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도여백을 가질수 있는 태그들. 정보
HTML 별도여백을 가질수 있는 태그들.본문
HTML 코딩을 하다보면,
디자인된 레이아웃에 맞추기 위해서 이미지나, 텍스트 영역에 여백을 줘야할 경우가 있는데요.
이런 경우 이미지는 그냥 공백을 두고 자르면 되게지만 [물론 페이지 용량은 늘어나겠죠]
텍스트의 경우는 단지 그 여백을 주기위해서 기본셋트 태그가 방대한 TABLE 을 사용하게 됩니다.
하지만 단순히 여백을 주기 위한 목적이라면 TABLE 말고도 CSS 를 활용하여 마진을 줄수 있는 태그가 몇종류 있습니다.
첫번째로, DIV 태그가 있는데요.
DIV 태그는 레이어를 정의할때 자주 사용하죠. SPAN 과 함께요.
DIV 태그로 묶인 영역은 STYLE의 MARGIN 태그를 이용하여 여백을 줄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태그가 MARGIN 를 먹는데요.
DIV, IMG, BLOCKQUOTE, TABLE, INPUT, TEXTAREA 등이 자주 사용되면서 MARGIN 속성이 적용되는 태그입니다.
여백을 주기위해서 블랭크 이미지를 만들고 몇 픽셀씩 맞춰주던것을 MARGIN 속성을 이용하면 매우 간단하면서,
페이지의 용량을 줄일수 있게 되는거죠.
두번째로, BLOCKQUOTE 가 있습니다.
BLOCKQUOTE 태그는 블럭인용구로서 영역안에 별도의 속성을 부과할수 있는 태그입니다.
DIV 와 거의 비슷한 용도로 사용할수 있구요.
이 MARGIN 을 적용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태그 STYLE="MARGIN:위 오른쪽 아래 왼쪽;">출력될 컨텐츠</태그>
여백의 단이는 Pixel 을 사용하고 PX 로 표기합니다.
단위는 표기하지 않아도 허용됩니다.
그리고 여담입니다만, FONT 태그는 HTML 4.0부터 비권장 태그로서 호환용으로서만 현재 적용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그외에도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태그중에는 비권장 태그가 꽤 많은데요.
저도 잘 모르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FONT 태그를 예를 듭니다.
그리고 HTML 의 퍼포먼스를 높이기 위해서 어떤 쇼핑몰 같은 경우는 코딩을 대문자로 한다고 합니다.
저 같은 경우도 풍문에 그런 소릴듣고는 그후로 대문자로 코딩을 하기 시작했는데요.
프로그램을 붙일때도 알아보기 편하고 한눈에 들어오는 이점도 있는것 같습니다.
주석도 많이 달지 않고, 필요한 곳에만 다는것도 해석을 빠르게 하도록 하는 방법중에 하나라고 합니다.
그리고 소스를 알아보기 편하게 하기위해서 TAB 으로 여백을 주는것을 자제하는것도 좋구요.
하지만 주석이나, TAB 은 코드를 알아보기 좋게하는 이점도 있으니,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고
적절한 선에서 사용해 준다면 좋겠지요.
CSS로 여백을 주는것에 관한 글을 쓰려 했는데, 말이 막 헛나가고 있네요.
여하튼 위의 방법으로 쉽게 여백을 줄수 있으니,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디자인된 레이아웃에 맞추기 위해서 이미지나, 텍스트 영역에 여백을 줘야할 경우가 있는데요.
이런 경우 이미지는 그냥 공백을 두고 자르면 되게지만 [물론 페이지 용량은 늘어나겠죠]
텍스트의 경우는 단지 그 여백을 주기위해서 기본셋트 태그가 방대한 TABLE 을 사용하게 됩니다.
하지만 단순히 여백을 주기 위한 목적이라면 TABLE 말고도 CSS 를 활용하여 마진을 줄수 있는 태그가 몇종류 있습니다.
첫번째로, DIV 태그가 있는데요.
DIV 태그는 레이어를 정의할때 자주 사용하죠. SPAN 과 함께요.
DIV 태그로 묶인 영역은 STYLE의 MARGIN 태그를 이용하여 여백을 줄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태그가 MARGIN 를 먹는데요.
DIV, IMG, BLOCKQUOTE, TABLE, INPUT, TEXTAREA 등이 자주 사용되면서 MARGIN 속성이 적용되는 태그입니다.
여백을 주기위해서 블랭크 이미지를 만들고 몇 픽셀씩 맞춰주던것을 MARGIN 속성을 이용하면 매우 간단하면서,
페이지의 용량을 줄일수 있게 되는거죠.
두번째로, BLOCKQUOTE 가 있습니다.
BLOCKQUOTE 태그는 블럭인용구로서 영역안에 별도의 속성을 부과할수 있는 태그입니다.
DIV 와 거의 비슷한 용도로 사용할수 있구요.
이 MARGIN 을 적용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태그 STYLE="MARGIN:위 오른쪽 아래 왼쪽;">출력될 컨텐츠</태그>
여백의 단이는 Pixel 을 사용하고 PX 로 표기합니다.
단위는 표기하지 않아도 허용됩니다.
그리고 여담입니다만, FONT 태그는 HTML 4.0부터 비권장 태그로서 호환용으로서만 현재 적용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그외에도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태그중에는 비권장 태그가 꽤 많은데요.
저도 잘 모르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FONT 태그를 예를 듭니다.
그리고 HTML 의 퍼포먼스를 높이기 위해서 어떤 쇼핑몰 같은 경우는 코딩을 대문자로 한다고 합니다.
저 같은 경우도 풍문에 그런 소릴듣고는 그후로 대문자로 코딩을 하기 시작했는데요.
프로그램을 붙일때도 알아보기 편하고 한눈에 들어오는 이점도 있는것 같습니다.
주석도 많이 달지 않고, 필요한 곳에만 다는것도 해석을 빠르게 하도록 하는 방법중에 하나라고 합니다.
그리고 소스를 알아보기 편하게 하기위해서 TAB 으로 여백을 주는것을 자제하는것도 좋구요.
하지만 주석이나, TAB 은 코드를 알아보기 좋게하는 이점도 있으니,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고
적절한 선에서 사용해 준다면 좋겠지요.
CSS로 여백을 주는것에 관한 글을 쓰려 했는데, 말이 막 헛나가고 있네요.
여하튼 위의 방법으로 쉽게 여백을 줄수 있으니,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추천
0
0
댓글 전체
게시판 테이블에 마진줄려면 어디에다 넣어야하나여 ?
코딩을 대문자로 한다는것은...
html 작성이 html 태그들 이름을 보통 소문자를 많이들 사용하시는데.. 이것을 모두 대문자로 한다는 얘기 같습니다.
전 개인적으로 소문자가 빨리 눈에 들어와서 대문자가 보이면 소문자로 바꿔서 사용하는 편입니다.
소문자를 대문자로 바꾼다고 얼마나 빨라질지 모르겠군요.
차라리 필요없는 태그나 문제들을 제거해서 html의 사이즈를 줄이는 것이 빠르지 않을까 합니다.
html 작성이 html 태그들 이름을 보통 소문자를 많이들 사용하시는데.. 이것을 모두 대문자로 한다는 얘기 같습니다.
전 개인적으로 소문자가 빨리 눈에 들어와서 대문자가 보이면 소문자로 바꿔서 사용하는 편입니다.
소문자를 대문자로 바꾼다고 얼마나 빨라질지 모르겠군요.
차라리 필요없는 태그나 문제들을 제거해서 html의 사이즈를 줄이는 것이 빠르지 않을까 합니다.
위의 말씀중에...
......................
그리고 HTML 의 퍼포먼스를 높이기 위해서 어떤 쇼핑몰 같은 경우는 코딩을 대문자로 한다고 합니다.
...................... 이 부분... '코딩을 대문자'로 한다는 말씀은 구체적으로 어떤식으로 짠다는 말씀이신지요???
함수명을 대문자로 작성한다는 말씀이신가요?? 아니면...???......예를 좀 덜어 설명해주실수 있는지요?
한번 응용해보고 싶은데..
......................
그리고 HTML 의 퍼포먼스를 높이기 위해서 어떤 쇼핑몰 같은 경우는 코딩을 대문자로 한다고 합니다.
...................... 이 부분... '코딩을 대문자'로 한다는 말씀은 구체적으로 어떤식으로 짠다는 말씀이신지요???
함수명을 대문자로 작성한다는 말씀이신가요?? 아니면...???......예를 좀 덜어 설명해주실수 있는지요?
한번 응용해보고 싶은데..
멋진 자료 감사합니다.
html,css,.... 에 관해서 좋은 정보들을 가지고 계시는것 같은데.. 혹시 "연재게시물" 코너에 연재 하실 여력은 없으신지요.
이런 정보들은 코너를 마련하여 다같이 정보를 공유할수있다면 참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한번 여쭤봅니다.
html,css,.... 에 관해서 좋은 정보들을 가지고 계시는것 같은데.. 혹시 "연재게시물" 코너에 연재 하실 여력은 없으신지요.
이런 정보들은 코너를 마련하여 다같이 정보를 공유할수있다면 참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한번 여쭤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