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쪽 사업함에 있어서 기술력 보다는 인문학이 더 중요한듯 정보
웹쪽 사업함에 있어서 기술력 보다는 인문학이 더 중요한듯본문
웹쪽은 이미 모든 기술이 평준화 되어서
기술력 우위가 사업의 성패가 되지는 않죠
누군가 새로운 웹사이트를 만들면
"좋은데? 나도 똑같이 만들어주겠어~" 하며 비슷한 사이트들이 쏟아지죠
대표적으로 이미 망해버린 한국 소셜서비스들이죠
고로 웹은 기술도 중요하지만 인문학 적 관점에서 미래의 고객을 연구하는것이 중요한것같아요.
더불어 핵심에 대한 집중과 개발 스피드를 높이는게 경쟁에서 이기는 방법.
추천
0
0
댓글 15개

간단하면서도 어렵지요 ㅠ

운빨 90, 실력 10.
야후, 구글, 페이스북, 한글, MS, 선, 오라클, nComputing ....
야후, 구글, 페이스북, 한글, MS, 선, 오라클, nComputing ....
구글은 빼는게 좋을듯
구글 랭킹알고리즘은 그당시 획기적이었어요
구글 랭킹알고리즘은 그당시 획기적이었어요

전 초기를 이야기하는 것이지요. 초기의 거대 검색 공룡들에 도전했던 무수한 이들 가운데 구글이 평천하한 것은 단순히 기술만은 아니라는 것.

저도 늘 생각하는게 ...한국에서 빌게이츠나 잡스 형아를 아무리 외쳐봐야 초등학교 교육부터 인문학을 천대시하는
환경에서는 절대 나올수 없다라고 생각합니다..모든 학문의 기본이 되는 인문학을 무시하면서 무슨 기술과 무슨 마인드를
외치는 지....정말 울 나라 교육환경은 암울하죠..
환경에서는 절대 나올수 없다라고 생각합니다..모든 학문의 기본이 되는 인문학을 무시하면서 무슨 기술과 무슨 마인드를
외치는 지....정말 울 나라 교육환경은 암울하죠..
회사를 운영해본적도 없는 잡스가 성공 할 수 있었던건
고객이 무엇을 원하는지 잘알고 있어서죠
그게 잡스의 큰장점
고객이 무엇을 원하는지 잘알고 있어서죠
그게 잡스의 큰장점

집에 돈이 많아서. 그는 생판 들어보지도 못한 분야를 재정 걱정없이 할 수 있는 배경이 있었지요. 물론 최고의 대학을 포기한 것은 아무나 못하는 일. 그런데 그런 사람 많아도 성공하는 사람은 소수

웹은수단이고 그안에 거래되는것들이 경쟁력이있어야한다고 생각해요 그것이 물건이면 가격이될것이고,
무엇이든 목적이 확실하고 그안에 거래되는것들이 정말 본능적으로 끌리는것이어야 성공은 아니더라도 수익이 일어난다고 생각이들어요. 프로그램이아닌 그외의상황에서 프로그램이 필요한데, 그 실무안에있는 사람들이 프로그램을 한다면 저는 더큰경쟁력이있는거같아요. 아이디어가떠올랐을때 그것을 실천하기위해 사람을구하고 문제해결을하는 과정전에 많은사람들이 포기를 하는데, 사업아이템과 그것을 재빠르게 시각적으로 만들어낼수있는 기술 그리고 마케팅능력이 있는사람들이 지금시대에 성공할확율이 높은거같은 생각이드네요 . ㅎ
무엇이든 목적이 확실하고 그안에 거래되는것들이 정말 본능적으로 끌리는것이어야 성공은 아니더라도 수익이 일어난다고 생각이들어요. 프로그램이아닌 그외의상황에서 프로그램이 필요한데, 그 실무안에있는 사람들이 프로그램을 한다면 저는 더큰경쟁력이있는거같아요. 아이디어가떠올랐을때 그것을 실천하기위해 사람을구하고 문제해결을하는 과정전에 많은사람들이 포기를 하는데, 사업아이템과 그것을 재빠르게 시각적으로 만들어낼수있는 기술 그리고 마케팅능력이 있는사람들이 지금시대에 성공할확율이 높은거같은 생각이드네요 . ㅎ

저도 공감합니다~~

한창 웹 접근성이다 뭐다 할 때도 이 얘기 많이 했었더랬죠. 인문철학을 알아야 한다. 공감하고 갑니다.

무엇이든 깊이 생각하고 생각하다보면 철학이 되겠죠. IT나 사업이나 뭐나 마찬가지인듯요.

창의력을 기르지 못하게하는 우리나라 교육 방법 때문이 아닐까요?

완벽한 타이밍을 노리는것 또한..

제 경험으로는 돈입니다. 돈.
성공의 확률이 높아졌을 때 적절하게 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 것. 그게 바로 우리나라와 미국의 차이.
한 예로 nComputing 이게 한국에서 물먹은 아이템인데 미국에서 같은 아이디어로 투자 80억 받고 세계 지배하고 있어요. 340만 카피(대) 팔았어요.
성공의 확률이 높아졌을 때 적절하게 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 것. 그게 바로 우리나라와 미국의 차이.
한 예로 nComputing 이게 한국에서 물먹은 아이템인데 미국에서 같은 아이디어로 투자 80억 받고 세계 지배하고 있어요. 340만 카피(대) 팔았어요.
타이밍이 중요하죠..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