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랫만이네요 ^^ 블로그 라이센스 질문좀 드릴께요 정보
오랫만이네요 ^^ 블로그 라이센스 질문좀 드릴께요본문
우리가 흔히들 블로그 라이센스를 해놓을때 티스토리이던 어디던
대부분 아래와 같은 라이센스가 적용되어 있죠 ^^;;

근데 이 라이센스가
저작권자 출처를 표시 하고
비영리 적인 목적에서
컨덴츠를 변경하지 않는 조건에 한해서 스크랩 또는 퍼갈 수 있다라는 라이센스 인데
티스토리 하시는 분들 보면 죄다 오른쪽 마우스 금지 드레그 금지 해놓으시면 ...
저 라이센스가 왜 필요 하고 어떻게 스크랩 해가라는 이야기 인가요 ?
저는 그게 궁금하더라구요
링크로 퍼가라고 하면 라이센스를 저렇게 해놓을 필요가 없죠 .. 링크는 저작권법에 안걸리니..
근데 거의 모든 블로그가 라이센스는 저걸로 적용을 해놓고 대부분 오른쪽 마우스 드레그 금지를 시켜
버리면 저 라이센스를 왜 달아 놨는지가 궁금하더라구요 ;
대부분 아래와 같은 라이센스가 적용되어 있죠 ^^;;

근데 이 라이센스가
저작권자 출처를 표시 하고
비영리 적인 목적에서
컨덴츠를 변경하지 않는 조건에 한해서 스크랩 또는 퍼갈 수 있다라는 라이센스 인데
티스토리 하시는 분들 보면 죄다 오른쪽 마우스 금지 드레그 금지 해놓으시면 ...
저 라이센스가 왜 필요 하고 어떻게 스크랩 해가라는 이야기 인가요 ?
저는 그게 궁금하더라구요
링크로 퍼가라고 하면 라이센스를 저렇게 해놓을 필요가 없죠 .. 링크는 저작권법에 안걸리니..
근데 거의 모든 블로그가 라이센스는 저걸로 적용을 해놓고 대부분 오른쪽 마우스 드레그 금지를 시켜
버리면 저 라이센스를 왜 달아 놨는지가 궁금하더라구요 ;
추천
0
0
댓글 5개

저도 그렇지만 티스토리 운영하면서, 저 표시 신경 안쓸겁니다.
말씀하신대로, 어드민에서 퍼가게 할 것인가.. 말 것인가의 기능 설정만 해놓고는 말이죠~
중요한 것은 퍼가지 못하게 기능 설정이 되어 있었더라도
저 표시가 있었고.. 캡처라도 해놨다면..? 법적 공방시 책임을 면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ps. 저 라이센스가 왜 필요 하고 어떻게 스크랩 해가라는 이야기 인가요?
-> 맘만 먹음 다 되지 않나요? ^^;;
말씀하신대로, 어드민에서 퍼가게 할 것인가.. 말 것인가의 기능 설정만 해놓고는 말이죠~
중요한 것은 퍼가지 못하게 기능 설정이 되어 있었더라도
저 표시가 있었고.. 캡처라도 해놨다면..? 법적 공방시 책임을 면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ps. 저 라이센스가 왜 필요 하고 어떻게 스크랩 해가라는 이야기 인가요?
-> 맘만 먹음 다 되지 않나요? ^^;;
안녕하세요 프리야님 ^^
마음만 먹으면 다 되는것은 맞습니다. 무력화 시킬 수 있는 것들도 많죠 하지만
저작권은 준수를 해줘야 하는 것이고 그것 또한 글을 쓴분들에 대한 예의 이겠죠
그렇기 때문에 내가 어떠한 글을 스크랩 할때 퍼가도 되냐 ? 라는 것을 요즘은 저 라이센스 기준으로 보는데 사실 참 애매 한게 글을 퍼갈때 일일이 증거 자료를 캡쳐를 할 수 있는게 아니기 때문에 저 라이센스만 보고 스크랩을 해가는데 ..
라이센스를 각 포털 블로그에서 적용을 해놓은 이유도 아마 가장 큰 이유가 저작권자가 이 게시물을 담아 가도 되는것인지 안되는 것인지 상업적으로 이용해도 되는 것인지 안되는 것인지 구별하기 위해 사실 저 표시를 해놓는 것인데 ..
문제는 라이센스를 적용해 놓으시는 분들께서 저 라이센스를 적용해 놓고 오른쪽 드레그 다 금지 하면 저 라이센스가 왜 필요 한가? 라는 의문을 가지게 되더라구요 ..
라이센스를 아예 설정 안해놓으면 스크랩하면 안되는 게시물이구나 생각하는데 대부분 저 라이센스가 적용이 되어 있는데 마우스 드레그 및 이런걸 다 제한이 걸려 있죠 ^^
그렇다면 사람이 혼동을 하게 되죠 가져가도 된다는 건지 안된다는 건지 ..
라이센스는 출처표시하고 비영리 목적으로 컨덴츠를 변경하지 않는 조건에서 마음대로 이용 가능하다라고 적혀 있는데 마우스는 드레그는 죄다 금지 시켜 버리면 담아 가도 된다는 건지 안된다는 건지 .. 참 애매 하죠 ^^;;
마음만 먹으면 다 되는것은 맞습니다. 무력화 시킬 수 있는 것들도 많죠 하지만
저작권은 준수를 해줘야 하는 것이고 그것 또한 글을 쓴분들에 대한 예의 이겠죠
그렇기 때문에 내가 어떠한 글을 스크랩 할때 퍼가도 되냐 ? 라는 것을 요즘은 저 라이센스 기준으로 보는데 사실 참 애매 한게 글을 퍼갈때 일일이 증거 자료를 캡쳐를 할 수 있는게 아니기 때문에 저 라이센스만 보고 스크랩을 해가는데 ..
라이센스를 각 포털 블로그에서 적용을 해놓은 이유도 아마 가장 큰 이유가 저작권자가 이 게시물을 담아 가도 되는것인지 안되는 것인지 상업적으로 이용해도 되는 것인지 안되는 것인지 구별하기 위해 사실 저 표시를 해놓는 것인데 ..
문제는 라이센스를 적용해 놓으시는 분들께서 저 라이센스를 적용해 놓고 오른쪽 드레그 다 금지 하면 저 라이센스가 왜 필요 한가? 라는 의문을 가지게 되더라구요 ..
라이센스를 아예 설정 안해놓으면 스크랩하면 안되는 게시물이구나 생각하는데 대부분 저 라이센스가 적용이 되어 있는데 마우스 드레그 및 이런걸 다 제한이 걸려 있죠 ^^
그렇다면 사람이 혼동을 하게 되죠 가져가도 된다는 건지 안된다는 건지 ..
라이센스는 출처표시하고 비영리 목적으로 컨덴츠를 변경하지 않는 조건에서 마음대로 이용 가능하다라고 적혀 있는데 마우스는 드레그는 죄다 금지 시켜 버리면 담아 가도 된다는 건지 안된다는 건지 .. 참 애매 하죠 ^^;;

얘기나온김에.. 제 블로그 살펴보고 왔는데..
저의 경우, 마우스 방지 설정은 해놨는데.. 저 마크 표시는 안넣어져 있네요.
이거 어드민에서 설정해서 삽입하는건데, 아무래도 운영자들이
별 생각없이 넣었을 거에요. 각각 적용 설정을 할 수 있거든요~~
저의 경우, 마우스 방지 설정은 해놨는데.. 저 마크 표시는 안넣어져 있네요.
이거 어드민에서 설정해서 삽입하는건데, 아무래도 운영자들이
별 생각없이 넣었을 거에요. 각각 적용 설정을 할 수 있거든요~~

운영자가 인지 못해서 그렇게 적용한 거라 봤을때는,
티스토리 측에서 동시 설정이 안되도록 기술적 조치를 해줘야 하지 않겠는가.. 싶네요~^^
티스토리 측에서 동시 설정이 안되도록 기술적 조치를 해줘야 하지 않겠는가.. 싶네요~^^

블로거들이 저런거 크게 신경 쓰며 하지 않는걸루 압니다.
별개의 이야기지만 구글 이놈아들아 텍스트큐브 사가놓곤 왜 합병한다고 난리인겐지.. ㅜ_ㅜ
별개의 이야기지만 구글 이놈아들아 텍스트큐브 사가놓곤 왜 합병한다고 난리인겐지.. ㅜ_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