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만들기] 세 번째 이야기 정보
기타 [게시판만들기] 세 번째 이야기본문
=========================================================================================
제목 : [게시판 만들기] 세 번째 이야기
작성자 : 하노(***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이메일주소 노출방지 ***)
관련자료 : <a href="http://man.phpschool.com/manual/kr/index.php">PHP4 메뉴얼</a>
<a href="http://www.faqs.org/rfcs/rfc2616">HTTP 1.1 규격</a>
=========================================================================================
< 편의상 존칭을 생략합니다. >
앞선 강좌에서는 게시판 테이블의 각 구성요소가 어떠한 것이 있는지 알아 보았다.
게시판의 구조를 결정했으면 이를 MySQL DB에 테이블을 만들고 게시판에 필요한 설정파일들을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앞으로 게시판을 인스톨 한다고 표현하도록 하겠다.
몇번의 강좌동안 게시판 인스톨 소스를 분석하고 이를 익혀 보도록 하자.
( 틀린 점은 바로 바로 지적해 주기 바란다. 혼자 공부한 것이라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음 ^^;; )
위의 그림은 앞으로 같이 만들 게시판 프로그램의 구조이다.
인스톨 프로그램은 "bbs/install" 에 들어간다.
//-------------------------------------------------
// bbs/install/install.php
//-------------------------------------------------
<?
// 변수사용이 가능한지 확인
// 함수 앞에 있는 @는 에러 발생시 에러 출력을 방지한다.
// extract( 변수 ) - 변수사용 가능한지 확인
@extract( $HTTP_POST_VARS );
@extract( $HTTP_GET_VARS );
// DB 설정 파일 확인
// MySQL DB에 접속하기 위한 설정파일이 있는지 검사하고 있다면 프로그램 종료한다.
// file_exists( 파일명 ) - 파일이 있는지 검사
// header( 헤더 ) - HTTP 헤더 전송
// 예) header( "location:./" ) - 현재 디렉토리로 바꾼다. 즉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index.php나 index.htm이 실행된다.
if( file_exists( "../dbconfig.php" ) ) { header( "location:./" ); exit; }
// 퍼미션 검사
// 퍼미션이란 파일(혹은 디렉토리)에 접근 할 수 있는 권한을 말한다.
// 게시판등을 설치하다 보면 퍼미션을 777 또는 707로 바꾸라는 글을 볼 수있다.
// 이 것은 프로그램 실행 도중 파일 작업을 해야 되니 허락을 해 달라는 의미다.
// 파일 작업이란 읽고 , 쓰고, 지우는 3가지 일을 말한다.
// 이 것을 2진수 3자리로 표시한다. 허락하면 1, 거절하면 0이다.
// 즉 읽고 쓰고 지우는 일을 모두 허락하면 111이 된다. 이것을 8진로 바꾸면 7이 되는 것이다.
// 이 권한은 관리자, 그룹 회원, 일반 회원으로 3가지가 있어 이들에게 모두 허락하면 777이 되는것이다.
// 권한이 707이라는 것은 그룹 회원은 허락하지 않고 관리자와 일반 회원에게 허락한다는 의미이다.
// 보통은 707로 설정해도 문제는 없으나 간혹 777로 해주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 그누보드의 경우 707인지만 검사해서 777로 해주어야 하는 곳에서는 엉뚱한 결과를 내기도 한다.
// ( 퍼미션 검사는 넘어가고 파일 작업시 에러남 - 실제로는 777로 해야하나 707로 해도 퍼미션검사에서 에러가 나지 않기 때문에 설치하는 사람이 777로 설정해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있다. )
// 대표적으로 네띠앙의 웹호스팅을 들 수 있다.
// 여기서는 777과 707을 모두 검사한다.
// 아래 소스에서는 777과 707이 아닌 16895과 16839을 비교하는데 fileperms()함수가 퍼미션을 10진수로 알려 주기 때문이다.
// 각각을 8진수로 고치면 40777과 40707이 된다.
// 앞의 붙은 40은 디렉토리라는 의미이다.( 정확히는 앞에 있는 4가 )
// 여기서는 소스의 간편화를 위해 10진수로 비교하였다.
// 참고) header( "location:./installmysql.php" ) - installmysql.php 로 바꾼다. 즉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installmysql.php 이 실행된다.
if( ( fileperms( "../" ) == 16839 ) || ( fileperms( "../" ) == 16895 ) ) header( "location:./installmysql.php" );
echo "
<title>HANO Board Install : permission setting</title>
<span style='font-size:10pt; font-family:Verdana, 굴림;'>
<p>"HANO Board" 설치 중 에러가 발생했습니다.</p>
<p>설치 폴더의 권한이 707 또는 777 이 아닙니다.</p>
<p>권한 설정 후 새로고침(F5) 하여 설치 하시기 바랍니다.</p>
</span>"
?>
제목 : [게시판 만들기] 세 번째 이야기
작성자 : 하노(***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이메일주소 노출방지 ***)
관련자료 : <a href="http://man.phpschool.com/manual/kr/index.php">PHP4 메뉴얼</a>
<a href="http://www.faqs.org/rfcs/rfc2616">HTTP 1.1 규격</a>
=========================================================================================
< 편의상 존칭을 생략합니다. >
앞선 강좌에서는 게시판 테이블의 각 구성요소가 어떠한 것이 있는지 알아 보았다.
게시판의 구조를 결정했으면 이를 MySQL DB에 테이블을 만들고 게시판에 필요한 설정파일들을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앞으로 게시판을 인스톨 한다고 표현하도록 하겠다.
몇번의 강좌동안 게시판 인스톨 소스를 분석하고 이를 익혀 보도록 하자.
( 틀린 점은 바로 바로 지적해 주기 바란다. 혼자 공부한 것이라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음 ^^;; )
위의 그림은 앞으로 같이 만들 게시판 프로그램의 구조이다.
인스톨 프로그램은 "bbs/install" 에 들어간다.
//-------------------------------------------------
// bbs/install/install.php
//-------------------------------------------------
<?
// 변수사용이 가능한지 확인
// 함수 앞에 있는 @는 에러 발생시 에러 출력을 방지한다.
// extract( 변수 ) - 변수사용 가능한지 확인
@extract( $HTTP_POST_VARS );
@extract( $HTTP_GET_VARS );
// DB 설정 파일 확인
// MySQL DB에 접속하기 위한 설정파일이 있는지 검사하고 있다면 프로그램 종료한다.
// file_exists( 파일명 ) - 파일이 있는지 검사
// header( 헤더 ) - HTTP 헤더 전송
// 예) header( "location:./" ) - 현재 디렉토리로 바꾼다. 즉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index.php나 index.htm이 실행된다.
if( file_exists( "../dbconfig.php" ) ) { header( "location:./" ); exit; }
// 퍼미션 검사
// 퍼미션이란 파일(혹은 디렉토리)에 접근 할 수 있는 권한을 말한다.
// 게시판등을 설치하다 보면 퍼미션을 777 또는 707로 바꾸라는 글을 볼 수있다.
// 이 것은 프로그램 실행 도중 파일 작업을 해야 되니 허락을 해 달라는 의미다.
// 파일 작업이란 읽고 , 쓰고, 지우는 3가지 일을 말한다.
// 이 것을 2진수 3자리로 표시한다. 허락하면 1, 거절하면 0이다.
// 즉 읽고 쓰고 지우는 일을 모두 허락하면 111이 된다. 이것을 8진로 바꾸면 7이 되는 것이다.
// 이 권한은 관리자, 그룹 회원, 일반 회원으로 3가지가 있어 이들에게 모두 허락하면 777이 되는것이다.
// 권한이 707이라는 것은 그룹 회원은 허락하지 않고 관리자와 일반 회원에게 허락한다는 의미이다.
// 보통은 707로 설정해도 문제는 없으나 간혹 777로 해주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 그누보드의 경우 707인지만 검사해서 777로 해주어야 하는 곳에서는 엉뚱한 결과를 내기도 한다.
// ( 퍼미션 검사는 넘어가고 파일 작업시 에러남 - 실제로는 777로 해야하나 707로 해도 퍼미션검사에서 에러가 나지 않기 때문에 설치하는 사람이 777로 설정해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있다. )
// 대표적으로 네띠앙의 웹호스팅을 들 수 있다.
// 여기서는 777과 707을 모두 검사한다.
// 아래 소스에서는 777과 707이 아닌 16895과 16839을 비교하는데 fileperms()함수가 퍼미션을 10진수로 알려 주기 때문이다.
// 각각을 8진수로 고치면 40777과 40707이 된다.
// 앞의 붙은 40은 디렉토리라는 의미이다.( 정확히는 앞에 있는 4가 )
// 여기서는 소스의 간편화를 위해 10진수로 비교하였다.
// 참고) header( "location:./installmysql.php" ) - installmysql.php 로 바꾼다. 즉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installmysql.php 이 실행된다.
if( ( fileperms( "../" ) == 16839 ) || ( fileperms( "../" ) == 16895 ) ) header( "location:./installmysql.php" );
echo "
<title>HANO Board Install : permission setting</title>
<span style='font-size:10pt; font-family:Verdana, 굴림;'>
<p>"HANO Board" 설치 중 에러가 발생했습니다.</p>
<p>설치 폴더의 권한이 707 또는 777 이 아닙니다.</p>
<p>권한 설정 후 새로고침(F5) 하여 설치 하시기 바랍니다.</p>
</span>"
?>
추천
0
0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