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는 '프롬프트' 정보
AI는 '프롬프트'
본문
첫 번째 AI 생성 이미지는 웹에서 가져온 것이고, 두 번째 AI 생성 이미지는 스테이블 디퓨전을 이용해 직접 만든 이미지인데, 퀄리티 차이가 극심해서 마치 다른 프롬프트로 생성된 이미지처럼 보이겠지만 첫 번째 이미지에 사용된 프롬프트를 그대로 복사하여 사용한 것이 두 번째 이미지라면, 믿기 어려우실 겁니다.
문제는 ‘네거티브 프롬프트(negative prompt)’에 대한 암시적 언급이 없어 발생하는 차이였습니다. 텍스트나 음성으로 요청하더라도, 사용한 프롬프트의 반대급부(즉, 해당 프롬프트가 가져올 수 있는 비관적 결과물이나 AI 엔진의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인한 결함)를 함께 언급하면 이미지의 퀄리티가 훨씬 개선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빠르게 발전하는 AI 기술 덕분인지, 이제는 프롬프트에 대한 전문적 지식 없이도 고도의 결과물이나 내가 원하는 이미지를 얻는 것이 가능하리라 생각들을 하시겠지만 아직 완벽하게 내 생각과 일치하는 결과물을 얻기에는 시기상조인 듯하여 글을 남겨봅니다.
인간이 AI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 높아질 수록에 어떤 결과물에 대한 기대치는 끝없이 커지겠고 커진만큼의 논리력, 사고력, 표현력 등등을 얻기위한 부단한 노력을 해야겠죠. 짧은 생각이지만 아주 먼 미래도 지금과 그닥, 다르지 않겠다 싶기도 한데 심심하다!!!!
p.s..제가말하는 아주 먼 미래는 인간 평균이 아인슈타인이나 테슬라급인 미래를 말하는 것.
1
댓글 8개
프롬프트 사이언스라는 말이 나올만도 합니다.^^

@김철용 '프롬프트 엔지니어링'게 결국 언제, 어디, 무엇을, 뭘...등등등 하는 식으로 사용자의 논리적 사고를 요구하는 일인데 생각해보면 인간의 사고력과 관계가 깊다 생각해요. 배움이 짧아 지식의 깊이와 폭이 좁으면 표현력이 거칠고 투박해지는데 이런 분들이 AI를 잘 사용하기에는 애초에 틀려먹은 일이고 경쟁력이 떨어지겠죠.
AI가 독심술을 배우지 않는 이상 지식의 정도나 교육의 정도에 따른 사회적 우열은 그대로 가져가는 거라 인간은 앞으로도 계속 자기개발을 해야겠다 싶네요. 아? 일론 머스크가 개발중인 그 거스기(?)가 완벽해지면 기계도 독심술이 생기겠네요.ㅎㅎㅎ

첫번째 이미지가 맘에 드는데요 ^^

@예뜨락 저 첫번째 이미지가 테이블 디퓨전API로 연동 .json 파일 업로드로 바로 만들어진 이미지더라구요. 한번 만들어 볼까 하다가 최근 무리를 해서 그냥 쉬기로 했네요.

구글 veo3인지 뭐시긴지 영상 보니까
이제 정말 얼마 안남았다 싶네요
인간의 창의력이나 논리적 구성 능력이
과연 오랜 시간 인공지능보다 우위를 점할 것인가...
저는 회의적으로 보입니다.
물론 이 모든 것이 부에 따라 나뉘게 될 것도 명확해보이고요

@쪼각조각 AI, 양자컴퓨터, 뉴럴링크 등등의 이 모든 출현이 결국 진화의 한 단계이고 인류사 최초 생물학적 진화가 아닌 진화가 되겠죠. 저도 모를 미래지만 AI와 인간과의 우열관계를 논하는 건 '인간 vs 치타'의 100M 달리기시합을 시키는 일과 별반 다를게 없다는 생각이드네요. 치타와 달리기를 하면 당연하게 지겠지만 고릴라와 인간이 팔씨름을 하면 당연하게 지겠지만 인류는 번영으로 달려왔죠.
비 전문가의 글이니 의미를 새길일은 아니지만 분명한 것은 석기시대에는 돌을 날카롭게 빨리 다듬는 종이 생존했고 철기시대 또한 다르지 않았으니 AI를 빨리 내것으로 만든 인간이 생존하고 우위를 점하겠다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우위를 선점한자가 부의 분배도 크게 받지 않을 까요?
짤 생성관련해서는 2차창작 관련 AI들이 더 발전해있는거 같습니다.

@nekoieye 인터넷을 제한적으로 거의 2달 정도 살다가 어제 오늘 둘러보니 AI짤들이 거의 작품 수준까지 왔더라구요.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