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뜬금없는 자료에 이어서(공동개발시) 정보
지난 뜬금없는 자료에 이어서(공동개발시)본문
링크1은 지난번 템플릿과 스킨과 테마에 대해 언급했었습니다.
그럼 구성은 어떻게 되어야할까요.
템플릿은 테마의 여러종류를 의미함으로
최상위부터 하위순으로보면
-------------------------------------------------
module
page (또는 module과 page를 한데 묶기도합니다)
theme
└테마명(basic)
├ tamplet (mountain, sea, tiger)
└ skin (board, latest, visit, outlogin)
-------------------------------------------------
이런구조가 되겠습니다.
-------- 예 -------------------------
테마명 : 4계절
템플릿 : 봄 -> 스킨위에 입힐 이미지나 뼈대추가
스킨 : board -> 기본 CSS구조만
그럼 구성은 어떻게 되어야할까요.
템플릿은 테마의 여러종류를 의미함으로
최상위부터 하위순으로보면
-------------------------------------------------
module
page (또는 module과 page를 한데 묶기도합니다)
theme
└테마명(basic)
├ tamplet (mountain, sea, tiger)
└ skin (board, latest, visit, outlogin)
-------------------------------------------------
이런구조가 되겠습니다.
-------- 예 -------------------------
테마명 : 4계절
템플릿 : 봄 -> 스킨위에 입힐 이미지나 뼈대추가
스킨 : board -> 기본 CSS구조만
추천
0
0
관련링크
댓글 5개
저도 생각하고 또 생각중인 문제임..

일반적인 경우에 분리되서 생기는 이점보다 하나일때의 이점이 더 많은거 같습니다.
위에 방식과 비슷하지만 스킨에다 스타일을 사용하지않고 통합된곳에서 불러오는게 좋지않을까요
위에 방식과 비슷하지만 스킨에다 스타일을 사용하지않고 통합된곳에서 불러오는게 좋지않을까요
ㅎㅎ 보통 초기부터 분리시키지 않아요 .
가령 css를 따로 만들기 전까지는 보통 한페이지 안에 모두 넣습니다.
css든 js든 모두 넣어서 즉각즉각 유지보수가 쉽도록한후에,
마무리하고 패치할때 구조화하는거예요 ㅎㅎ
가령 css를 따로 만들기 전까지는 보통 한페이지 안에 모두 넣습니다.
css든 js든 모두 넣어서 즉각즉각 유지보수가 쉽도록한후에,
마무리하고 패치할때 구조화하는거예요 ㅎㅎ


자꾸 이러시면 멱살을
분리 시키지 않은 젓가락을 이용하여 집게처럼 잡을겁니다(!?)
분리 시키지 않은 젓가락을 이용하여 집게처럼 잡을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