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작비 높이기 원년의 해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제작비 높이기 원년의 해 정보

제작비 높이기 원년의 해

본문


(주)에스아이알소프트에서는 적정한 수준의 제작비(비용)를 받기 위해 노력하는 한해가 될것입니다.

그 일환으로 서버의 데이터 이전시 다음과 같은 비용을 받고자 합니다.

서버이전비 : 1기가 이하 기본 10만원
문자셋변환 : 1기가 이하 기본 10만원

100메가당 1만원 추가 (부가세 별도)

예)
EUC-KR 로 된 프로그램과 파일 그리고 DB DUMP 파일을 포함하여 1.5 기가 정도되는 자료를 UTF-8 로 변환하여 타 서버로 이전하고자 한다.
위 내용을 토대로 산출한 비용은?

서버이전비 10만원 + 문자셋변환 10 만원 + 서버이전비 추가(0.5기가) 5만원 + 문자셋변환 추가(0.5기가) 5만원 = 30만원 (부가세 별도)

 
ps. 저희가 "작업을 하겠다." 또는 "이렇게 받겠다" 라는 뜻은 아니며 이 내용을 사이트의 한켠에 공지(표준화?)해 놓음으로 해서 의뢰자와 제작자 사이에 조금더 낮은 비용을 산출하여 지금보다는 더 높은 금액을 받을수 있지 않을까 잠깐 생각해 본것입니다.
추천
0
  • 복사

댓글 26개

부작용도 걱정이 되지만 일종의 표준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라 생각하고 찬성합니다 ㅎ
비싸다기엔 좀 그렇고 싸다기엔 또 아닌 거 같아서 적당하다에 한 표 던집니다 ㅎ
무조건 해야합니다!
요즘 서버 이전 의뢰자 보면, 어떤 의뢰자는 비싸게 부르고, 어떤 의뢰자는,,,

그냥 UTF - UTF 로 이전하는데, 비용이 8에 해달랍니다. ㅠㅠ

장난하나... ( 물론, DB , 압축파일 ) 백업 안되어있음.
서버이전하는데 하루면 되는데 30만원이라니.... 저도 직접 세개의 사이트 옮기는데 10시간도 안걸렸는데... 의뢰자 입장에선 무지하게 비싼듯.

제가 의뢰를 맡기려해도 1시간 기준의 일도 최소가 5만원이니 주변에 네이버나
다음에 다니는 형님들에게 짜잘한건 술한잔 사주고 맡기는 편입니다.

제가 생각하기엔 웹프로그래머들의 언어가 일반인들에게는 전혀 공감이 되지 않아요.
몇시간짜리를 코딩짜기 복잡하다고 10-20만원 받고 쇼핑몰 15일 걸리니 500정도 부르고.... 저희에겐 참으로 공감이 안가는 액수죠.

기업이나 업체들이 의뢰하기엔 적정가이나 정말 개인이나 취미로 사이트를 운영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그 금액은 너무나도 큰 금액입니다.

사실 저도 홈페이지를 직접만들고 운영하니 이 일자체가 얼마나 고단하고 힘든일인지 느끼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만들고 직접 운영하신다면 이런 부분에 더 생각해봐주세요^^

3개 옮기는데 10시간도 안걸린다하셨으니 9시간으로 잡고 이야기해보겠습니다.
1개 3시간이라고 생각해보면 (모든 변수를 반영하진 않았네요. 짧습니다^^ 서버이전에는 변수가 생길것까지 계산하고 그것을 좀더 빠르고 완벽하게 잡을 수 있어야합니다)

직장인의 경우 자신의 하루 노임으로 계산을 해봅니다. 일일노임단가를 하루일하는 시간으로 계산하신후, 거기서 또 1시간에 자신이 받는 금액을 구해봅니다. 얼마정도나올까요? 정말 얼마 안됩니다.

한 프로젝트를 맡고있다면, 그 하루의 한시간 자체도 프로젝트에 매진할 시간입니다. 그 시간에 그 프로젝트의 일을 하지 않고 다른 일을 하는겁니다. 그런데 에이전시는 2~3개 프로젝트를 동시 진행하기도 합니다. 이 와중에 유지보수가 오면 유지보수팀이 해야하겠죠? 근데 그러는 곳 잘 없습니다.

그냥 서버이전일만 전문으로 하는 곳이 있다면 금액이 쌀 수도 있겠습니다. IDC라던지, 카페24라던지요.

이런점을 고객들에게 이해시켜야합니다.
자동차 한 대 만드는데 실제로 드는 비용이 5백만원이니 내가 부품 사다가 정비공 한 사람 알바 시켜서 조립한다고 하면, 말릴 수 없지요. 그분에게는 5백만원짜리 차를 왜 이천만원씩 줘가며 사야 하느냐는 생각이 들 수있겠지만, 자동차 제조 공장에서 수 많은 기술자들이 여러 공정을 거쳐 가며 안전하게 만든 차와 비교할 수 있을까요?

단순하게 생각해 보면 시간당 보수가 센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안전하게 그 작업을 책임지고 할 만큼의 인력이라면 적은 비용이 아닙니다. 알바라면 모를까...
공시되는 소프트웨어개발노임단가를 보세요... 초급기술자도 18만원이 넘습니다. 그건 단순한 일단가일 뿐이고, 기술료나 재경비를 생각한다면 회사를 상대로 30만원을 지불하고 업무를 맡기는 것은 비싼 것이 아닙니다.
또, 하다 보면 별의별 상황이 다 생깁니다. 고객의 요구도 별의별 요구가 다 있지요. 처음엔 그냥 간단히 한 가지 작업 해달라고 해 놓고, 나중에는 전혀 언급도 없던 이런 저런 일들 얘기하면서 당연히 이런 것도 해 줘야 하지 않느냐~ 떼쓰기도 하구요. 또, 작업하다 보면 생각지도 못한 이런 저런 상황이 생깁니다 이런 것 다 감안해서 작업해 주려면 그만큼의 노하우와 경험이 있어야 하고, 대응 능력이 있어야 하지요.
15일짜리 쇼핑몰이요? 기간은 15일이지만 한 팀 2-3명이 15일이면요? 작업일 기준 15일이면 3주입니다. 3주 2-3명 일했으면 500을 나눠 보세요..거기에 회사 운영하려면 재경비 들어가야죠. 상황에 따라 15일 기간이어도 몇 천이 들어가는 일도 있습니다.
물론, 터무니없이 비싸다면 문제가 되겠지만, 안정적으로 일이 되기를 바란다면 적정한 비용을 지불해야겠지요.
// 기업이나 업체들이 의뢰하기엔 적정가이나 정말 개인이나 취미로 사이트를 운영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그 금액은 너무나도 큰 금액입니다.

그래서 취미로 운영하는 사람들은 취미로 프로그램 하는 친구들에게 맡기는게 좋죠.
저는 왓더핼님의 말씀에 전혀 이해가 안가는군요 ^^
프로그램 하나 개발해서 대량으로 판매 하는것이라면 모를까 그게  아닌 1:1 개발 의뢰는 말 그대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것을 개발자가 처리합니다.

웹프로그래머들의 언어가 전혀 공감되지 않는다 몇시간짜리 코딩 짜기가 복잡하다고
10~20만 받고 쇼핑몰 15일 걸리니500부르고 .. 그렇게 따지면 우리나라 모든 직장
다니시는 분들 직원들 이하 다 마찬가지 아닌가요 ?
하루종일 하는거 없이 계산하는 사람은 뭐하러 100~200주고 어자피 바코드 찍으면
장비가 다 알아서 계산하고 돈만 거슬러 주고 카드 긁고 싸인만 받으면 되는데
또 컴퓨터 포멧한다고 와서 윈도우 복제 시디 달랑 가져와서 컴퓨터 포멧해주는데 출장비다 해서 5만원 받고 셋팅만 하면 포멧을 컴퓨터가 다 알아서하는데 말이죠
화장실 막혀서 와서 뚤어 주는데만 5만원 입니다. 님 말대로 개인한테요 ^^
핸드폰은 뭐한다고 기업한테나 80만원씩 팔지 개인한테도 다 적용 하는지 전화는 ? 인터넷은?
슈퍼에 담배는? 개인용으로 운영하고 계시는 서버비용은 개인인데 뭐 그리 돈을 업체랑 똑같은
돈을 지불하고 사용하시나요 ? 그렇게 따지면 한도 끝도 없죠 개인이냐 아니냐는 중요 한게 아닙니다.
사람을 시켜서 일을 시키고 사람을 부리는 일에 개인시키느냐 기업이 시키느냐가 왜 중요한거죠 ?

그런 논리로 따지면 왈더핼님도 회사에서 월급을 그리 많이 지불해야 할 이유가
전혀 없죠  회사 사장 입장에서는 도대체 와서 하는게 뭐라고 ? 라고 이야기 할 수 있으니깐요 홈페이지를 직접 만들고 운영해 보니 이일 자체가 얼마나 고단하고 힘든 일인지 느낀다는 분이 전혀 공감이 가지 않는다 말하는것도 아니러니 하네요
서버 이전작업을 진행하는 기술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이전시간은 많이 차이가 있죠.


단순히 덤프명령어로 슝~ 땡하는 초보자도 있고,

원본 디비와 이전 디비의 케릭터셋이 올바르게 세팅된건지, 데이타 이전후 디비에 올바르게 저장되었는지, 이전과정에서 자료 누실은 없는지... 등등을 파악하는 고급기술자도 있고,


디비를 이전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변수가 있고, 작업시간은 매우 유동적입니다.
3개 이전하는데 10시간이 안걸리셨다면 운이 좋으시거나, 고급기술자이시거나,
제작일 이라는 것이 딱히 가격을 정할수는 없겠지만 이런 데이터 이전의 경우는 표준 가격 책정이 그리 어렵지 않다 생각됩니다.
표준안을 올리고 여러 회원님들로 부터 의견을 구한후 첨삭을 해서 표준화를 하는 방향으로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작업하는 내용이나 세부사항에 달라질 수는 있겠지만
어느정도의 참고할만한 가격대가 있으면 좋겠네요
세상물가는 하늘을 찌르는데 안그래도 단가안나오는 제작비용에 밑도끝도없는 요구사항..
기본 표준가격 + 디테일한 추가사항도 있으면 좋겠네요.
UTF - EUCKR 변환, 썸네일추가, 결제처리, 문자전송 뭐 이런식으로요..
사실 이게 싸다, 비싸다 할 문제는 아닙니다.
독점적인 일도 아니고 조금만 살펴보면 저렴한 가격에 대신할 사람들은 많기 때문입니다.

처음 진입하는 제작자를 위한 표준안 정도는 있어야 앞으로 펼칠 여러가지 일을 함께 도모할 수 있지 않을까요?
증권시세처럼 제작의뢰 게시판에 개발단에 올리는 의뢰가, 개발가, 감정가 등을 환율처럼 잡으면 될것같습니다만.

(입사하라 할까봐 입을 여기서 다뭅니다 ㅠㅠ)
제 개인적인생각입니다만 저렇게 표준을 정하는것도 좋을듯은 합니다.
하지만 일반인들이 보기에는 비싼감이 없잖아 있네요.
DB가 1기가미만이라고 잡고 가정했을때도 20만원이네요.
20만원이라..... 선뜻 지불하기에는 좀그렇네요. 제가 개발자 입장이 아니라서그런지는모르겠지만....
이런글이 자주 올라왔으면 좋겠네요! 미래에 제대로 된 가격을 제시하려면 이런글도 많이 접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솔직히 아직도 전 사이트나 웹프로그램의 가격을 어느정도로 해야할지.. 명확하게 구분이 안되네요.. 물론 퀄리티나 최적화 그리고 기능에 따라 다 다르겠지만요..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