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1회용 카드에 관해서 쓴소리 정보
지하철 1회용 카드에 관해서 쓴소리
본문
지하철 카드가 회수용으로 바뀌면서 많은 불편을 느끼고 있는데요..
종이로 할경우 낭비가 많다고 하는데..제가 생각할때는 지금의 회수용플라스틱이 더 낭비가 심하다생각합니다.
저번에 한국에 갈일이 있어서 광주에서 지하철을 탓는데 동그란 플라스틱을 주더군요...
그런데 그 모양세는 고사혹 손때가 많이 뭍어 잇더군요??
위생상태가 가장 염려스러웠고 손으로 잡기가 껄끄럽더군요..
이래저래 일단 타고 역사직원에게 물어 보니 이게 종이보다 회수가 더 안단되는 말~~ㅋㅋ
종이로 할때보다 실질 손실이 더 많다고 합니다..허나 장기적으로 볼때 그리고 국민의식이 자의적으로 회수에 동참하고 모든 국민이 회수에 동참을 할경우 엔 머지않아 흑자가 되겠죠..
그러나 그럴일이 있을까요??
괜히 선진국에서 아직 종이회수권을 쓰는지 아십니까...
종이판매기 고장이니 장기적손실을 말하지 말고 정기권등을 다양화해서 폭넒은 사용을 권장하므로서 종이회수권의 손실이 더 줄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종이로 할경우 낭비가 많다고 하는데..제가 생각할때는 지금의 회수용플라스틱이 더 낭비가 심하다생각합니다.
저번에 한국에 갈일이 있어서 광주에서 지하철을 탓는데 동그란 플라스틱을 주더군요...
그런데 그 모양세는 고사혹 손때가 많이 뭍어 잇더군요??
위생상태가 가장 염려스러웠고 손으로 잡기가 껄끄럽더군요..
이래저래 일단 타고 역사직원에게 물어 보니 이게 종이보다 회수가 더 안단되는 말~~ㅋㅋ
종이로 할때보다 실질 손실이 더 많다고 합니다..허나 장기적으로 볼때 그리고 국민의식이 자의적으로 회수에 동참하고 모든 국민이 회수에 동참을 할경우 엔 머지않아 흑자가 되겠죠..
그러나 그럴일이 있을까요??
괜히 선진국에서 아직 종이회수권을 쓰는지 아십니까...
종이판매기 고장이니 장기적손실을 말하지 말고 정기권등을 다양화해서 폭넒은 사용을 권장하므로서 종이회수권의 손실이 더 줄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추천
0
0
댓글 4개
글쎄요?
홍콩도 그렇고 차츰 종이 승차권을 없애는 것이 추이 입니다.
우리나라의 보증금이 좀 많이 싸서 회수율이 낮을 겁니다.
글쿠 지금은 신용카드만 있으면 지하철 가능하고,
정기권 같은 것이 없어진 것도 이유가 있을 겁니다.
종이보다 조금 초기 손실이 많다고 종이를 써야한다?
그건 아니죠
광주의 지하철 타본 경험으로
다른 곳 지하철까지 도매금으로 판단할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한국도 지금은 OECD 국가 입니다.
한국보다 더 선진국이라고 말할 수 있는 곳이 얼마나 되겠습니까?
왜 우리는 자꾸 우리를 비하해야지만 하는 겁니까?
한국증시가 선진국 증시에 편입을 기다리는게 몇년째인데
선진국 따라가야 한다, 선진국은 그렇다, 그런 말들은 솔직히 그렇네요.
홍콩도 그렇고 차츰 종이 승차권을 없애는 것이 추이 입니다.
우리나라의 보증금이 좀 많이 싸서 회수율이 낮을 겁니다.
글쿠 지금은 신용카드만 있으면 지하철 가능하고,
정기권 같은 것이 없어진 것도 이유가 있을 겁니다.
종이보다 조금 초기 손실이 많다고 종이를 써야한다?
그건 아니죠
광주의 지하철 타본 경험으로
다른 곳 지하철까지 도매금으로 판단할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한국도 지금은 OECD 국가 입니다.
한국보다 더 선진국이라고 말할 수 있는 곳이 얼마나 되겠습니까?
왜 우리는 자꾸 우리를 비하해야지만 하는 겁니까?
한국증시가 선진국 증시에 편입을 기다리는게 몇년째인데
선진국 따라가야 한다, 선진국은 그렇다, 그런 말들은 솔직히 그렇네요.

전국의 교통카드를 하나로 통일 하는 것 입니다.
지하철 회사도 교통카드 운영 회사도 모두 다르쟎아요.
오랜 시간이 흘러서 그나마 수도권은 통일은 안되어도
연계는 잘 되고 있습니다. ㅎㅎ
오랜 시간이 흘러서 그나마 수도권은 통일은 안되어도
연계는 잘 되고 있습니다. ㅎㅎ
카드 회사 다니는데...
지금 전국으로 교통카드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일단 대도시 위주로요...
지금 전국으로 교통카드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일단 대도시 위주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