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누보드에 대한 무지몽매함으로 인해 질문하는 것들 > 그누3질답

그누3질답

그누보드에 대한 무지몽매함으로 인해 질문하는 것들 정보

그누보드에 대한 무지몽매함으로 인해 질문하는 것들

본문

제로보드를 쓰다가 그누보드를 쓸려고 하는데, 그누보드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도무지 이해가 안되고 있습니다.

사용메뉴얼을 제가 보기에는 너무 엉성하여서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는지 힘이 듭니다. (특히 로그인, 최신글 등을 올리고자 할때 ...게시판 올리는 것은 시도조차 못하고 있음) 여기저기 올리신 글을 읽으면서 뭐가 제로보드와는 다른 접근법을 취해야 하는 것 같은데 그런 관점을 제공할 수 있는 기초개념들이 별로 없군요. 특히 php문구로 바로 설명이 들어가니 읽는 것 자체가 부담이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첫번쩨 질문은 그누를 사용하는 기본 원리를 누가 설명좀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 제로는 첫 화면의 맨위쪽에 절대경로를 적어주고 로그인의 경우 그것이 나타나는 명령구문만 적어주면 됩니다. 이것은 이미 인덱스페이지를 다 만들어 놓고 로그인이 필요한 부분에 해당문구를 삽입하면 되는 것입니다. 최신글도 마찬가지고요.

그런데 그누는 이런식으로 시작하지 않는 것같습니다.  제가 이런 방식으로 그누로그인 령문구를  문구를 삽입하니 로그인은 전혀 나타나지 않고 화면 자체가 깨어져 나옵니다.

http://xxxx/gnu3라고 하면  여기에 로그인 스킨이  나타나고 게시판 설치를 한 게시판의 이름이 나타나는 페이지가 보였습니다.

그래서 두번재 던지는 질문은 인덱스페이지를 올리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제가 만드는 인덱스페이지를 head, main, detail.php으로 나누어서 그누폴더안에 넣어야 합니까? 아니면 그누폴더 안에 있는 head, main 등을 편집해서 원래 원하던 인덱스페이지로 만들어야 합니까?(이렇게 만들면 결과는 똑같게되는가?) 어쨋던 처음 내가 만든 인덱스페이지와 http://xxxxx/gnu3으로 나타나는 것과 도무지 무스 상관이 있는지 알수 가 없네요.

세번째 질문은 http://xxx/gnu3로 들어가지 않고 htttp://xxxx.co.kr로 해서 나의 인덱스페이지가 나타나게 할려면 어떻게 하나요?

질문, 답의 글들을 찾아서 읽기는 하였지만 조금 더 쉽게, 원리적으로 설명을 먼저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이것 모르면 다시 제로를 쓰는 것이 결국 편하니깐 그리로 돌아가야 하는데...지금은 그누를 좀 배우고 싶네요.

<참고로 제로를 사용하다가 그누로 오는 사람이 많은데 제로와 비교하면서 설명하는 것들이 있으면 정말 좋겠네요. 물론 어느분의 말처럼 Paradime shift를 해야 하지만...>

댓글 전체

가장 빠르게 적응하는 방법을 알려드리죠..
저도 제로,알지 사용하다가 온지 일주일정도 되었군요..
초보에 불과한 저 인데도...적응만하는데는 하루정도도 안걸리더군요..
그만큼 그누보드의 구조가 잘되어있다는 말씀이죠...^^

우선 그누보드 폴더에있는 파일들을 살펴 보시고, 다음은 lib폴더에 있는 파일들을 살펴 보신다면,
적응이 빠르실겁니다....
그누의 변수명들을 빠르게 이해하시게 될테니까요.....^^
지금까지 뒤져서 알아본 결과 나름대로 이해한 바에 따르면 제로보드 사용자가 그누보드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가 그누보드의 장점이자 단점이라고 생각합니다.(이 모든 것은 전적으로 개인적 판단에서 근거한 것임)

일반적으로 사람들(홈페이지 제작에 초보자들)은 웹페이지를 만들고 여기에 게시판을 삽입하는 형태로 접근합니다. 이것은 웹을 만드는 것에 있어 일반적인 형식입니다. 따라서 제로보드는 자신이 필요한 곳에 특히 로그인/최근게시물들은 그냥 단순한 문구를 삽입하는 것으로 충분히 해결이 되어 버립니다.

그러나 그누보드는 처음부터 홈페이지가 어느 정도 만들어져 있는 형식입니다. 그래서 차라리 제로보드를 모르고 여기서 만들어놓은 것을 가지고 살을 붙이는 형식으로 홈페이지를 만든다면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첫페이지인 인덱스페이지가 먼저 대충 만들어져 있습니다. 그런데 그 인덱스 페이지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만드는 index.html이 아니고  제로보드에 게시판을 만들때(특히 앞뒤에 head.php와 foot.php를 삽입하여 게시판이 들어간 페이지를 꾸밀때처럼)와 같이 headsub.php,  head.php,  main.php, tail.php, tail.php로 나누어서 만든다음에 이것을 index.php로 함께 다 불러들인다는 것입니다. 

index.php = headsub.php  + head.php + main.php + tail.php + tail.php

그러므로 제로보드 사용자는 자신이 이미 만든 index.html파일을  head...tail.php형태로 나누어야 한다는 것을 모르고 낑낑대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사실 로그인이나 최근게시물을 사용하지 않는 첫 페이지라고 한다면 그냥 index.html로 올리면 됩니다. 그러면 웹브라우저에 html이 php보다 먼저 나타나니깐요. 그런데 http://xxxx/gnu3라고 치면(gnu3라는 파일로 계정에 올렸을 경우) 관리자 모드의 페이지가 나타나면서 거기에 게시판 종류, 글, 로그인이 나타나 당황스러워하겠됩니다(나만 그렇는지 모르지만요...)
답변이 없어서...제 혼자 이해한것을 제대로 이해했는지 지금 떠들고 있음......................................
(특히 제로보드 사용자들의 혼란스러움을 대변하고자...)

로그인과 최근 글의 작은 게시판을 올리고 싶은데 헤매는 사람들은 자신이 만든 index.html(어떤 이는 main.html, default.html일수 있슴)에 아무리 적어 놓어도 나타나지 않고 오히려 인덱스페이지만 이상하게 깨어져 나옵니다.

그런데  http:// xxxxxx.co.kr/gnu3라고 하는 관리자 페이지 같은데를 보면 여기에 그렇게 보이게 하고자 했던 로그인이나 최근 글 스킨이 나타나는 것입니다(잠깐! 이 출력문을 head.php나 혹은 main.php에 기입하였다면 나타난다. 그러나 index.html에 입력하면 이 관리자 페이지에도 당연히 안나타겠죠)
결론은................

먼저 index.html을 만들어 놓았다면, 이것을 head.php......tail.php형식으로 나누어서 gnu3파일 밑에 넣어야 한다(정확하게 말하자면 gnu3파일밑에 이미 있는 이들 파일들의 형식을 따라서).

어떻게 이것을 나누느냐고? 음...내가 취한 꼼수(편법)는  먼저 gnu3파일 아래에 있는
headsub.php,  head.php,  main.php, tail.php, tail.php을 메모장으로 열어서 자세히 보고 지울 것과 지우지 말아야할 것을 발견하는 일이다.

그리고 자세히 보면 하나의 index.html파일을 .php파일로 나누었다고 보이는 태그들이 나타날 것이다.
특히 <?  .....?>로 된 첫 부분은 무조건 살리고...그 뒤에 나타난 것들을 보면 우리가 흔히 만드는 웹페이지 형식임을 알수 있다.

둘째, headsub.php부분은 index.html의 첫부분에서 시작하여 <body>라는 태그까지 포함시키는 것이다(여기서 설명하는 부분과 조금다르지만)
      head.php부분은 <body>태그 밑에 일반적으로 <table>로 시작하는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표로 레이아웃을 해서 만드는 것이니깐 첫 시작이 보통<table>이렇게 시작한다. 그러면 어디까지 포함되는가? 내가 보니 이것은 다소 임의적인데...대부분 설명자들은 왼쪽 중간부분까지 포함시키는데...적당히 자르면 될 것같다. 특히 로그인을 포함하는 부분까지 ...최근글 표시는 main.php부분에 포함시키면 될 것 같은데

      main.php은 게시판을 사용하는 공간이나 혹은 자신이 포함시키고 싶은 부분들...
    tail.php 이것은 제로보드 사용자가 foot.php라고 부른 것과 비슷한데...  </body> 전부분의 후미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 부분은 주로 카피라이터 문구가 들어가는 가장 끝부분이라고 하는데...앞에서 남은 부분을 다붙이면 되겠죠. (사실 정확하게 나눌수 있는 공식이나 원리가 있는 것 같지는 안는 것 같은데.....고수님들은 어떻게 답변할라나?)
 
      tailsub.php는 가능한한 그대로 두는 것이 좋을듯.... </body></html>을 닫는 부분이던군요!

마지막으로 이것들을 다시 계정에 올려놓은 후  http://xxxxxx/gnu3라고 해서 들어가면 자신이 만든 웹페이지가 뜹니다. 그런데 이것 주소가 영 이상하잖아요! 그래서 제가 던진 질문에 대해  답변해주신 님의 말을 풀어 적어넣으면 

<초보질문1 주소와 인텍스페이지 라는 질문>
<<<<<지 혼자 질문하고 답하고 우습기가 짝이 없는 행동을 지금 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어떤이는 압니다. 왜 제가 이런 우스운 짓을 하는지......

다음의 내용을 그대로 카피해서 <홈타이틀은 자신의 첫페이지에 나타나는 제목을 적으라는 것입니다. >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title>홈 타이틀</title>
</head>
<frameset rows="*,0" cols="1*" border=0>
<frame src="gnu3/index.php" frameborder=0 scrolling=auto>
</frameset>
<body>
</body>
</html>

메모장에 넣은 후 save as .... 로해서  index.php로 저장합니다. 그리고 이것을 자신의 계정 최상위 폴더, 보통 index.html폴더를 놓은 곳(쉽게 말하자면 gnu3폴더가 있는(보이는) 계층)
........gnu3
        index.php <--------여기에 넣으시면 됩니다.
        images
        xxxx.html
        xxxxx2.html

그러면 자신의 주소대로 자신이 만든 (관리자 페이지형식으로 보였던 부분)가 바로 나타납니다. 위 구문은 gnu3파일안에 있는 index파일을 불러내는 것이겠죠)

아, 그런데 index.html파일에 사용된 이미지들은 httP://....로 경로를 지정하거나 혹은 인덱스에 사용된 이미지 파일은 head.php ....등이 있는 파일에 넣어야 제대로 나타날 것입니다.

아이구 힘들어라. 이게 무슨 미친 짓이고......

남들은 아는 것을 뒤늦게 조금 알고는 무식하게 글을 썼습니다. 뒷북이라고 할까????????????????
전체 9,564
그누3질답 내용 검색

회원로그인

(주)에스아이알소프트 / 대표:홍석명 / (062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7-34 한신인터밸리24 서관 1402호 / E-Mail: admin@sir.kr
사업자등록번호: 217-81-363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2014-서울강남-02098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김민섭(minsup@sir.kr)
© SIR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