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션.... 아.......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세션.... 아....... 정보

세션.... 아.......

본문

자게에 올리기는 심오하고
여기에 올리기는 쑥스럽네요 ㅎㅎ
개인적으로 돌리는 윈2003+아파치 서버가 있습니다.
리눅스? 그딴거 모릅니다^^

홈피 몇개가 그누보드4로 돌아가구요.
그 중 접속자 많은 홈이...
세션때문에 속칭 x랄 입니다. -_-
data\session 경로에 하루에 수만개의 세션이 쌓여버리니.. 그거 지울라 치면 컴이 다운될라 합니다.
폴더 접근하는순간 윈도우가 폴더 정보 읽느라 계속 벅벅댑니다.
아.. 골치아퍼라....
이걸 어떻게 해결하는 방법 없을까 계속 고민중..
전에 사용하던 zeroboard는 자잘한 세션파일 아닌 굵찍한(?) 세션파일로 그리 많지 않은 파일을 생성하던데.. ]
그누4는 구조가 틀려서 그러가...
세션 지못미..

추천
0

댓글 22개

저도 세션이 너무 많이 쌓여서 세션디렉토리로 들어갔는데..
모두 삭제 명령을 주니 못지우더군요. 인수가 너무 많다고.
와일드카드를 써도 소용없고..

그래서 디렉토리 안으로 이동하지 않고 data 디렉토리까지만 이동 후 아예 session 디렉토리를 삭제 후
다시 재생성 합니다.

이렇게 하면 안의 세션파일을 출력할 필요가 없으니 버벅거리지 않고 삭제가 되더군요.
디렉토리로 통째로 날리니.

리눅스에서는 새로 생성 후 권한과 소유권만 세팅해주면 되었었는데
윈도우즈에서는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어쨌든 data 디렉토리까지만 이동후 날리시는것이 정신건강에 좋더라는..
윈도의 경우 폴더삭제를 할려구 해도 결국 폴더내 정보까지 다 긁은다음 폴더를 지우기땜에 소용없네요
그나마 조용히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세션디렉터리이름을 다르게 바꾼 후 (그냥 바꾸면 역시 컴터 맛갈라 하고.. 콘솔 커멘드 모드에서 rename 으로 바꿔야...) 다시 세션디렉터리를 생성하면 되더군요.
물론 지우는게 아니기 때문에 잠시 일꺼리를 뒤로 미루는것일뿐......
1주일 간격으로 각 계정별 파일을 D드라이브로 자동 압축 백업하는데 이넘에 세션때문에 하드가 죽을라 합니다.
ssd써야되나..... ㅡ,.ㅡ
계정별 백업작업이라는 문구를 보니,
참... 사용자 계정마다 특별한 기능을 제공하시나요?
이를테면 crontab에 상응하는 기능을 사용하고 있다거나...

그것이 아니라면 세션 가비지의 존속시간은,
일반적으로 24시간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72시간 정도로 설정하지 않나 생각됩니다만...

그 시간에 맞추어 서버관리자 입장에서 cron으로 세션경로를 관리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
rm -rf sess_*

session경로가 아닌,
/data 경로 자체에도 접근할 수 없다면,
먼저 /data 경로의 퍼미션을 777로 설정한 이후,
상단에 기재된 것처럼 삭제하는 방식도...

세션 가비지가 대체 얼마나 있었을까요?
얼마 전 세션경로를 외국(독일)쪽 서버호스팅을 이용하시는 분(황***)의 내역을 쳐다보는데,
많더군요...

시스템 멈추는 줄 알았습니다만,
몇 백개가 아닌 몇 천개 단위라도 세션 가비지가 리스트되는 순서대로
분명히 삭제가 가능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아! 혹시 세션경로를 완전히 다른 경로로 수정하는 방법 없을까요?
그누소스를 수정하거나 서버 ini를 수정하거나 해서요...
램디스크 하나 잡아 놓고 세션 때려넣으면 딱 좋겠는데..
세션 경로 지정은 당연히 가능하겠지요.

서버측 ini를 설정한다면,
세션 접두어 자체도 관리가 가능하니,
이 부분도 변경 좀 하고...

다른 디스크에 일반적인 형태로 연동만 가능하다면,
못할 것도 없겠지요.

그러나... 그 처리속도는...
먼저 다른 디스크를 찾고,
그 다음에 경로를 찾아서 연동하고...
감사합니다.
한번 ini파일 열어 봐야겠네요..
첨부파일 용량 변경 외에는 건드려 본게 없는데..
할 수 있을런지 모르겠네요.
[Session]
session.save_handler = files
session.save_path = "C:\HTTP\session"
session.use_cookies = 1
;session.cookie_secure =
; session.use_only_cookies = 1
session.name = PHPSESSID
session.auto_start = 0
session.cookie_lifetime = 0
session.cookie_path = /
session.cookie_domain =
session.cookie_httponly =
session.serialize_handler = php
session.gc_probability = 1
session.gc_divisor    = 100
session.gc_maxlifetime = 1440
session.bug_compat_42 = 1
session.bug_compat_warn = 1
session.referer_check =
session.entropy_length = 0
session.entropy_file =
;session.entropy_length = 16
;session.entropy_file = /dev/urandom
session.cache_limiter = nocache
session.cache_expire = 180
session.use_trans_sid = 0

흠........ 어딜 어떻게 건드려야 될까요.. 초난감..^^
경로가 c:\... 요렇게 된거는 윈도우+아파치 서버라 그래요
session.save_path = "C:\HTTP\session"

다른 경로의 드라이브가 D:\라고 한다면,
바로 이 D:\를 인식할 수 있는지를 점검할 필요.

세션의 존속시간은 그누보드 기준으로 초기 설치경로에 있는 것으로 기억합니다만...
http://sir.co.kr/bbs/board.php?bo_table=g3_tiptech&wr_id=6285&page=8
http://sir.co.kr/search.php?cx=018305185258818980150%3Abeoqzumx-ra&cof=FORID%3A9&q=%BC%BC%BC%C7%C0%C7+%C1%B8%BC%D3%BD%C3%B0%A3#1325

현재 g4의 세션가비지 존속시간은 1440분,
즉 24시간을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만,
하단의 경우처럼 현재시각을 기준으로 24시간을 초과한 경우라 할지라도,
관리자 모드 > 세션관리에서 삭제되지 않고 버티는 녀석들이 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녀석들을 관리하려면,
세션 경로의 자료는 특정한 영역에서 연결(링크)시키고,
그 제어가 crontab을 활용하여 주기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rw-------  1 nobody nobody    27 May 11 18:45 sess_거시기머시기영숫자로겁나게16a62ee0
음!~~~~

1. 유저가 로그인해서 섹션을 만든다..

2. 섹션검색을 하니 섹션값이 100개가 넘는다  !!!

3. 가감하게 섹션폴더를 초기화 해버리고.. 초기화한 유저의 섹션만 살린다..

4. ㅋ~~~  다른 접속자들 재로그인 해야하나..ㅠ ??
세션이 만 단위가 넘는 곳을 보았습니다. 아주 끔찍하더군요.
갑자기 궁금한게 생각이 났습니다.

왜 파일이 많으면 인수가 너무 많다고 못지운다고 하는지가 궁금해졌습니다. ( 리눅스에서 )

1. data/session/ 에서 rm -rf sess_*
2. data/session/ 에서 rm -rf *
3. data/ 에서 rm -rf session/sess_*
4. data/ 에서 rm -rf session/*
위의 네가지 경우는 삭제를 할수 없습니다. 인수가 너무 많습니다. 라고 나오지요.
만단위가 넘지 않고 천단위인 세션은? 마찬가지였습니다.

리눅스에서 특정 파일 ( 용량과는 상관없이 )의 수가 너무 많으면 지우지 못하는 이유가 궁금하네요.
리눅스의 시스템 어딘가에 특정 숫자가 넘어가면 삭제가 안되도록 하는 값이 있다?
이건 말이 안되는것 같고..
위 네가지 방법은 빨간모자와 안녕에서 테스트 해 본 결과입니다.
중절모에서는 해보지 않았습니다.

결론은 둘 다 data/ 에서 rm -rf session/ 으로 처리 ㅡ.ㅡa


P/S
어느분이 부탁을 해서 시스템에 들어가게 된일이 있었습니다.
시스템을 요리조리 보던 중 /var 와 /usr/local/apache 의 용량이 비정상적으로 크길래
뒤져가던 중 웹서버 로그가 무지 크더군요.
아무생각없이 웹서버 로그디렉토리로 이동후 또 아무생각 없이 200메가가 넘은 아파치 로그를 열어본 적도 있습니다.  ㅠ_ㅠ

이것도 결국 열리긴 하고 삭제가 되는데 말야. 빠각 ㅡ.ㅡ+
(열었던 로그를 닫는데만해도 무지막지하게 시간을 잡아먹더군요. 덜덜덜~ )
깔끔하게 로테이트 돌려주고 왔던 기억이...
크.. 이것저것 다 실패
그냥 매일 0시마다 세션지우기 콘솔 돌려야될듯
인터넷에 찾아보니 이런저런 팁들이 있는데
이놈에 윈도우os란게 참.. ㅎㅎ^^
전체 210 |RSS
자유게시판 내용 검색

회원로그인

(주)에스아이알소프트 / 대표:홍석명 / (062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7-34 한신인터밸리24 서관 1402호 / E-Mail: admin@sir.kr
사업자등록번호: 217-81-363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2014-서울강남-02098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김민섭(minsup@sir.kr)
© SIR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