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nu 2.65와 3.xx 버전 같이 사용하기. 정보
그누호환 gnu 2.65와 3.xx 버전 같이 사용하기.관련링크
http://threes.org/gnu/
85회 연결
http://threes.org/gnu3/
82회 연결
본문
제가 작업한 방식은 3.xx 사용중에 2.65를 설치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주의) 2.65 사용중에 3.xx를 사용한것이 아님을 주의 하시기 바랍니다.
1. 3.xx를 /gnu3에 설치해서 정상 운영한다.
3.xx에서는 그누관련 모든 테이블이 config.php에 설치된 초기값(gb_)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2. 2.65를 /gnu에 다음 내용을 주의하여 설치한다.
2-1) 2.65 설치전에 config.php에서 테이블명을 "gb_"로 시작하는 14개를 모두 "gb2_"로 수정한다.
/*
** 테이블 명
*/
$cfg[table_default] = "gb2_default"; // 기본환경설정 테이블
$cfg[table_group] = "gb2_group"; // 그룹 설정 테이블
$cfg[table_group_member] = "gb2_group_member"; // 그룹회원 설정 테이블
$cfg[table_board] = "gb2_board"; // 게시판 설정 테이블
$cfg[table_login] = "gb2_login"; // 로그인 테이블 (접속자수)
$cfg[table_member] = "gb2_member"; // 회원 테이블
$cfg[table_memo] = "gb2_memo"; // 메모 테이블
$cfg[table_zip] = "gb2_zip"; // 우편번호 테이블
$cfg[table_vote] = "gb2_vote"; // 투표 테이블
$cfg[table_vote_etc] = "gb2_vote_etc"; // 투표 기타의견 테이블
$cfg[table_point] = "gb2_point"; // 포인트 테이블
$cfg[table_count] = "gb2_count"; // 카운터 테이블
$cfg[table_count_sum] = "gb2_count_sum"; // 카운터 합계 테이블
/*
** 기타
*/
$cfg[write_table_prefix] = "gb2_write_"; // 게시판 테이블의 접두사
2-2) http://도메인/gnu/_admin/install.php를 실행하여 2.65를 설정한다.
3. 이제 2.65와 3.xx를 양쪽다 멤버 가입을 해서 사용가능한 상태가 된다.
두 버전간의 아이디 공유는 안되는 상태임.
4. 2.65와 3.xx에서 둘다 같은 사용자 테이블을 사용하기를 원한다면(두 버전간의 아이디 공유상태임, 세션공유상태가 아님)
2.65 설치 디렉토리의 테이블 정보를 다음처럼 변경하여 2.65 보드 사용시 3.xx의 로그인,회원,메도등을 사용하도록 테이블 이름을 "gb2_" 에서 "gb_"로 변경한다.
$cfg[table_login] = "gb_login"; // 로그인 테이블 (접속자수)
$cfg[table_member] = "gb_member"; // 회원 테이블
$cfg[table_memo] = "gb_memo"; // 메모 테이블
$cfg[table_zip] = "gb_zip"; // 우편번호 테이블
$cfg[table_vote] = "gb_vote"; // 투표 테이블
$cfg[table_vote_etc] = "gb_vote_etc"; // 투표 기타의견 테이블
$cfg[table_point] = "gb_point"; // 포인트 테이블
$cfg[table_count] = "gb_count"; // 카운터 테이블
$cfg[table_count_sum] = "gb_count_sum"; // 카운터 합계 테이블
5. 위 상태까지 작업하면 아이디는 공유되지만 세션이 공유되지 않는 상태임 왜냐하면
2.65의 세션은 /gnu/data/session에 있고 3.xx의 세션은 /gnu3/data/session에 있는 상태이기 때문임.
이것을 같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음 처럼 작업한다.
5-1. /gnu/data 디렉토리에서 rm 명령으로 session 디렉토리를 제거한다.
5-2. /gnu/data 디렉토리에서 심볼릭 링크명령으로 /gnu3/data/session와 /gnu/data/session이 링크되도록한다.
예)다음의 예는 cafe24의경우
/home/hosting_users/사용자계정/www/gnu/data]$ ln -s /home/hosting_users/사용자계정/www/gnu3/data/session session
5-3. 위의 같이 작업되면 /gnu/data/session과 /gnu3/data/session이 항상 같은 파일이 존재하게 됨.
6. 작업 완료위의 같이 작업된것은 다음의 링크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누 2.65 => http://threes.org/gnu/
그누 3.xx => http://threes.org/gnu3/
(주의) 2.65 사용중에 3.xx를 사용한것이 아님을 주의 하시기 바랍니다.
1. 3.xx를 /gnu3에 설치해서 정상 운영한다.
3.xx에서는 그누관련 모든 테이블이 config.php에 설치된 초기값(gb_)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2. 2.65를 /gnu에 다음 내용을 주의하여 설치한다.
2-1) 2.65 설치전에 config.php에서 테이블명을 "gb_"로 시작하는 14개를 모두 "gb2_"로 수정한다.
/*
** 테이블 명
*/
$cfg[table_default] = "gb2_default"; // 기본환경설정 테이블
$cfg[table_group] = "gb2_group"; // 그룹 설정 테이블
$cfg[table_group_member] = "gb2_group_member"; // 그룹회원 설정 테이블
$cfg[table_board] = "gb2_board"; // 게시판 설정 테이블
$cfg[table_login] = "gb2_login"; // 로그인 테이블 (접속자수)
$cfg[table_member] = "gb2_member"; // 회원 테이블
$cfg[table_memo] = "gb2_memo"; // 메모 테이블
$cfg[table_zip] = "gb2_zip"; // 우편번호 테이블
$cfg[table_vote] = "gb2_vote"; // 투표 테이블
$cfg[table_vote_etc] = "gb2_vote_etc"; // 투표 기타의견 테이블
$cfg[table_point] = "gb2_point"; // 포인트 테이블
$cfg[table_count] = "gb2_count"; // 카운터 테이블
$cfg[table_count_sum] = "gb2_count_sum"; // 카운터 합계 테이블
/*
** 기타
*/
$cfg[write_table_prefix] = "gb2_write_"; // 게시판 테이블의 접두사
2-2) http://도메인/gnu/_admin/install.php를 실행하여 2.65를 설정한다.
3. 이제 2.65와 3.xx를 양쪽다 멤버 가입을 해서 사용가능한 상태가 된다.
두 버전간의 아이디 공유는 안되는 상태임.
4. 2.65와 3.xx에서 둘다 같은 사용자 테이블을 사용하기를 원한다면(두 버전간의 아이디 공유상태임, 세션공유상태가 아님)
2.65 설치 디렉토리의 테이블 정보를 다음처럼 변경하여 2.65 보드 사용시 3.xx의 로그인,회원,메도등을 사용하도록 테이블 이름을 "gb2_" 에서 "gb_"로 변경한다.
$cfg[table_login] = "gb_login"; // 로그인 테이블 (접속자수)
$cfg[table_member] = "gb_member"; // 회원 테이블
$cfg[table_memo] = "gb_memo"; // 메모 테이블
$cfg[table_zip] = "gb_zip"; // 우편번호 테이블
$cfg[table_vote] = "gb_vote"; // 투표 테이블
$cfg[table_vote_etc] = "gb_vote_etc"; // 투표 기타의견 테이블
$cfg[table_point] = "gb_point"; // 포인트 테이블
$cfg[table_count] = "gb_count"; // 카운터 테이블
$cfg[table_count_sum] = "gb_count_sum"; // 카운터 합계 테이블
5. 위 상태까지 작업하면 아이디는 공유되지만 세션이 공유되지 않는 상태임 왜냐하면
2.65의 세션은 /gnu/data/session에 있고 3.xx의 세션은 /gnu3/data/session에 있는 상태이기 때문임.
이것을 같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음 처럼 작업한다.
5-1. /gnu/data 디렉토리에서 rm 명령으로 session 디렉토리를 제거한다.
5-2. /gnu/data 디렉토리에서 심볼릭 링크명령으로 /gnu3/data/session와 /gnu/data/session이 링크되도록한다.
예)다음의 예는 cafe24의경우
/home/hosting_users/사용자계정/www/gnu/data]$ ln -s /home/hosting_users/사용자계정/www/gnu3/data/session session
5-3. 위의 같이 작업되면 /gnu/data/session과 /gnu3/data/session이 항상 같은 파일이 존재하게 됨.
6. 작업 완료위의 같이 작업된것은 다음의 링크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누 2.65 => http://threes.org/gnu/
그누 3.xx => http://threes.org/gnu3/
추천
1
1
댓글 전체
흑흑..이글을 1시간만 일찍 읽었더라면...날리지 않았을텐데... 복구하는 방법은 없나요? 날라간 디비요..--;
암턴 고맙습니다.. 지금이라도 얼렁 복구는 안되겠지만...다시 테이블 맹그러야 겠네요. ㅠ.ㅠ;
암턴 고맙습니다.. 지금이라도 얼렁 복구는 안되겠지만...다시 테이블 맹그러야 겠네요. ㅠ.ㅠ;
^^
[root]님 자세한 부연 설명 감사드립니다.
절대 간과하지 말아야 할 부분이, 뭔가를 저지르기 전에, 환경설정^^
[root]님 자세한 부연 설명 감사드립니다.
절대 간과하지 말아야 할 부분이, 뭔가를 저지르기 전에, 환경설정^^
>> *상위버전을 먼저 설치하고 하위버젼을 나중에 설치하는 이유가 뭔가요?
특별한 이유가 없습니다. 3.xx 사용중 2.65를 같이 사용해보고펀 충동이라고 할까요.
>> *[root]님의 방법처럼, 설치전 install관련 파일 및 table생성 관련 부분만 신경쓰면 괜찮지 않을까요?
>> * 기본적으로 회원 및 로그인 관련 테이블은 변화가 없다고 알고 있는데요. [root]님의 방법처럼 한다고가정했을 경우, 2.XX버젼의 설치시 상기한 회원/로그인 관련 테이블만 설치를 하지 않고, 환경설정에만 gb2_가 아닌 gb_로 설정하면 되지 않을까요?
혹시 설치하시다가 config.php를 수정하지 않고 작업해서 기존 데이타를 날리는 일이 발생하지 않을까 해서 주의 하라고 말씀드린것입니다. 이부분만 주의 하시면 큰 문제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주의) 2.65가 gb2_로 되어 있다면 3.xx 패치시 고민할것은 없을것 같은데,
만약 2.65가 gb_로 되어 있는상태에서 3.xx를 gb3_ 로 사용하였을경우 패치할때마다 파일만 카피하는것이 아닌 패치 프로그램을 돌린다고 할때, config.php를 gb3_로 수정하지 않고 실행했을 경우 발생하는 사태는 작업자 본인이 책임을 져야 합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습니다. 3.xx 사용중 2.65를 같이 사용해보고펀 충동이라고 할까요.
>> *[root]님의 방법처럼, 설치전 install관련 파일 및 table생성 관련 부분만 신경쓰면 괜찮지 않을까요?
>> * 기본적으로 회원 및 로그인 관련 테이블은 변화가 없다고 알고 있는데요. [root]님의 방법처럼 한다고가정했을 경우, 2.XX버젼의 설치시 상기한 회원/로그인 관련 테이블만 설치를 하지 않고, 환경설정에만 gb2_가 아닌 gb_로 설정하면 되지 않을까요?
혹시 설치하시다가 config.php를 수정하지 않고 작업해서 기존 데이타를 날리는 일이 발생하지 않을까 해서 주의 하라고 말씀드린것입니다. 이부분만 주의 하시면 큰 문제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주의) 2.65가 gb2_로 되어 있다면 3.xx 패치시 고민할것은 없을것 같은데,
만약 2.65가 gb_로 되어 있는상태에서 3.xx를 gb3_ 로 사용하였을경우 패치할때마다 파일만 카피하는것이 아닌 패치 프로그램을 돌린다고 할때, config.php를 gb3_로 수정하지 않고 실행했을 경우 발생하는 사태는 작업자 본인이 책임을 져야 합니다.
마치 두개 이상의 os를 설치하고 있다는 착각(^^)이 들 정도네요.
감사합니다.
다시 한 번 짚어주셔서...
[의문점 하나]
*상위버전을 먼저 설치하고 하위버젼을 나중에 설치하는 이유가 뭔가요?
*[root]님의 방법처럼, 설치전 install관련 파일 및 table생성 관련 부분만 신경쓰면 괜찮지 않을까요?
* 기본적으로 회원 및 로그인 관련 테이블은 변화가 없다고 알고 있는데요. [root]님의 방법처럼 한다고
가정했을 경우, 2.XX버젼의 설치시 상기한 회원/로그인 관련 테이블만 설치를 하지 않고, 환경설정에만 gb2_가 아닌
gb_로 설정하면 되지 않을까요?
감사합니다.
다시 한 번 짚어주셔서...
[의문점 하나]
*상위버전을 먼저 설치하고 하위버젼을 나중에 설치하는 이유가 뭔가요?
*[root]님의 방법처럼, 설치전 install관련 파일 및 table생성 관련 부분만 신경쓰면 괜찮지 않을까요?
* 기본적으로 회원 및 로그인 관련 테이블은 변화가 없다고 알고 있는데요. [root]님의 방법처럼 한다고
가정했을 경우, 2.XX버젼의 설치시 상기한 회원/로그인 관련 테이블만 설치를 하지 않고, 환경설정에만 gb2_가 아닌
gb_로 설정하면 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