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 돈이 효자. "네이트 약진"... 네이버 하락....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역시 돈이 효자. "네이트 약진"... 네이버 하락.... 정보

역시 돈이 효자. "네이트 약진"... 네이버 하락....

본문

최근 네이트가 싸이월드 해외법인과 이투스를 매각하고
그 자금으로 TV광고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보셨을 겁니다. 이른바 "시맨틱검색"
현재 네이트는 이 검색 서비스로 검색점유율 10% 진입이 눈앞에 보이니 기세등등입니다.
그러나 네이버는 6%이상 하락입니다.

images?q=tbn:IsCKL-KyK91ggM:<a href=http://itviewpoint.com/files/attach/images/129/824/140/nate1.jpg" width=147 border=0>  images?q=tbn:Sk7A9lqnOqTruM:<a href=http://image.edaily.co.kr/images/photo/files/NP/S/2009/10/PS09100500085.GIF" width=136 border=0>  images?q=tbn:bEVpm5zUFgiOAM:<a href=http://pds17.egloos.com/pds/200911/02/89/a0111489_4aee8ed2537af.jpg" width=141 border=0>  images?q=tbn:bD41W6ThYzOftM:<a href=http://cfs4.flvs.daum.net/files/44/44/77/24/26473187/thumb.jpg" width=130 border=0>


뭐, 아주 신기술도 아닙니다만 네이트의 포털 3강 꿈이 아주 쬐~끔 근접됩니다.
한게임의 자금으로 TV광고를 인해전술로 때리면서
전지현을 앞세워서 웹 미숙자들을 엠파스의 짝퉁 "지식인"으로 끌어 모았던 신공을 네이트가 다시 해 낼까요?
남의 회사 TV광고에 까지 네이버 검색창을 보여줬던 네이버의 광고공격이었습니다.
네이버도 당시에 그 허접한 검색으로도 1위에 올라섰으니 네이트의 꿈이 불가능은 아닙니다.

images?q=tbn:6g4T6Ol8_2Hu-M:<a href=http://cfs12.tistory.com/image/32/tistory/2009/06/22/15/30/4a3f24f747ca4" width=150 border=0>  images?q=tbn:MCCkjXKhlW9yYM:<a href=http://www.wisia.com/shared/item_uploaded/15/1598/159802_0_500x.jpg" width=123 border=0>  images?q=tbn:L4pgMdbFsQcpeM:<a href=http://cfs8.tistory.com/image/21/tistory/2008/08/28/23/23/48b6b4f1bed21" width=130 border=0>  images?q=tbn:zU9N8PlwAvt6NM:<a href=http://hryoon.tossi.com/data/s1/fa/06/5e/hryoon/20090320091000601273.jpg" width=143 border=0>



다음도 많이 약진하였습니다.
경영개선 기대를 받으면서 17%이상의 주가도 상승하였습니다.
2012년에 이르면 TV광고를 제치고 광고매체 점유율 1위에 올라설 것으로 보이는 인터넷광고...
다음의 생활밀착형 경영정책과 UCC는 이런 기대에 부흥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images?q=tbn:brt7RPOGZGiDEM:<a href=http://c.ask.nate.com/imgs/qrsi.tsp/6191666/8267756/0/1/A/1.gif" width=132 border=0>  images?q=tbn:Wqq6iYuMmIvyJM:<a href=http://cfs6.tistory.com/upload_control/download.blog%3Ffhandle%3DYmxvZzYzN0BmczYudGlzdG9yeS5jb206L2F0dGFjaC8wLzA4MDAwMDAwMDAxNS5qcGc%253D" width=135 border=0>  images?q=tbn:StMVd7npeiCdbM:<a href=http://www.itviewpoint.com/files/attach/images/129/31686/%255B%EB%8B%A4%EC%9D%8C%255D%2520UCC%2520%EC%B9%B4%ED%8E%98%2520%ED%94%84%EB%A1%9C%EC%A0%9D%ED%8A%B8.jpg" width=149 border=0>  images?q=tbn:au0Lx72KGdrEeM:<a href=http://thumb.andu.hanafos.com/B4FB1C6A1CDBD6A11CB10EA11A1D" width=124 border=0>


현재 스코어는 65% : 22% : 6.5%.
2년 전인 2007년 네이버 77%, 다음 11%, 네이트 0.6%였습니다. WOW !


아.. 역시 돈은 만인의 효자인가요?

추천
0

댓글 16개

이 글 밑에 이런 저런 분석을 달아주실 분들도 계시겠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욕 먹지 않을 정도의 상품이라면 돈으로 밀어부치면 다 됩니다.
아마도 누군가가 돈세는 여인의 움짤을 댓글로 붙여 주실 거 같습니다. ㅎㅎ
사실 자금동원력은 다음이 제일 불리하죠.
불쌍하다 다음... 엠파스 이후의 희생양으로 다음이 되지는 않기를....
거래처가 많아서 유료광고를 많이 도와드리고 있는데
다음에 광고해서 뭐라도 팔린적이 없다네요 ~_~
(저 자신도 다음광고는 하지 말라고 합니다.)

네이버는 한게임으로 버는 돈 보다는 광고수입이 훨씬 많지 않을까 싶네요

우수갯소리로 제주도에서 네이버 먹여 살린다는 소리까지 나올 정도입니다.
직원 1명의 조그만한 회사가 네이버에 광고로 하루 소진하는 비용이 1일 100만원까지 갑니다.
말 다했죠.....
예전엔 한게임으로 먹고 살았지 말입니다. 아슝~
한때는 대학생들이 외국포털에 맞서기 위해서
네이버 살리기 운동을 암암리에 하기도 했다는...
과거와 달리.. 그리고 해외와 달리.. 우리만의 시장이 너무나 견고해졌을 듯 합니다.
검색의 기본 취지를 넘어서 국내 시장은 편협하더라도 편하고 캐쥬얼한 것을 원하는거 같습니다.
때문에 네이버가 아직 먹히는거죠.
구글이 아직은 매니아적일 수 밖에 없는 이유고...
구글은 힘들 듯 합니다. 다음도 힘들 듯.. 네이트가 치고 올라와도.. 아직은 네이버에 안될 듯 합니다.
한국인들의 검색 습성과 패턴을 네이버가 제일 잘 간파하고 있기 때문인 듯..
전 네이버 버린지 1년 쯤 되었는데.. 아무래도 결과가 뒤떨어져도 이용의 편의성..
시각적 유용성과 편의성이 네이버가 국내 뿐 아니라 국외 포함해서도 우월한 듯 합니다.
적어도 한국의 대다수 유저들에겐 말이죠.

저도 수년간 웹광고 쪽 일도 겸해봤지만..
네이버를 따라갈 수 없습니다. 오버츄어도 가장 늦게 도입할 정도로 기세 등등했고..
다들 대충 아시겠지만.. 네이트나 다음의 광고비.. 특히 네이트의 광고비는 네이버에 비하면 껌입니다.
네이버 상품 팔면서 네이트 등은 파격적인 수준으로 끼워주기 하는 곳도 즐비했었죠.
그나마 조금 나아졌지만..

그리고 NHN은 한겜과 광고 수입이 적절히 반반인 듯 합니다.
검색이나 유저 수에 따라 광고 수입은 아무래도 줄 수 있겠고.. 이미 줄고 있다고 스스로도 발표했었던 NHN이지만...
당분간은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량으로 광고를 퍼부어대더라도.. 이미 구축된 시장은 쉽게 무너뜨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봅니다.
이미 네이버가 치고 올라가는 과정에서 광고 등을 많이 활용했지만..
그 당시의 시장과.. 현재의 시장은 판이하게 다릅니다.
후발 주자들이 선전은 할 수 있어도.. 뒤집긴 어려울껍니다.

제가 가끔 네이버 몰락을 이야기했는데.. 이율배반이지만..
경쟁자들끼리의 싸움보단.. 웹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결국 네이버가 붕괴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게 뭔지를 모두의 상상에 맡겨보죠. 답은 없으니...
적절한 비유일지 모르겠으나..
우리가 상점에서 물건을 찾아달라고 하면.. 직원이 다양하고 많은 물건을 들고 와서 여기요!!라고 그냥 주는 것과.. 직원이 고를 것이 몇 개 안되는 정도지만 들고 와서 몇 개 안되는거라도 정리해서 고객에게 주었을 때..
우린 어느걸 편하게 살 수 있을까란거죠.
다양성과 깊이는 적더라도 매니아나 아주 주요 세밀 데이터를 검색하는게 아니라면..
어느 정도 캐쥬얼한 습성을 가질 수 밖에 없는게 소비자들이란거겠죠.
그런 면이 더욱 강한게 우리나라이고...
때문에 네이버가 먹히는걸껍니다. 거기에 한국이 특히 심한 로비와 정경 유착 등등...
저는 다음만 이용하는데...
네이버는 과거 지식인 검색 초기에는 좋았는데...
요즘에는 광고성 사기성이 너무 많이 판쳐서...

그렇다고 다른 포털의 지식 검색이 더 좋다는 건 아니고,
딱히 요즘은 지식 검색 활용이 줄었습니다.
지식검색에 대한 기대치가 떨어지니 네이버... 잘 안 가게 되네요.

시맨택검색이 정리는 잘 해놓았는데,
주요 인물, 이슈적인 것들은 깔끔해서 좋지만 좀더 데이타가 축적되어야 할 듯...
요즘 네이트가 싸이월드랑 묶어서 '검색어 클릭' 이벤트 합니다.
한시간에 한번씩 선착순으로 도토리 나눠주는데
뜨는 검색어 클릭만 하면 됩니다. 보통 10~30개 클릭하면 되더군요.
10개 단위로 경품이 바뀝니다.
저도 쓸데없이 2일동안 검색어 150개 정도 클릭해줬습니다.
고로 실제 약진인지, 일시적 상승세인지는 이벤트 끝나고 두고 봐야 하겠죠.
전체 778 |RSS
자유게시판 내용 검색

회원로그인

(주)에스아이알소프트 / 대표:홍석명 / (062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7-34 한신인터밸리24 서관 1402호 / E-Mail: admin@sir.kr
사업자등록번호: 217-81-363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2014-서울강남-02098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김민섭(minsup@sir.kr)
© SIR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