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apm설치하고 그누보드 설치하는 한글이 깨지는 이유가 뭔지요? > 그누4 질문답변

그누4 질문답변

그누보드4 관련 질문은 QA 로 이전됩니다. QA 그누보드4 바로가기
기존 게시물은 열람만 가능합니다.

리눅스 apm설치하고 그누보드 설치하는 한글이 깨지는 이유가 뭔지요? 정보

리눅스 apm설치하고 그누보드 설치하는 한글이 깨지는 이유가 뭔지요?

본문

11.jpg
 
Apache/2.0.55 (Ubuntu) PHP/5.1.2  Mysql 5.0.22
 
저는 그동안 그누보드를 잘 사용해 왔습니다.
사용해온 내역을 말하자면,
윈도우즈에서도 apm 설치한후 그누보드 사용에 아무 문제 없었고요
리눅스 호스팅을 받아 ftp를 이용하여 그누보드 사용도 잘 했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직접적인 서버컴퓨터에 리눅스가 설치되어있고. 거기에 apm을 각각이 설치한 후 
그누보드를 설치하려고 하니 위 그림과 같이 한글이 깨지고 설치가 되지 않는군요~
제 생각엔 그누보드가 이상한거 같진 않고, apm설치후 환경설정에 문제가 있는것 같습니다.
그냥 테스트페이지에 한글을 넣어 실행해 보면 한글이 보이더군요~
무엇이 잘 못된건지 넘 궁금합니다.
 
apm설치후 따로 환경설정을 필히 해주어야 할 항목들에 대해서도 알고 싶구요~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 복사

댓글 전체

httpd.conf 파일 수정

버전에 맞는 내용인지 모르겠네요.
우분투는 대탑용으로만 써봐서... -.-;;

아래 내용은 페도라 3 에서의 경우 입니다.

참고만 하시고 내용을 보시면서 궁금한점을 서치로 찾으시면 더 쉽게 정보를 얻으실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 올립니다.

아마도 아파치 2 이상에서는 언어 설정은 하지 않으셔도 문서상에서 지정된 언어로 나가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다시 말씀 드리지만 참고용으로 더 쉽게 정확한 정보를 얻는데.. 즉.. 서치 하는데 활용하세요.



httpd.conf 파일을 수정합니다.

[root@localhost ~]# vi /etc/httpd/conf/httpd.conf

133 Listen 80
http 의 포트 설정 입니다. (기본 80)

227 User apache - User nobody
228 Group apache - Group nobody

339 UserDir disable - #UserDir disable
(주석 처리 (#) 합니다. 즉, 사용자 홈 디렉토리 사용불가 옵션을 끄는것과 마찬가지 입니다.)

346 #UserDir public_html - UserDir public_html (또는 UserDir 원하는 디렉토리명)
(주석(#)을 제거 합니다. (사용자 웹디렉토리를 활성화 합니다.) 그리고 원하는 웹디렉토리를 바꿀수도 있습니다. (public_html 을 www 로)
이것은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서 웹문서를 저장하는 디렉토리를 설정하는 것으로 사용자 디렉토리의 위치는 /home/유저아이디/public_html/ 이 됩니다. (위의 예: 처럼 www 로 설정하면 /home/유저아이디/www 가 됩니다.)

이렇게 설정 할 경우 웹상에서 접근 하면 주소가 http://해당아이피/~유저아이디/ 가 되고 www 는 보이지 않습니다.
즉, 유저 아이디가 shin21th 이고 웹디렉토리가 www 일 경우 리눅스 상의 주소는 /home/shin21th/www/ 입니다만 웹상에서는 http://도매인/~shin21th 가 됩니다. www 는 보이지 않는다는 것 다시 강조 합니다. ^^;;)


354 <Directory /home/*/public_html> (위의 UserDir 을 public_html 에서 www 로 바꾸었을 경우 여기도 www 로 수정)
355 AllowOverride FileInfo AuthConfig Limit
356 Options MultiViews Indexes SymLinksIfOwnerMatch IncludesNoExec
357 <Limit GET POST OPTIONS>
358 Order allow,deny
359 Allow from all
360 </Limit>
361 <LimitExcept GET POST OPTIONS>
362 Order deny,allow
363 Deny from all
364 </LimitExcept>
365 </Directory>

위 내용의 모든 주석처리를 (#) 을 삭제 합니다. 위의 것은 사용자 웹 디렉토리의 접근 설정입니다.
이것을 풀어주지 않으면 6장의 .htaccess 의 사용이 불가능 합니다.

375 DirectoryIndex index.html index.html.var
웹에서 사이트 접속시 자동으로 읽는 파일을 등록 하는곳 입니다. 이곳에 필요에 따라 index.htm, index.php 등을 등록 하시면 됩니다.

730 AddDefaultCharset UTF-8 - AddDefaultCharset EUC-KR 로 수정합니다.
웹상의 기본 언어를 한국어로 설정하는것 입니다.
php.ini 파일을 수정합니다.

[root@localhost ~]# vi /etc/php.ini

828 session.bug_compat_42 = 0 - session.bug_compat_42 = 1
0을 1로 수정합니다. 이것은 그누보드 사용시 로그인 문제를 해결합니다.

만약 php 업로드의 용량을 키우시려면 인터넷 상에서 자료를 찾아 보시길 바랍니다.
이부분은 확실하게 설명 드릴 능력이.. ^^;;

일단 저의 경우 50M 로 업로드 용량을 키우기 위해 아래와 같이 수정하였습니다.
이후 문제가 있으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244 max_execution_time = 300 ; Maximum execution time of each script, in seconds
246 memory_limit = 55M ; Maximum amount of memory a script may consume (8MB)
388 post_max_size = 52M
498 upload_tmp_dir = /tmp (맨 앞의 ; 를 삭제하셔야 합니다.)
501 upload_max_filesize = 50M

더불어

Safe Mode
Safe Mode GID
Register Globals

이부분들을 서치해서 해당 내용을 보시고 본인에게 맞추서 설정 하시면 될듯 합니다.
Mysql 은 사용자의 설정에 맞추어 생성된 DB 의 언어를 바꾸어 주셔야 합니다.

예로 그누보드 한국어 버전을 쓰시려면 사용하시려는 DB 의 기본언어셋을 EUC-KR 로 설정하시고  UTF-8 버전으로 쓰시려면 utf8_general_ci 로 설정하세요.

설정 방법은 phpmyadmin 을 깔고 해당 DB 로 들어가신 후 테이블 작업 (상단메뉴) 의 Collation 선택에서 선택 하시고 "실행" 하시면 됩니다.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