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사이트 불공정행위에 대하여(사이트 유료등록) 정보
포털사이트 불공정행위에 대하여(사이트 유료등록)본문
검색사이트 유료등록에 대하여...
오랫만에 그누보드에 글을 적네요.
그누보드 회원님들 중 상당수가 웹에이전시 사업을 하시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는 웹에이전시와는 상관이 없는 단순한 인터넷 사용자로서 포털사이트의 불공정행위에 대한 의문을 제기할까 합니다.
제가 제기하는 문제점들은 웹에이전시 사업을 하시는 분께도 상당히 중요한 문제로 인식될 것입니다.
많은 의견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누보드 회원님들 중 상당수가 웹에이전시 사업을 하시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는 웹에이전시와는 상관이 없는 단순한 인터넷 사용자로서 포털사이트의 불공정행위에 대한 의문을 제기할까 합니다.
제가 제기하는 문제점들은 웹에이전시 사업을 하시는 분께도 상당히 중요한 문제로 인식될 것입니다.
많은 의견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검색을 가장 중요시하는 포털사이트는 사이트정보DB가 상당히 중요한 자원입니다. 포털사이트 사업초기, 사이트 성공의 밑거름이었으며 성공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사용자에게서 받아내야만 했던 정보였습니다.
포털사이트의 변변한 수익모델이 없었을 당시 포털사이트는 사이트 유료등록이라는 수익모델을 만들어 처음으로 수익을 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그 전까지는 무료등록(상업사이트포함)으로 사이트 등록을 했었지요.
그러나 유료등록이 생긴 후 무료등록을 등한시 하며, 비상업사이트인데도 불구하고 엄격한 등록 기준을 마련하여 무료등록은 날이 갈수록 점점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어이없는 것은 비상업 사이트의 무료등록이 거부되었지만 유료등록을 하면 사이트 등록기준과는 상관없이 바로 등록시켜준다는 것입니다.
이 처럼 포털사이트는 우월한 지위를 이용하여 자신들의 수익을 위해서 비상식적인 행위를 하고 있습니다.
2007년 현재, 많은 포털사이트는 스폰서링크(오버추어, 구글애드센스)로 엄청난 수익을 내고 있으며, 많은 수익모델이 개발이 되어 나날이 수익이 늘어가고 있는 상황이며 네이버의 경우 직원의 급여등을 제외하고라도 순수익이 40%정도라고 합니다.
대기업이 100원짜리를 팔아서 십몇원의 수익을 얻는 것 같이 10% 대의 수익률과 비교해 보면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의 수익률은 엄청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포털사이트의 변변한 수익모델이 없었을 당시 포털사이트는 사이트 유료등록이라는 수익모델을 만들어 처음으로 수익을 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그 전까지는 무료등록(상업사이트포함)으로 사이트 등록을 했었지요.
그러나 유료등록이 생긴 후 무료등록을 등한시 하며, 비상업사이트인데도 불구하고 엄격한 등록 기준을 마련하여 무료등록은 날이 갈수록 점점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어이없는 것은 비상업 사이트의 무료등록이 거부되었지만 유료등록을 하면 사이트 등록기준과는 상관없이 바로 등록시켜준다는 것입니다.
이 처럼 포털사이트는 우월한 지위를 이용하여 자신들의 수익을 위해서 비상식적인 행위를 하고 있습니다.
2007년 현재, 많은 포털사이트는 스폰서링크(오버추어, 구글애드센스)로 엄청난 수익을 내고 있으며, 많은 수익모델이 개발이 되어 나날이 수익이 늘어가고 있는 상황이며 네이버의 경우 직원의 급여등을 제외하고라도 순수익이 40%정도라고 합니다.
대기업이 100원짜리를 팔아서 십몇원의 수익을 얻는 것 같이 10% 대의 수익률과 비교해 보면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의 수익률은 엄청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동안 수많은 사이트 등록 비용을 포털사이트에 지불해 왔을 것입니다.
스폰서링크나 광고상품이 없었을 당시에는 사이트상위에 노출하기 위하여 198,000원이라는 비용이 아깝지 않는 상황이었지만
광고판이 되어버린 현재의 포털사이트 검색에서 사이트 유료등록은 예전과 같은 가치가 거의 없어져 버렸습니다.
그러나 이미 사람들 인식 속에는 상업사이트=198,000원 이라는 등식이 굳어져 버린 상황입니다.
그래서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도 없이 그냥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마치 코끼리를 구속하는 밧줄과 같이 처음에는 반발을 해보지만 나중에는 밧줄에 벗어날 수 없다는 듯 체념하다가 결국에는 아예 인식조차하지 못하는 코끼리의 상흔과 같이 느껴집니다.
스폰서링크나 광고상품이 없었을 당시에는 사이트상위에 노출하기 위하여 198,000원이라는 비용이 아깝지 않는 상황이었지만
광고판이 되어버린 현재의 포털사이트 검색에서 사이트 유료등록은 예전과 같은 가치가 거의 없어져 버렸습니다.
그러나 이미 사람들 인식 속에는 상업사이트=198,000원 이라는 등식이 굳어져 버린 상황입니다.
그래서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도 없이 그냥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마치 코끼리를 구속하는 밧줄과 같이 처음에는 반발을 해보지만 나중에는 밧줄에 벗어날 수 없다는 듯 체념하다가 결국에는 아예 인식조차하지 못하는 코끼리의 상흔과 같이 느껴집니다.
포털사이트의 불공정 행위에 대한 의구심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면...
처음 유료등록으로 전환했을 당시, 모든 포털사이트가 동시에 유료화되었다는 점입니다.
그것도 198,000원이라는 똑같은 금액으로 말입니다.
업체 담합이라는 강한 의구심이 듭니다.
처음 유료등록으로 전환했을 당시, 모든 포털사이트가 동시에 유료화되었다는 점입니다.
그것도 198,000원이라는 똑같은 금액으로 말입니다.
업체 담합이라는 강한 의구심이 듭니다.
이제 이러한 포털사이트의 불공정행위를 고발하고 포털사이트의 상업 사이트유료등록을 무료로 전환시켜야 하지 않을까요?
제가 지금까지 말씀드린 점이 너무 무리한 생각일까요?
포털사이트의 수익에 대해서 제가 반발하는 것이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도 계시겠지만...
저는 포털사이트의 엄청난 수익률과 불공정 행위에 대한 지적이 반드시 필요하리라 생각합니다.
포털사이트의 수익에 대해서 제가 반발하는 것이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도 계시겠지만...
저는 포털사이트의 엄청난 수익률과 불공정 행위에 대한 지적이 반드시 필요하리라 생각합니다.
그누회원님,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지속적으로 의견을 나누기 위하여 포럼게시판에도 올리겠습니다.
추천
0
0
댓글 13개
동감합니다. 거미줄 처럼 얽히고 섥힌 자칭 포털들..
싸이트 가입시 개인정보도 조심해야겠습니다.
요즘 대선이 가까워 지자 막나갑니다. ㅡㅡ;
싸이트 가입시 개인정보도 조심해야겠습니다.
요즘 대선이 가까워 지자 막나갑니다. ㅡㅡ;
네..의견 감사합니다. 많은 정보가 수익에 이용되는 요즘, 개인정보만큼 잘 관리해야 될 것은 없을 것입니다.
아주 날카로운 글이군요.
공감합니다.
공감합니다.
공감해 주신다니 저만의 혼자 생각이 아니었구나...라는 생각이 드네요. 의견 감사합니다.
포털 무료등록과 관련하여...
제 홈피는 약 10여년 전부터 있었지만
그때는 영리 비영리 전부 무료였을때 였습니다.
그런데 3년전에 도메인 바꾸면서 새로이 무료등록 신청을 했습니다.
JEJUIMAGE.COM 인데요.
파란은 유료등록해야 된다고 거절 연락와서 등록을 안했구요.
네이버등 나머지는 무료등록이 되어있습니다.
일정한 구체적인 기준은 없는것 같기도 하고
화장실 갈때 신청하면 잘 되는것 같기도 하고..
도메인 종류에 관계없이
돈 문제가 없는 개인홈은 무료등록이 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질문!
근데 등록후 3년 정도 되었는데
영리 사이트로 바뀌게 되면 어떻게 되죠?
등록비 내야 되는건지
3년 경과 후에는 무사히 살짝 넘어가도 괜찮은지...
좀 우스운 이야기 추가합니다.
등록 신청 안했는데도
자기들이 먼저 등록 시켜주기도 하는군요.
제 홈피는 약 10여년 전부터 있었지만
그때는 영리 비영리 전부 무료였을때 였습니다.
그런데 3년전에 도메인 바꾸면서 새로이 무료등록 신청을 했습니다.
JEJUIMAGE.COM 인데요.
파란은 유료등록해야 된다고 거절 연락와서 등록을 안했구요.
네이버등 나머지는 무료등록이 되어있습니다.
일정한 구체적인 기준은 없는것 같기도 하고
화장실 갈때 신청하면 잘 되는것 같기도 하고..
도메인 종류에 관계없이
돈 문제가 없는 개인홈은 무료등록이 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질문!
근데 등록후 3년 정도 되었는데
영리 사이트로 바뀌게 되면 어떻게 되죠?
등록비 내야 되는건지
3년 경과 후에는 무사히 살짝 넘어가도 괜찮은지...
좀 우스운 이야기 추가합니다.
등록 신청 안했는데도
자기들이 먼저 등록 시켜주기도 하는군요.
알라뷰님께서 공감하시듯이 이것이 현재 포털의 사이트등록에 기준없이 중구난방식으로 등록한다는 것입니다. 이런 점을 활용하여 무료등록을 하는 사람들도 있지요. 어떤 사람은 비영리사이트로 만든 후에 등록되고 난 후에 영리사이트로 바꾸는 사람도 있습니다. 포털에서 보면 이런 사람들이 잘못되었지만, 애초부터 포털의 유료등록은 제가 본문에서 말씀드린 문제가 있었으므로 저는 이런 사람들을 비난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사이트 등록의 재정비가 필요하리라 생각합니다.
무료등록 했더라도
영리로 바꾸게되면
다시 유료등록해야 된답니다.
걸리면 등록 다시 안해준다는...
영리로 바꾸게되면
다시 유료등록해야 된답니다.
걸리면 등록 다시 안해준다는...
포털에서는 그렇게 말할수 밖에 없겠지요. 그런 빈틈을 노려 등록하게 되면 자신들의 수익과 직결되니까 말이죠. 그래서 이렇게 포털에 끌려가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그들의 우월적 지위를 이용하여 마음대로 수익을 만들려고 하는 포털의 행태에 대한 비판과 불공정행위 비판의 공감대 형성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역시 고양이목에 방울을 누가 다느냔 문제가 될까요?
저같은 경우는 사이트제작영업과는 무관하므로 문제제기해도 되겠지만, 이부문에 인식을 하는 분들이 대부분 web비지니스분야에 있는 분들이 아닐까 싶습니다.
결국 최선의 자료를 만든 다음 언론에 호소하는 방법이 좋겠군요.
저같은 경우는 사이트제작영업과는 무관하므로 문제제기해도 되겠지만, 이부문에 인식을 하는 분들이 대부분 web비지니스분야에 있는 분들이 아닐까 싶습니다.
결국 최선의 자료를 만든 다음 언론에 호소하는 방법이 좋겠군요.
의견 감사합니다. 이와 같이 포털사이트의 불공정행위에 대해서 사람들이 계속 문제제기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아직 이 문제를 인식하는 사람들 수가 너무나 작은 것 같습니다.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01&article_id=0001581596§ion_id=105&menu_id=105
참고해 보시구요.
그러나 정작 포털들은 회피하고만 있는게 현실입니다.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01&article_id=0001581596§ion_id=105&menu_id=105
참고해 보시구요.
그러나 정작 포털들은 회피하고만 있는게 현실입니다.
요청하신 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
웹페이지 주소가 변경되었거나 삭제된 기사입니다.
재빨리 지웠네요 -_-;;
툭하면 뭐 지우는군요.
웹페이지 주소가 변경되었거나 삭제된 기사입니다.
재빨리 지웠네요 -_-;;
툭하면 뭐 지우는군요.
이럴 줄 알고 또 다른 뉴스 링크 찾아봤습니다.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01&article_id=0001581335§ion_id=105&menu_id=105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01&article_id=0001581335§ion_id=105&menu_id=105
^___^ 좋은 글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