음 만들 때 30GB로 설정하면 무료! ✅
✔ 디스크 유형은 HDD(Standard Persistent Disk)로 설정해야 무료! ✅
✔ 리전을 "us-east1", "us-west1", "us-central1" 중 하나로 설정해야 무료! ✅
❌ 기존 5GB VM을 30GB로 확장하면 무료가 아닐 수도 있어!
💡 최고의 방법:
새 VM을 만들 때 30GB로 설정하는 것이 확실하게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야! 🚀
마지막으로
챗지피티랑 주고 받은 대화를 무시하고
답변을 보시고 웹개발 연습을 하실 분이나
아니면 임시로 클라우드 서버가 필요하실 때
가끔씩 무료로 사용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상. 어슬렁 개발자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