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킨에서 html의 분리에 대해.. 정보
스킨에서 html의 분리에 대해..
본문
최근 자유게시판이나 질답에서 웹표준 관련 이야기가 종종 나오고 있습니다.
최신글이나 게시판 table 을 사용하지 않는 스킨에 대한 시도들도 꾸준히 나오고 영문판에 대한 시도와 건의도 올라옵니다.
그런데 제 생각에는 이보다 먼저 스킨에서 php 와 html을 분리하는 시도들이 더 먼저 있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저처럼 초보자들이 그누보드를 처음 접하면 스킨을 좀 이해해 보려해도 php 속에 엉켜진 php 와 html 때문에 도대체 어디가 어딘지 정신을 차릴 수 없더군요.
그렇게 되면 프로그래머는 php 코딩 부분에 좀 더 집중할 수 있고, 또 디자이너는 html 을 이용한 비주얼에 좀 더 집중하여 훨씬 더 다양하고 좋은 스킨들이 나올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지 않을까요?
누군가 게시판이나 최신글, 외부로그인 스킨을 php와 html을 분리시켜 준다면, 다음에 다시 php는 잘 모르지만 디자인에 뛰어난 누군가 html 소스를 수정해서 올리고, 다시 또 누군가 php를 더 개량하고... 이런식으로 발전된다면 발전도 빠를 뿐더러 훨씬 다양한 계층의 회원들이 함께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듭니다.
물론 관리자님 선에서 시작을 해주시면 바로 표준이라는 토대가 될 수도 있겠군요.
저도 초보자여서 이러한 의견이 맞는 것인지 조차 알 수 없지만, 몇달 그누보드 소스보다 드디어 포기하는 한 불쌍한 회원의 읍소입니다..^ ^
어떻게 좀 쉽게 해볼려다 포기하고, 결국 두꺼운 php 책 사놓고 한숨짓고 있는 초보자 올림....ㅠ ㅠ
추천
1
1
댓글 6개

정말 피부에 와 닿는 말씀입니다.

태터툴즈 같은 블로그가 대표적인거죠.. 분리가 되어 있고.. 표준에 맞춰가 있는 상태이고..
그누의 표준화는 아직은 먼 길이 될 듯 합니다 당장엔 말이죠..
아마.. 유저들의 노력들이 모여서 산발적으로 일어나다가 그게 결합되어 정리되는 방향이 되지 않을까
싶어요.
실제 제로의 국제화 버전들도 그런 식으로 이뤄져가고 있었지요. 그 동넨.. XE에서 너무 무거워지고 있
어서 그누가 더 희망적이긴 한데..
그누의 표준화는 아직은 먼 길이 될 듯 합니다 당장엔 말이죠..
아마.. 유저들의 노력들이 모여서 산발적으로 일어나다가 그게 결합되어 정리되는 방향이 되지 않을까
싶어요.
실제 제로의 국제화 버전들도 그런 식으로 이뤄져가고 있었지요. 그 동넨.. XE에서 너무 무거워지고 있
어서 그누가 더 희망적이긴 한데..

오래된 논제입니다.
스킨에 php 코드가 들어가지 않더라도 다른 코드로 대체해야 합니다.
그리고 확장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배추 베이직 스킨같은건 만들수가 없죠..
장단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래도록 이야기가 나오는 것이겠지만요.
스킨에 php 코드가 들어가지 않더라도 다른 코드로 대체해야 합니다.
그리고 확장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배추 베이직 스킨같은건 만들수가 없죠..
장단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래도록 이야기가 나오는 것이겠지만요.

글쎄요.. 그것 보다 차라리 디자이너들이 스킨을 디자인한 PDS 파일을 올리는 것들은 어떨까요?
그게 정말 확실한 구분일것 같은데 말이죠.
디자인과 코딩을 같이 한다는 것은 디자인의 퀄리티가 떨어 질수 밖에 없을것 같습니다.
진짜 디자인도 잘하시고 코딩도 잘하시고 프로그래밍도 잘하시는 분이 꼼꼼하기까지 해~
그럼 정말 좋은 스킨이 나오겠죠. 하지만 디자인과 코딩을 같이 했을때 간혹 이런 경우가 발생합니다.
코딩을 간편하게 하려고 디자인을 바꾸는 경우 디자인을 했는데 코딩이 안돼서 디자인을 포기 하는
경우, 간단하게 말해서 곡선으로 처리된 박스형태로 디자인 할 것을 네모 반듯한 박스로
디자인이 변할수도 있다는 거죠~
php, html 구분보다 좀 더 구체적이고 확실한 구분이 필요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게 정말 확실한 구분일것 같은데 말이죠.
디자인과 코딩을 같이 한다는 것은 디자인의 퀄리티가 떨어 질수 밖에 없을것 같습니다.
진짜 디자인도 잘하시고 코딩도 잘하시고 프로그래밍도 잘하시는 분이 꼼꼼하기까지 해~
그럼 정말 좋은 스킨이 나오겠죠. 하지만 디자인과 코딩을 같이 했을때 간혹 이런 경우가 발생합니다.
코딩을 간편하게 하려고 디자인을 바꾸는 경우 디자인을 했는데 코딩이 안돼서 디자인을 포기 하는
경우, 간단하게 말해서 곡선으로 처리된 박스형태로 디자인 할 것을 네모 반듯한 박스로
디자인이 변할수도 있다는 거죠~
php, html 구분보다 좀 더 구체적이고 확실한 구분이 필요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개발코드(php)와 디자인(html)을 분리한다는거..
얼핏 들으면 정말 멋져 보입니다만, 실상은 그렇지 못합니다.
제로보드xe 에서 템플릿 영역을 빼기 위해서 스마티를 넣은걸로 아는데, 스마티는 스마티 자체의 문법을 배우는데도 시간이 걸립니다. 문제는 개발자도 스마티를 배워야 하고 디자이너도 스마티를 배워야 한다는것입니다.
현재 그누보드 그조에서도 마지막 스킨단에 php 코드만 두고 템플릿 코드를 추가하면 됩니다.
큰작업도 아닙니다. 범용적인 Template_ 정도 하나 넣고, 코드 생성하면 됩니다.
model1, model2, mvc 뭐 좋은 개발방법 많습니다만, 그누에서 가장 효율적인 스킨 개발 방식은 현재와 같은 방식이라 생각합니다.
더 큰 장점을 위해서 단점 몇가지는 포기해야 하는거죠.
얼핏 들으면 정말 멋져 보입니다만, 실상은 그렇지 못합니다.
제로보드xe 에서 템플릿 영역을 빼기 위해서 스마티를 넣은걸로 아는데, 스마티는 스마티 자체의 문법을 배우는데도 시간이 걸립니다. 문제는 개발자도 스마티를 배워야 하고 디자이너도 스마티를 배워야 한다는것입니다.
현재 그누보드 그조에서도 마지막 스킨단에 php 코드만 두고 템플릿 코드를 추가하면 됩니다.
큰작업도 아닙니다. 범용적인 Template_ 정도 하나 넣고, 코드 생성하면 됩니다.
model1, model2, mvc 뭐 좋은 개발방법 많습니다만, 그누에서 가장 효율적인 스킨 개발 방식은 현재와 같은 방식이라 생각합니다.
더 큰 장점을 위해서 단점 몇가지는 포기해야 하는거죠.

으 아 ~~~
좀 쉬운 방법이 없을까 했는데 답변들 보니까, 머리가 더 복잡해 지네요.....
좀 쉬운 방법이 없을까 했는데 답변들 보니까, 머리가 더 복잡해 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