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쓰시는분 질문하나만할께요 정보
SSD쓰시는분 질문하나만할께요
본문
SSD 특성상 로딩속도도 빠르고 일반하드보다 원활하긴한데
파일복사중이나 다른프로그램 인스톨중에는 인터넷창 하나 키는데도 엄청 버벅이는데 원래이런가요..?
추천
0
0
댓글 13개

저는 안쓰기 때문에..
쓰고있는 바로 아래 분이 답변 해주실 겁니다.
↓↓↓↓↓↓↓↓↓↓↓↓↓↓↓↓↓↓↓↓↓↓↓↓
쓰고있는 바로 아래 분이 답변 해주실 겁니다.
↓↓↓↓↓↓↓↓↓↓↓↓↓↓↓↓↓↓↓↓↓↓↓↓

저도 안쓰기 때문에..
쓰고있는 바로 아래 분이 답변 해주실 겁니다.
↓↓↓↓↓↓↓↓↓↓↓↓↓↓↓↓↓↓↓↓↓↓↓↓
쓰고있는 바로 아래 분이 답변 해주실 겁니다.
↓↓↓↓↓↓↓↓↓↓↓↓↓↓↓↓↓↓↓↓↓↓↓↓

저는..댓글의 댓글이라 해당없고..
아래 바로 아래분이 답변 해주실 겁니다.
↓↓↓↓↓↓↓↓↓↓↓↓↓↓↓↓↓↓↓↓↓↓↓↓
아래 바로 아래분이 답변 해주실 겁니다.
↓↓↓↓↓↓↓↓↓↓↓↓↓↓↓↓↓↓↓↓↓↓↓↓

SSD가 아무리 속도가 빠르다고해도
쓰게되는 파일 시스템은 HDD에 맞춰져있습니다.
제 성능을 못내는 것은 어쩔 수 없어요. 파일시스템 바꾸는것밖에
그리고 저장장치 말고도 메모리의 역할이 요즘 더 중요합니다.
아마 요즘 소프트웨어 발전사에서 제일 중요시되는게 메모리 용량일겁니다.
CPU나 HDD 그대로 쓴다고해도 메모리는 먹는 량이 증가하는
프로그램들이 쏟아지기때문이죠.
요즘 용어로 그나마 정립화되고있는 클라우드 생각하면
저장용량도 물런 중요하겠지만 위에 적은건 개인용 컴퓨터가 주된 기준이므로
(스맛폰 등장으로 요즘 임베디드에서도 저런 경향이 발생하고있습니다.)
알아서 잘 생각해주시길 ㅎㅎ
쓰게되는 파일 시스템은 HDD에 맞춰져있습니다.
제 성능을 못내는 것은 어쩔 수 없어요. 파일시스템 바꾸는것밖에
그리고 저장장치 말고도 메모리의 역할이 요즘 더 중요합니다.
아마 요즘 소프트웨어 발전사에서 제일 중요시되는게 메모리 용량일겁니다.
CPU나 HDD 그대로 쓴다고해도 메모리는 먹는 량이 증가하는
프로그램들이 쏟아지기때문이죠.
요즘 용어로 그나마 정립화되고있는 클라우드 생각하면
저장용량도 물런 중요하겠지만 위에 적은건 개인용 컴퓨터가 주된 기준이므로
(스맛폰 등장으로 요즘 임베디드에서도 저런 경향이 발생하고있습니다.)
알아서 잘 생각해주시길 ㅎㅎ

SSD 16기가 32 부터가 빠르지 않나요..
추측입니다..
추측입니다..
경우의 수가 굉장히 많아서 딱잘라서 말씀드리기가 그렇네요....저도 무거운 파일들을 좀 많이 다루는 편인데요....인스톨할때는 다른 작업은 삼가하는 경향이라서 이경우는 뭐라 말씀을 못드리겠구요.
몇기가 하는 파일 복사하면서 익스 열어봤을때 그렇게 버벅인다든지 하지는 않네요...그런데 그렇다고 팍팍 뜨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어느정도 읽고 쓰기에 SSD가 사용중이기 때문에 그럴듯 하구요.
SSD는 하드보다는 다중작업에 조금더 유리합니다. 그래서 HDD보다는 다중작업에 훨씬 원할한 성능을 내어줍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SSD 삼성 470 입니다....그외의 기종은 다른분께 패스~~~~~!
몇기가 하는 파일 복사하면서 익스 열어봤을때 그렇게 버벅인다든지 하지는 않네요...그런데 그렇다고 팍팍 뜨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어느정도 읽고 쓰기에 SSD가 사용중이기 때문에 그럴듯 하구요.
SSD는 하드보다는 다중작업에 조금더 유리합니다. 그래서 HDD보다는 다중작업에 훨씬 원할한 성능을 내어줍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SSD 삼성 470 입니다....그외의 기종은 다른분께 패스~~~~~!

여유공간이 부족하면, 급격하게 느려질 수 있습니다.
TRIM 기능도 확인해보시구요..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최적화툴도 사용해보세요.
크리스탈마크 테스트해보시고, 동일 모델 사용자들의 결과와 비교해보는 것도 방법이겠네요.
TRIM 기능도 확인해보시구요..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최적화툴도 사용해보세요.
크리스탈마크 테스트해보시고, 동일 모델 사용자들의 결과와 비교해보는 것도 방법이겠네요.
그리고 SSD->HDD 카피인 경우와 HDD->SSD 카피의 경우, SSD->SSD 경우가 있는데요...
SSD->HDD와 HDD->SSD 파일copy인 경우에 느려지는 현상없구요....
SSD->SSD 로 파일 copy해봐도 전혀 느려지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네요.....
아무래도 사용자환경에 따라 변수가 많아서 어찌될지는 모르겠네요....
오리위즈님 말씀처럼 SSD성능과 수명 제대로 낼려면 30-40%공간 비워두시고 SSD이용하시면 성능이나 수명에 지장없이 사용하실 수 있으실듯 하네요...
SSD->HDD와 HDD->SSD 파일copy인 경우에 느려지는 현상없구요....
SSD->SSD 로 파일 copy해봐도 전혀 느려지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네요.....
아무래도 사용자환경에 따라 변수가 많아서 어찌될지는 모르겠네요....
오리위즈님 말씀처럼 SSD성능과 수명 제대로 낼려면 30-40%공간 비워두시고 SSD이용하시면 성능이나 수명에 지장없이 사용하실 수 있으실듯 하네요...

일반적으로 셋팅해줘야 한다고 봅니다.
ahci 부터
ahci 부터
저도 윈도XP 깔아 쓰는데... 뽀샵은 완전 빨라요... 근데 인터넷 할때 가끔씩 버벅거립니다.
SSD는 이러 저러 봐야 하지만 콘트롤러 업체가 어디냐에 따라서도 퍼포먼스에서 차이나 많이 납니다. 요새 저가의 SSD도 많이 나오긴 하지만, 역시 싼게 비지떡이라죠? ^^;;
저렴하고 안정적인것 구입 하실려면 아직은 기다리는게 나을 듯 합니다.
씨게이트나 웨스턴디지털같은 hdd 업체들도 ssd시장에 뛰어 든다고 하니, 아마 조만간 좋은 품질의 ssd가 가격이 착하게 될 것 같네요.
저렴하고 안정적인것 구입 하실려면 아직은 기다리는게 나을 듯 합니다.
씨게이트나 웨스턴디지털같은 hdd 업체들도 ssd시장에 뛰어 든다고 하니, 아마 조만간 좋은 품질의 ssd가 가격이 착하게 될 것 같네요.
옛날 저가형은 그럴수 이ㅆ습니다
인텔이나ocz제품은 잘된다는
인텔이나ocz제품은 잘된다는
제품에 맞는 최적화 방법을 검색해보시고 실행한다음이신데 그런거면 a/s 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