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 W3C에서 규정하는 웹표준을 준수하면 크로스브라우징은 되던데요.... 정보
음 W3C에서 규정하는 웹표준을 준수하면 크로스브라우징은 되던데요....본문
W3C 에서 규정하는 웹표준을 준수하면 크로스 브라우징은 되는 걸로 알고 있어요.
웹표준 이야기하면 별로 좋아하시지 않는것 알고 있는데 이렇게 짧게 웹표준에 대해 말하고 가겠습니다.
DOCTYPE 선언하고 웹표준 준수할시에 자연스럽게 크로스브라우징이 되더라구요. 물론 익스플로러만의 명령어들때문에 이 명령어들이 말썽이라고들 하시지만 익스플로러에서만 사용되는 명령어들은 W3C에서는 배제하고 공통적인 부분을 묶고 있습니다.
그리고 웹표준이 테이블이냐 DIV냐 를 논쟁하고 계시는데.
W3C에서는 레이아웃은 div 로 짜는 것을 권장하며 table은 표를 만들때 사용하기를 권장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웹표준가 웹접근성에 관해서 조금 언급하고 가겠습니다.
음.. 웹표준을 지키면 시각 .. 청각 장애인등 몸이 불편한 사람들도 인터넷을 사용할 수있게 된다라고 생각하시는데 사실 이 부분은 웹표준보다는 웹접근성으로 봐야될것 같아요.
추천
0
0
댓글 12개
추신. 다른 플러그인이 말성 아닐까요?!

코딩의천재 go nam hyun 씨? ㅋㅋ
Go nam hyun !?

고남현 ㅋㅋ

반갑습니다.

웹표준을 준수하면 크로스 브라우징은 되는 걸로 알고 있어요?????

잘은 모르지만 웹표준을준수한다고 해도 크로스브라우징을 보장받지못하는걸로알고있는데.
웹표준은 잘모르고 크로스브라우징이 장땡이라고 생각합니다.
웹표준은 잘모르고 크로스브라우징이 장땡이라고 생각합니다.
개발도 참 어려운 직업인거 같습니다.
^^
^^

야후 사장이 div만으로 메인을 만들고 나서 비교 시연을 했습니다.
접근시간...
저도 테이블로 레이아웃 잡는거는 좀 문제가 있다고 판단은 되지만 div로 하려니 맘대로 잘 안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웹표준으로 작성 된 페이지는 확실히 접근 속도라 향상되는거 눈으로 확인이 되더라구요.
크로스브라우징은 제가 전혀 알 수가 없어서 풰~~~쑤... ㅋㅋ
접근시간...
저도 테이블로 레이아웃 잡는거는 좀 문제가 있다고 판단은 되지만 div로 하려니 맘대로 잘 안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웹표준으로 작성 된 페이지는 확실히 접근 속도라 향상되는거 눈으로 확인이 되더라구요.
크로스브라우징은 제가 전혀 알 수가 없어서 풰~~~쑤... ㅋㅋ

될 가능성이 높은 것일 뿐 그렇지 않습니다.
브라우저 하나때문에 웹표준을 지켜도 태그 간 종속 관계를 아예 새로짜야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브라우저 하나때문에 웹표준을 지켜도 태그 간 종속 관계를 아예 새로짜야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웹표준, 웹접근성, 크로스브라우징은 다른 개념인데 어설프게 아시는 분들이 다 뭉뚱그려서 하나하면 다되는줄 아시는 분들이 좀 있습니다.
메인이 웹표준인데 웹표준은 말그대로 표준을 지키는 코딩입니다. w3c가 국제대표기구인데 여기서 정한 규칙대로 홈페이지 만들자죠.
웹접근성은 모두가 접근해서 이용할수 있게 홈페이지 이용자의 범위를 넓게 해주자는건데 주로 장애우들도 홈페이지 사용가능이 주요 이슈고, 서브로 자바스크립트나 각종 제반환경에서 벗어나도라도 비슷한 기능을 유지할수 있게 하는거죠. 보통은 웹접근성을 맞추기 위해 웹표준을 지키는걸 권고(?)하는거지 같은 의미는 아니죠.
크로스브라우징에 대한 오해가 제일 많은거 같은데 브라우져(브라우져 개발사)들 마다 html코드를 해석하는 방식이 틀립니다. 다들 자기게 좋다고 우기는 것도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표준화가 되기전에 각자 개발했던 방식이 있던것과 ie가 지맘대로 표준을 무시하고 맘대로 만들었던게 큰데 여튼 개념은 브라우져가 달라도 똑같게(흔히 말하는건 최소한 비슷하게라도;;)화면이 나오게 하는거죠. 이론만 보면 코드만 같고 웹표준을 지키면 될거 같기만 위에서 언급했듯 각 개발사마다 다르게 html렌더링을 해석해나서 미묘하게 틀립니다. 똑같은 html태그만으로 모든 페이지들이 다 똑같이 보이지는 않는다는거죠.
머 저도 이것저것 주워듣고 본거라 틀릴수도 있지만 영 말도 안되는 상식을 가지신분들 보면 일일이 설명하기 짜증납니다...ㅜ.ㅜ
메인이 웹표준인데 웹표준은 말그대로 표준을 지키는 코딩입니다. w3c가 국제대표기구인데 여기서 정한 규칙대로 홈페이지 만들자죠.
웹접근성은 모두가 접근해서 이용할수 있게 홈페이지 이용자의 범위를 넓게 해주자는건데 주로 장애우들도 홈페이지 사용가능이 주요 이슈고, 서브로 자바스크립트나 각종 제반환경에서 벗어나도라도 비슷한 기능을 유지할수 있게 하는거죠. 보통은 웹접근성을 맞추기 위해 웹표준을 지키는걸 권고(?)하는거지 같은 의미는 아니죠.
크로스브라우징에 대한 오해가 제일 많은거 같은데 브라우져(브라우져 개발사)들 마다 html코드를 해석하는 방식이 틀립니다. 다들 자기게 좋다고 우기는 것도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표준화가 되기전에 각자 개발했던 방식이 있던것과 ie가 지맘대로 표준을 무시하고 맘대로 만들었던게 큰데 여튼 개념은 브라우져가 달라도 똑같게(흔히 말하는건 최소한 비슷하게라도;;)화면이 나오게 하는거죠. 이론만 보면 코드만 같고 웹표준을 지키면 될거 같기만 위에서 언급했듯 각 개발사마다 다르게 html렌더링을 해석해나서 미묘하게 틀립니다. 똑같은 html태그만으로 모든 페이지들이 다 똑같이 보이지는 않는다는거죠.
머 저도 이것저것 주워듣고 본거라 틀릴수도 있지만 영 말도 안되는 상식을 가지신분들 보면 일일이 설명하기 짜증납니다...ㅜ.ㅜ
브라우저마다 (특히 익스계열) html css코딩 자체를 읽어 드리는게 틀린데
어떻게 표준 지킨다고 크로스 브라우징이 되는지가 아니러니하네요
표준을 무시하고 크로스브라우징을 맞추느냐 표준을 지키면서 같이 맞추느냐 차이이지 실제
css코딩 하다 빡쳐 보셔야 이해를 하실듯 ;;
어떻게 표준 지킨다고 크로스 브라우징이 되는지가 아니러니하네요
표준을 무시하고 크로스브라우징을 맞추느냐 표준을 지키면서 같이 맞추느냐 차이이지 실제
css코딩 하다 빡쳐 보셔야 이해를 하실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