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자 단순 수익률 정보
사업자 단순 수익률
본문
여러 사업자가 있겠지만
요식업
제조업
우리같은 이런 쪽의 개발/디자인업(디자인 출력소 이런데 제외)
교육업(학원/과외 등)
이런데서 단순 수익률만 보면.... 어디가 높을까요...
단순 마진으로 치면... 요식 제조 등은 매출 대비 수익률은 당연 떨어질테고.. 원자재가 있으니..
인건비들을 모두 제외한다면.. 역시나 우리쪽이랑 교육업이 득일 듯..
결국 학원과 개발/디자인을 병행한다면... 꽤나 좋지 않을까 싶네요.
물론 세상에 쉬운건 없지만...
요식업 제조업 이런거 모두 원자재 신경 써야하고... 품질 관리 더 신경 써야하고..
물론 교육의 질적 품질 유지 개발/디자인도 품질 유지 및 상승에 노력을 기울여야겠지만..
부대 비용이나 이런저런거가 훨씬 적게 들고 등등...
아내가 소시쩍 따놓은 조리 관련 자격증 등도 있고 해서.. 포괄적으로 이거 저거 구상 중인데..
수월치 않네요.
아내도 학원 강사했었고 저도 과거에 학원 강사도 하고 과외 했던 적도 있고..
교육/개발/요식... 모두 땡기네요...
추천
0
0
댓글 6개

요즘 중대기업 칼바람이 불고 있는것 같았습니다.
좀 크다면 큰 제조업체인데,
모 회사에서 사무직으로 대략 100 명을
그만 두라는 권고 사직을 했다라는
어느 지인분의 얘기도 있고..
요즘엔 너무 불황이다보니 ( 상위 1%만 신났죠 )
가만이 있는게 돈 버는게 아닌가 싶어요......ㅠㅠ
좀 크다면 큰 제조업체인데,
모 회사에서 사무직으로 대략 100 명을
그만 두라는 권고 사직을 했다라는
어느 지인분의 얘기도 있고..
요즘엔 너무 불황이다보니 ( 상위 1%만 신났죠 )
가만이 있는게 돈 버는게 아닌가 싶어요......ㅠㅠ

제조업은 정말.. 한국에서의 제조업은 더욱 심각하다고 보네요.
빛 좋은 개살구 신세일 때도 많고....
원자재 덤프도 많이 맞죠.. 대기업이야 엄살이고...
빛 좋은 개살구 신세일 때도 많고....
원자재 덤프도 많이 맞죠.. 대기업이야 엄살이고...

제 주변을 보면 다들 살려고 바둥바둥하다가 급기야 요식업이나 의류판매업을 하는데 그 또한 힘이 들어서 있는 돈 까지 날리더군요. 요즘은 여유돈이 있으면 그냥 묶어서 잠을 재워야 맞다는 생각이듭니다. 특히 인건비 많이 나가는 사업은 일단 치워두시고 생각해 보시는 것이 좋아요.

저희는 인건비 딱이 안들이려구요.
요식업을 하게 되면 나름 개발 메뉴가 있는 상태이고..
재료비 등 산정을 어느 정도 해봤네요. 수익성도 타산도 시장 조사 어느 정도 다 했고요.
교육이나 이런건 복합적 상황을 고려 해서 연구 중입니다.
돈 막 들이거나 인건비 많이 들거나 골치 아픈건 저도 안하려고요.
요식업을 하게 되면 나름 개발 메뉴가 있는 상태이고..
재료비 등 산정을 어느 정도 해봤네요. 수익성도 타산도 시장 조사 어느 정도 다 했고요.
교육이나 이런건 복합적 상황을 고려 해서 연구 중입니다.
돈 막 들이거나 인건비 많이 들거나 골치 아픈건 저도 안하려고요.

불경기에는 현금이 왕 입니다. Cash is king.
제가 한국에서 먹고 살아야 한다면 저는 지금 자산 포트폴리오에 현금 비중을 최대한 높히고 (물론 현금은 다 달러로 갖고 있겠죠.)
그냥 숨만쉬고 있겠습니다.
올해말까지 보긴 해야 하는데, 지금 인도 루피가 위태위태 합니다. (작전세력 개입했다는 소문도 있구요.)
인도가 무너질수도 있고, 인도네시아도 지금 상당히 공포스러운 상황 입니다.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01&year=2013&no=806035&sID=303
인도나 인도네시아 가 나랑 무슨 상관이야? 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이 여파가 한국까지 영향이 옵니다.
외인들이 손을 털고 달러로 펀드를 돌리거든요. (IMF 때나 2008년 생각하시면 됩니다.)
외인들 삼성전자에서 손털기 시작하면 코스피 작살나고 (외인소유 삼성전자 주가 51% 인가 그렇습니다.)
코스피 하고 내가 운영하는 돈까스 집 하고 아무 상관도 없을 것 같지만, 상관이 있습니다.
//////////////////////////////////////////////////
미국도 경기가 좀.... 나쁘다고 할수는 없는데... 이상해요.....
부동산 경기가 올 상반기 살아나기는 했는데, 다시 7월달 들어 침체되기 시작했고.... 그런데 자동차 판매는 또 8월에 늘어났고....
지금 전 세계에서 제일 확실하게 돈벌수 있는 곳은 브라질 입니다. 브라질 경기 따봉.
월드컵, 올림픽을 앞두고 있고, 건설경기도 좋고, 내수시장도 엄청나게 늘어나고 있고, 부동산은 잠만 자고 일어나면 두배로 뛰고...
전세계 불황속에 인플레이션 걱정을 할정도로 경기가 과열될 정도로 브라질 경기 좋습니다.
///////////////////////////////////////////////////
암튼 브라질로 이민가실 거 아니시면, ㅎㅎㅎㅎ
한국에서는..... 그냥 일 안벌리고 돈 안쓰는게 돈버는게 아닐까 생각됩니다.
제가 한국에서 먹고 살아야 한다면 저는 지금 자산 포트폴리오에 현금 비중을 최대한 높히고 (물론 현금은 다 달러로 갖고 있겠죠.)
그냥 숨만쉬고 있겠습니다.
올해말까지 보긴 해야 하는데, 지금 인도 루피가 위태위태 합니다. (작전세력 개입했다는 소문도 있구요.)
인도가 무너질수도 있고, 인도네시아도 지금 상당히 공포스러운 상황 입니다.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01&year=2013&no=806035&sID=303
인도나 인도네시아 가 나랑 무슨 상관이야? 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이 여파가 한국까지 영향이 옵니다.
외인들이 손을 털고 달러로 펀드를 돌리거든요. (IMF 때나 2008년 생각하시면 됩니다.)
외인들 삼성전자에서 손털기 시작하면 코스피 작살나고 (외인소유 삼성전자 주가 51% 인가 그렇습니다.)
코스피 하고 내가 운영하는 돈까스 집 하고 아무 상관도 없을 것 같지만, 상관이 있습니다.
//////////////////////////////////////////////////
미국도 경기가 좀.... 나쁘다고 할수는 없는데... 이상해요.....
부동산 경기가 올 상반기 살아나기는 했는데, 다시 7월달 들어 침체되기 시작했고.... 그런데 자동차 판매는 또 8월에 늘어났고....
지금 전 세계에서 제일 확실하게 돈벌수 있는 곳은 브라질 입니다. 브라질 경기 따봉.
월드컵, 올림픽을 앞두고 있고, 건설경기도 좋고, 내수시장도 엄청나게 늘어나고 있고, 부동산은 잠만 자고 일어나면 두배로 뛰고...
전세계 불황속에 인플레이션 걱정을 할정도로 경기가 과열될 정도로 브라질 경기 좋습니다.
///////////////////////////////////////////////////
암튼 브라질로 이민가실 거 아니시면, ㅎㅎㅎㅎ
한국에서는..... 그냥 일 안벌리고 돈 안쓰는게 돈버는게 아닐까 생각됩니다.

네 조언 감사히 받겠습니다.
뭔 사업을 벌려보겠단 수준이 아니라서요..
그럴 깜도 안되구요.
그냥 효율성 높은 것들을 가지고 어느 정도 비축하는 것이 목적이라...
뭔 사업을 벌려보겠단 수준이 아니라서요..
그럴 깜도 안되구요.
그냥 효율성 높은 것들을 가지고 어느 정도 비축하는 것이 목적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