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플래쉬 8.0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해킹 수법 등장 정보
기타 [주의] '플래쉬 8.0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해킹 수법 등장
본문
'플래쉬 8.0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해킹 수법 등장 | |
[마이데일리] 2005-09-23 13:33 |
백신업체 ㈜지오트의 바이러스 분석실(GCERT)은 기존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보안 취약점을 악용한 방식이 더 이상 효과를 보지 못할 것으로 예측한 해커들이 새로운 유포 방식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해킹된 두 곳의 국내 사이트들을 확인한 결과 '플래쉬 8.0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보안경고창이 나오게 되며, 사용자가 동의할 경우 윈도우 폴더에 트로이목마가 설치되게 된다. 사용자가 해킹된 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마치 정상적인 플래쉬 관련 액티브 엑스 컨트롤로 위장하여 사용자가 직접 설치하도록 유도하고 있는 것이 변경된 해킹 수법의 특징이다. '예'버튼을 누르면 윈도우 폴더의 Downloaded Program Files 폴더에 설치가 되며 감염이 되면 윈도우 폴더에 'explore.exe(52,736 바이트)' 파일이 숨김속성으로 생성된다. 이 트로이목마는 국내 온라인 게임사용자의 아이디와 암호 등을 유출시키고자 시도하는 악성프로그램이다. 지오트는 긴급히 해당 사이트 보안 담당자에게 메일로 내용을 전달했으며,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 인터넷침해사고대응지원센터 해킹대응팀에게도 제공한 상태이다. 지오트 바이러스 분석실(GCERT)의 문종현 실장은 “시간이 지날수록 해킹 방법이 지능적이고 기발하게 변화되고 있다”며 “잘 모르는 사이트를 방문할때나 자주 방문하는 사이트더라도 팝업창 등은 자세히 살펴보고, 백신의 실시간 감시 기능을 항상 켜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액티브 엑스로 위장, 트로이목마 설치하는 새로운 수법이 나타났다.] (박은정 기자 ***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이메일주소 노출방지 ***) - 언제나 즐거운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저작권자 ⓒ 마이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
추천
0
0
댓글 4개

Microsoft Flash ?? ㅎㅎㅎ
평소 조심하는 사용자라 할지라도,
대충 흘려 보면 난감한 경우를 당하겠네요.
Microsoft? Macromedia?!!!
대충 흘려 보면 난감한 경우를 당하겠네요.
Microsoft? Macromedia?!!!
지난번 설치한것이 Microsoft였나 Macromedia였나..
난감하군요 ㅋㅋㅋㅋ
난감하군요 ㅋㅋㅋㅋ
설마 리눅스에도 깔리지는 않겠죠? 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