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 os 로 웹서버를 구성하려는데 윈도우모드 ??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cent os 로 웹서버를 구성하려는데 윈도우모드 ?? 정보

cent os 로 웹서버를 구성하려는데 윈도우모드 ??

본문

cent os 6.4 netinstall 버전을 이용하여 설치하고 지우고.. 세팅하고 지우고... 반복...

vsftp에서 설정까지는 되었는데 외부에서 접속하면 list...에서 걸려 안 넘어가서... 지우고... 깔고...
-> 해결 못 하고 검색만 몇일째..

httpd에서 var/www/html 을 /home/유저명/public_html 하고 싶은데 못해서.. 지우고.. 깔고...
-> 검색만...

mysql 은 외부에서 3306포트를 이용해서 접근하려는데... 아직 시도도 못했고...

아무튼... 웹서버 만들기 너무 어렵습니다.


근데요... 이거 설치할때  Desk 모드 선택하고도 웹서버 운영이 가능한지 궁금해서요 ?
웹 서버 운영하려면 그냥 Text Mode로만 설치하고 해야 하는지... ?
그래야 한다면 왜 ???

아니면 윈도우 모드로도 가능하다면 설치할때 그냥 Desk 모드 선택하고... 나머지는
윈도우 모드에서 콘솔을 이용해서 설치하면 되는건가요 ?

질문도 많고 앞뒤 없지만, 아시다면 초짜를 위해 부탁 드립니다.
추천
0

댓글 12개

데스크모드(정식명칭: GUI) 모드로 서버를 운영 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장점이라고 한다면 데스크탑 대용으로 사용가능(와인을 설치하면 exe프로그램도 실행 가능합니다.) 하며 내장 프로그램으로 패키지 관리자가 존재 하기 때문에 텍스트 모드(정식명칭: CUI) 보다 서버 구성 작업 / 수정작업 등 에서는 월등히 좋다고 볼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운영측면에서 보면 GUI를 설치시 많은 용량과 메모리를 소비하게 됩니다. 만약 이서버가 IDC에 입주하게 된다면 원격(자세한 명칭이 기억 안나네요.)으로 접속하여 작업해야하는 불편함도 존재합니다.

결론. 데스크톱대용 + 리눅스 테스트용도로는 GUI가 적절하며 실제 운영용이라면 CUI를 추천해드립니다. 저는 우분투 서버를 GUI에서 공부하다가 CUI로 넘어가서 운영중입니다. ^^

ps. GUI모드로 셋팅된 리눅스는 X-window로 부팅됩니다. 용어 구분이 어렵네요 ㅠ.ㅠ;
리눅스는 초보자를 무척 힘들게 합니다.
저도 아직 초보자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자동회된 호스팅 관리툴을 만나고 나서는 손쉽게 웹서버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호스팅 관리툴은 GUI 모드에서 마우스 클릭으로 관리할 수 있으니까, 쉘 모드에서의 힘든 타이핑 과정을 격지 않아도 됩니다.
툴 중에 여러가지 있겠으나, 제가사용하는 것은 Virtualmin 이라는 것입니다. 무료버전도 있고, 유료버전도 있습니다.
영문이고 메뉴 구성이 복잡하여 배우기는 어려우나, 배우고 나면 심봤다는 느낌이 듭니다.
좋은 정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일단 초보 부터 탈출해야 할 것 같네요.
나중에 익숙해 지면 주신 정보를 활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1. 자원이 남아돌면 gui로 돌려도 되져뭐... 특히 메모리...  넘칠만큼 박아놓으면 쥐어짜서 커스터마이징할 필요 없죠..

2. vsftp  첨에 저도 삽질했던 기억이 나는데..

chroot_local_user=YES

#
# 사용자의 홈디렉토리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제한하기 위한 설정 (default=NO)
# 제한이 필요할 경우 YES로 바꾼 후 제한할 사용자 ID를 chroot_list_file= 에 설정한 파일에
# 지정한다.
# chroot_local_user= 설정과 관련이 있으니 '3. 문제 해결'을 꼭 읽어보라.

chroot_list_enable=YES
# (default follows)
chroot_list_file=/etc/vsftpd.chroot_list

#또한 특정 사용자로만 제한을 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한다.
#/etc/vsftpd.chroot_list에는 제한할사용자 ID를 한줄에 하나씩 나열하면 된다.
#주의할 것은 chroot_local_user=YES와 chroot_list_enable=YES를 함께 사용할 경우에는
#/etc/vsftpd.chroot_list에 포함된 사용자 ID만 제한없이 홈디렉토리를
#벗어날 수 있다. 즉, 반대로 작용한다.

요게 아마 삽질을 벗어나는데 가장 포인트였던걸로 기억하네요

3. 아파치에서 회원디렉토리 설정하는 부분은 유저 어쩌고 .so 를 활성화하고
유저 디렉토리 경로 설정 해주면 되는걸로 기억하네요..

인터넷 검색해보면 쉽게 찾으실수 있습니다....  키워드만 잘 파악하시면 ^^
그리고 뭣보다도 다른 유저의 세팅파일을 구해서 읽어보는것이 가장 빠른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저는 데비안-우분투계열을 선호하는지라...
경로랑 설정법이 조금 다를 수는 있겠습니다만... ^^;
좋은 정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우선 vsftpd에 대한 정보를 해 봐야겠네요.
아무튼 큰 정보 같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ㅋㅋ 자원이 남아돌지 않아요...
펜티엄4 거든요..
그냥 연습삼아 하는거라...
TUI 모드로 하기로 결정했어요..
힘들겠지만, 그냥... 나중을 위해서...
아무튼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전체 199,645 |RSS
자유게시판 내용 검색

회원로그인

(주)에스아이알소프트 / 대표:홍석명 / (062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7-34 한신인터밸리24 서관 1402호 / E-Mail: admin@sir.kr
사업자등록번호: 217-81-363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2014-서울강남-02098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김민섭(minsup@sir.kr)
© SIR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