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만km나 되는 톱니바퀴의 나열을 돌릴수있는 힘이 물리적으로 가능할까요? 정보
100만km나 되는 톱니바퀴의 나열을 돌릴수있는 힘이 물리적으로 가능할까요?
본문
그냥 궁금해서요;;;
어느 블로그에 가보니... 아래와 같은 글이 있길래요..
100만km의 톱니바퀴를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톱니바퀴가 파괴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돌아가게) 힘을, 인류가 낼수있는 물리적인 힘의 한도내에서 움직일수없는 것이라면 아래 의문도 그냥해결될텐데..
톱니바퀴를 꽉 끼어지게 100만km 나열하고 그 톱니바퀴를 돌리면 순간적으로 100만km 떨어진곳에 있는 톱니바퀴도 돌것이라는것 이론인데... 빛의 1초에 30만km 보다 빠른속도라는것.이는 빛의 속도보다 빠른것은 없다는것을 위배한다는것.
추천
0
0
댓글 12개

전 유시하지 않어서 패쑤 ㅠ

마지막 톱니바퀴가 이동하는건 100만km가 아니라 돌린만큼만 움직이는거 아닌가요?
빛을 쏜거보다 반응은 빨리 일어나겠지만 실제로는 100만km짜리 줄을 잡아당긴것처럼
자기가 걍 가야할 만큼만 간거 아닌가 싶네요 -_-
근데 예전에 보니까 특수상대성이론은 진짜 신기하던데요..
어케보면 말이 안되는것 같기도 한데 말이 될 수 밖에 없는 ㅡ,.ㅡ;;
빛을 쏜거보다 반응은 빨리 일어나겠지만 실제로는 100만km짜리 줄을 잡아당긴것처럼
자기가 걍 가야할 만큼만 간거 아닌가 싶네요 -_-
근데 예전에 보니까 특수상대성이론은 진짜 신기하던데요..
어케보면 말이 안되는것 같기도 한데 말이 될 수 밖에 없는 ㅡ,.ㅡ;;

저 블로그에 쓴사람의 의도를 파악해보자면...
톱니바퀴를 셀수없을 만큼 100만km 연결을 해놓아서 처음껄 움직이면 마지막 100만km에 있는 톱니바퀴도 처음껄 움직임과 동시에 힘이 전달된다는 이론같은데...
빛보다 힘이 빠를수있다는 이론을 낸것같습니다.
톱니바퀴를 셀수없을 만큼 100만km 연결을 해놓아서 처음껄 움직이면 마지막 100만km에 있는 톱니바퀴도 처음껄 움직임과 동시에 힘이 전달된다는 이론같은데...
빛보다 힘이 빠를수있다는 이론을 낸것같습니다.

요런 정의가 있네요..
"특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모든 움직임은 빛의 속도를 넘을 수 없다. 물질의 이동 속도는 물론, 힘의 매개체인 보존도 빛의 속도를 넘어서 전달될 수 없다. 정지질량이 없는 물체(예를 들면 광자)는 빛의 속도로 전파된다."
일반적으로 물체를 움직였을때 전달되는 것은 각 원자 또는 분자의 결합력(전자기력)에 의해 전달되며 이 전달속도는 광속보다 빠를 수 없고 실제로는 광속보다 많이 느리다고 합니다
이 말에 따르면 첫번째 톱니를 돌려서 힘이 마지막까지 전달되는 속도는
빛의 이동속도보다 느린거라는 결론이네요..
"특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모든 움직임은 빛의 속도를 넘을 수 없다. 물질의 이동 속도는 물론, 힘의 매개체인 보존도 빛의 속도를 넘어서 전달될 수 없다. 정지질량이 없는 물체(예를 들면 광자)는 빛의 속도로 전파된다."
일반적으로 물체를 움직였을때 전달되는 것은 각 원자 또는 분자의 결합력(전자기력)에 의해 전달되며 이 전달속도는 광속보다 빠를 수 없고 실제로는 광속보다 많이 느리다고 합니다
이 말에 따르면 첫번째 톱니를 돌려서 힘이 마지막까지 전달되는 속도는
빛의 이동속도보다 느린거라는 결론이네요..

빙고~!^^

좀 비약해서 생각한다면 요렇게 생각할수가 있을듯 싶네요..
예를들어 지구에서 태양까지 이르는 긴 막대기를 휘두른다고 가정하고
막대기의 아랫쪽 각도를 바꿨다고 윗부분도 동시에 순간이동 하는게 아닌
도미노처럼 각 원자나 분자들이 이동하는거라고 보면 될것같은데요..
아.. 뭔가 신기하당 ;;
예를들어 지구에서 태양까지 이르는 긴 막대기를 휘두른다고 가정하고
막대기의 아랫쪽 각도를 바꿨다고 윗부분도 동시에 순간이동 하는게 아닌
도미노처럼 각 원자나 분자들이 이동하는거라고 보면 될것같은데요..
아.. 뭔가 신기하당 ;;

다른 톱니를 이용하면 안 되나요?
둘레가 100만 Km인 톱니를 돌리기 위해서 기어비를 낮춰서 100만개의 톱니면 가능할 것도 같은데요.
둘레가 100만 Km인 톱니를 돌리기 위해서 기어비를 낮춰서 100만개의 톱니면 가능할 것도 같은데요.

간단한 요약
빛은 1초에 30만키로
톱니바퀴는 재일첫번째것만 돌리면 재일뒤도 돌아감 무한대로 연결하고 그의대한 힘만 전달해준다면
빛보다 더빠를수있다 라는글인가용??
힘만 전달이 된다면 가능할거같은뎅 ㅠ
빛은 1초에 30만키로
톱니바퀴는 재일첫번째것만 돌리면 재일뒤도 돌아감 무한대로 연결하고 그의대한 힘만 전달해준다면
빛보다 더빠를수있다 라는글인가용??
힘만 전달이 된다면 가능할거같은뎅 ㅠ

http://phys.chonbuk.ac.kr/Culphy/relative/1-2-1.htm
요기 잼나는거 많네요.. 페이지 넘기면서 보시믄 되요..
요기 잼나는거 많네요.. 페이지 넘기면서 보시믄 되요..

허음 초광속쯤되야 돌아가려나

톱니를돌리는 에너지 즉 힘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그힘도 어마어마 할텐데
예전에 4차원에빠져서 무중력 장치 개발한답시고 이리저리 공식을 따져봐도 힘들더군요
전에 만든장치가 전기자동차 하이브로인가요 그방식과 비스므리 하네여
에너지에 보존 법칙 ? 중력을 무시한 힘? 회전 모우멘트? 가속력 모우멘트?
이런걸 만드는자체가 세상에는 바보로 취급되는듯 저처럼요....많고 많은 과학자 이론과 무시하고 행하는 공식.........
저에생각은 톱니를 돌리는데 그만은 원천이 되는 힘만 있다면 가능하다 봅니다.
사람에 인생 처럼요
특허도 안되더군요 에너지 보존에법칙 무중력법칙 등등 ^^
예전에 4차원에빠져서 무중력 장치 개발한답시고 이리저리 공식을 따져봐도 힘들더군요
전에 만든장치가 전기자동차 하이브로인가요 그방식과 비스므리 하네여
에너지에 보존 법칙 ? 중력을 무시한 힘? 회전 모우멘트? 가속력 모우멘트?
이런걸 만드는자체가 세상에는 바보로 취급되는듯 저처럼요....많고 많은 과학자 이론과 무시하고 행하는 공식.........
저에생각은 톱니를 돌리는데 그만은 원천이 되는 힘만 있다면 가능하다 봅니다.
사람에 인생 처럼요
특허도 안되더군요 에너지 보존에법칙 무중력법칙 등등 ^^
아니 우선 40만km 부터 해보고 100만km 도전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