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 명이나 클래스명에서 언더바를 써서 wr_name 이렇게 하느게 좋겠다고햇는데 코더가 말을 안듣네요~ 정보
id 명이나 클래스명에서 언더바를 써서 wr_name 이렇게 하느게 좋겠다고햇는데 코더가 말을 안듣네요~
본문
id 명이나 클래스명에서 언더바를 써서 wr_name 이렇게 하느게 좋겠다고햇는데 코더가 말을 안듣네요~
sms_name = '$in_name',
sms_sender
wr_name >> 등 이름을 정할때 언더바로해서 전체 소문자로 정하는게 좋겠다고 말했는데요
자꾸 wrName 이렇게 대문자를 넣는게 1bite 줄일수있고 트래픽 줄인다고 이러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 어디서 배웠는지 자꾸 요즘 추세는 다른 업체들도 다 이렇게 한다면서 이런 개발자는 처음이라고 이런소리를 하고있네요
>> 고수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sms_name = '$in_name',
sms_sender
wr_name >> 등 이름을 정할때 언더바로해서 전체 소문자로 정하는게 좋겠다고 말했는데요
자꾸 wrName 이렇게 대문자를 넣는게 1bite 줄일수있고 트래픽 줄인다고 이러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 어디서 배웠는지 자꾸 요즘 추세는 다른 업체들도 다 이렇게 한다면서 이런 개발자는 처음이라고 이런소리를 하고있네요
>> 고수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추천
0
0
댓글 8개

어차피 본인 스타일이라서 뭐라고 하기는 애매하지만..
대문자 넣는 방법도 많이 쓰기는 하지만..
그것으로 트래픽을 줄인다는건...음...
그리고 회사에서 원하는 형태에 어느정도 맞춰줘야하지 않을까요?
너무 고집만 피우면..음... 한대 때리세욤~ㅎㅎ
대문자 넣는 방법도 많이 쓰기는 하지만..
그것으로 트래픽을 줄인다는건...음...
그리고 회사에서 원하는 형태에 어느정도 맞춰줘야하지 않을까요?
너무 고집만 피우면..음... 한대 때리세욤~ㅎㅎ
저도 저렇게 하는데요.. wrName 이게 모가 어때서요..

개인적으로 대문자 섞어서 넣는건 코딩할때 불편해서 쓰지 않습니다. 보통 대문자 쓰는 경우는 파일명 지정할때 혹은 클래스명/함수명 지정할 때 쓰지 변수명으론 대문자 잘 안써서..
뭐 개개인의 스타일이 있는거니까요.
뭐 개개인의 스타일이 있는거니까요.
두 분다 말씀에 일리가 있습니다. 이름 짓는것은 딱히 정답이 없으니까요.
wrName 이렇게 대문자를 넣는게 1bite 줄일수있고 트래픽 줄인다고 이러는데 <<< 맞는 말이긴 하지만,
css작성하거나 자스 셀렉터 작성할때 대소문자 틀리면 개인적으로 짜증나서요...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html 코딩 컨벤션 가이드라고 있는데요,
http://html.nhncorp.com/data/convention/NHN_Coding_Conventions_for_Markup_Languages.pdf
네이밍 규칙이라고 써진 곳을 보면 다음과 써 있습니다.
A. 일반 규칙 : 이름은 영문 소문자, 숫자, 언더스코어(_)로 작성한다.
이 부분을 찾아서 반박하시면 수긍하지 않을까 싶네요.
wrName 이렇게 대문자를 넣는게 1bite 줄일수있고 트래픽 줄인다고 이러는데 <<< 맞는 말이긴 하지만,
css작성하거나 자스 셀렉터 작성할때 대소문자 틀리면 개인적으로 짜증나서요...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html 코딩 컨벤션 가이드라고 있는데요,
http://html.nhncorp.com/data/convention/NHN_Coding_Conventions_for_Markup_Languages.pdf
네이밍 규칙이라고 써진 곳을 보면 다음과 써 있습니다.
A. 일반 규칙 : 이름은 영문 소문자, 숫자, 언더스코어(_)로 작성한다.
이 부분을 찾아서 반박하시면 수긍하지 않을까 싶네요.
저는 고수는 아니고요. ^^
저는 대소문자 구분 안하는 경우는 언더바를 사용 하고요.
가령 예를 들어 디비 컬럼명이나 폴더명 이런 경우는 대소문자 구분 안하니 대소문자로 내이밍 하는 건 의미가 없죠.
대소문자 구분하는 곳에는 대소문자 구분으로 내이밍 합니다.
저는 대소문자 구분 안하는 경우는 언더바를 사용 하고요.
가령 예를 들어 디비 컬럼명이나 폴더명 이런 경우는 대소문자 구분 안하니 대소문자로 내이밍 하는 건 의미가 없죠.
대소문자 구분하는 곳에는 대소문자 구분으로 내이밍 합니다.
카멜케이싱쓰는 분들이 1바이트를 줄일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은 사실 트래픽에 지대한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잘생각해보세요..
언더스코어방식은 특수문자 _ 가 1byte가 맞지만,
카멜케이싱은 단어구분 첫자리가 2byte대문자이니, 결국 같은거 아닐까요^^;;
사실 변수 명명법은 트래픽줄이고 이런것이 중요한게 아니라 작업하는 모든 사람들의 작업규격을 맞추기 위한 것이니 얼굴 붉히지마시고 그냥 좋게 타일러서 좋은방향으로 이끌어나가세요!
ps. 공공작업을 할때 많이 쓰는 변수 명명법이 궁금하신분은 아래 링크로!
http://www.shspace.kr/blog_hans/1532
그리고 잘생각해보세요..
언더스코어방식은 특수문자 _ 가 1byte가 맞지만,
카멜케이싱은 단어구분 첫자리가 2byte대문자이니, 결국 같은거 아닐까요^^;;
사실 변수 명명법은 트래픽줄이고 이런것이 중요한게 아니라 작업하는 모든 사람들의 작업규격을 맞추기 위한 것이니 얼굴 붉히지마시고 그냥 좋게 타일러서 좋은방향으로 이끌어나가세요!
ps. 공공작업을 할때 많이 쓰는 변수 명명법이 궁금하신분은 아래 링크로!
http://www.shspace.kr/blog_hans/1532

기획자분의 조정이 필요합니다. 처음에 시작할때 파일명명 규칙이 없었나 보네요.
개인적인 사견입니다만 프로그래밍시 네이밍은 매우 중요하다라고 생각합니다.
프로젝트 규모가 커질수록 함수명이나 변수명을 정확하게 구분해야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작했던 개발자가 아닌 다른 개발자가 해당 함수를 보고 해당 함수나 변수의 용도가 파악이 되야하겠죠?
목적과 기회비용에 맞는 방향으로 하시면 될거같습니다.
트래픽을 줄이는게 더 기회비용이 높은지 코딩스타일을 맞추는게 더 효율적일지^^
네이버 코딩 컨벤션은 분명 언더스코어로 구분하는데는 이유가 있을것입니다.
프로젝트 규모가 커질수록 함수명이나 변수명을 정확하게 구분해야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작했던 개발자가 아닌 다른 개발자가 해당 함수를 보고 해당 함수나 변수의 용도가 파악이 되야하겠죠?
목적과 기회비용에 맞는 방향으로 하시면 될거같습니다.
트래픽을 줄이는게 더 기회비용이 높은지 코딩스타일을 맞추는게 더 효율적일지^^
네이버 코딩 컨벤션은 분명 언더스코어로 구분하는데는 이유가 있을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