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원래 전쟁나도 끄떡없어야 하는데.. 정보
인터넷, 원래 전쟁나도 끄떡없어야 하는데..본문
인터넷의 초기 시작이
전쟁에도 계속 가능한 걸로 하기위해서 나온걸로 아는데..
--------------------------------
동서냉전이 한창이던 때 미국 국방부 고등계획국에서는 핵전쟁 등의 상황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네트워크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의 회선교환(circuit switching)방식보다는
패킷교환(packet switching)방식이 매우 견고하고 생존성이 높았다. 최초의 2 노드간의 상호연결은
1969년 10월 29일 UCLA와 SRI연구소간에 연결되었다. 이 통신망을 ARPANET이라고 하였으며
현재의 인터넷망의 시초이다.
http://ko.wikipedia.org/wiki/%EC%9D%B8%ED%84%B0%EB%84%B7
---------------------------------
이번 연평도 사건에서 뉴스보니깐..
전기 /인터넷 모두 끊겼다 라고 하더군요..
요새는 그럴 수 있겠다 싶은 생각을 하지만..
그래도 처음 인터넷이라는 것을 공부했을때 배운 인터넷의 시작이라는 저 내용..
전쟁과 인터넷....다시 생각을 해보게되네요.
전쟁에도 계속 가능한 걸로 하기위해서 나온걸로 아는데..
--------------------------------
동서냉전이 한창이던 때 미국 국방부 고등계획국에서는 핵전쟁 등의 상황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네트워크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의 회선교환(circuit switching)방식보다는
패킷교환(packet switching)방식이 매우 견고하고 생존성이 높았다. 최초의 2 노드간의 상호연결은
1969년 10월 29일 UCLA와 SRI연구소간에 연결되었다. 이 통신망을 ARPANET이라고 하였으며
현재의 인터넷망의 시초이다.
http://ko.wikipedia.org/wiki/%EC%9D%B8%ED%84%B0%EB%84%B7
---------------------------------
이번 연평도 사건에서 뉴스보니깐..
전기 /인터넷 모두 끊겼다 라고 하더군요..
요새는 그럴 수 있겠다 싶은 생각을 하지만..
그래도 처음 인터넷이라는 것을 공부했을때 배운 인터넷의 시작이라는 저 내용..
전쟁과 인터넷....다시 생각을 해보게되네요.
추천
0
0
댓글 5개
전쟁나면 기간시설이 대부분 파괴될텐데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지 않을까요..
인공위성만 사용할수 있다면 인터넷은 됩니다.. ㅎㅎ
아 맞다..그게 있었네요...ㅎㅎㅎ

지들끼리만 지하에서 이용가능한 목적이었겠죠...외부와 연결없이....ㅎㅎ
우리나라 지하벙커에도 그런 시설들이 있다는걸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