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로 간단하게 이미지 정렬과 본문을 출력할 경우에 유용 정보
CSS로 간단하게 이미지 정렬과 본문을 출력할 경우에 유용본문
참고 자료로 올린 스샷은 TD 태그가 하나만 들어가 정렬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줍니다.
보통 스킨을 만들 경우에 그림과 같이 보이려면 TD 태그가 두개 들어가고 반드시 COLSPAN 태그도 들어가야 합니다.
아래의 소스에서 약간만 더 수정을 하면 TR, TD 태그도 제거할 수가 있다는 점 미리 알려드립니다.
.img_news {
float:left; /* 왼쪽정렬, 오른쪽 정렬일 경우 right */
margin:0 10px 0 0; /* 그림과 본문에서 오른쪽으로 10픽셀만 띄워라 */
background-color:#f8f8f8;
padding:3px; /* 그림에서 외곽선까지 3픽셀을 띄워라 */
border:1px solid #e1e1e1; /* 외곽선의 두께와 색깔을 지정 */
line-height:150%; /* 본문의 아래위 폭을 지정 */
}
아래 소스는 단순하게 표현한 소스이므로 적용방법만 참고하세요.
<tr>
<td>
<div class="img_news"><a href="<?=$list[$i][href]?>"><img src="<?=$thumb?>"/></a></div>
<?=$list[$i][subject]?><br/><br/>
<?=cut_str($list[$i][wr_content],200,"…");?>
</td>
</tr>
<div class="img_news"><a href="<?=$list[$i][href]?>"><img src="<?=$thumb?>"/></a></div>
위 형태로 출력을 하면 그림처럼 CSS에서 정의한 전체 소스가 적용되어 보여집니다.
그러나
<a href="<?=$list[$i][href]?>"><img src="<?=$thumb?>" class="img_news"/></a>
이처럼 사용하면 출력의 형태가 약간 달라지며 CSS에서 정의한 소스가 일부 필요가 없어집니다.
직접 적용해서 사용해 보시고 차이점을 비교해 보십시오.
보통 스킨을 만들 경우에 그림과 같이 보이려면 TD 태그가 두개 들어가고 반드시 COLSPAN 태그도 들어가야 합니다.
아래의 소스에서 약간만 더 수정을 하면 TR, TD 태그도 제거할 수가 있다는 점 미리 알려드립니다.
.img_news {
float:left; /* 왼쪽정렬, 오른쪽 정렬일 경우 right */
margin:0 10px 0 0; /* 그림과 본문에서 오른쪽으로 10픽셀만 띄워라 */
background-color:#f8f8f8;
padding:3px; /* 그림에서 외곽선까지 3픽셀을 띄워라 */
border:1px solid #e1e1e1; /* 외곽선의 두께와 색깔을 지정 */
line-height:150%; /* 본문의 아래위 폭을 지정 */
}
아래 소스는 단순하게 표현한 소스이므로 적용방법만 참고하세요.
<tr>
<td>
<div class="img_news"><a href="<?=$list[$i][href]?>"><img src="<?=$thumb?>"/></a></div>
<?=$list[$i][subject]?><br/><br/>
<?=cut_str($list[$i][wr_content],200,"…");?>
</td>
</tr>
<div class="img_news"><a href="<?=$list[$i][href]?>"><img src="<?=$thumb?>"/></a></div>
위 형태로 출력을 하면 그림처럼 CSS에서 정의한 전체 소스가 적용되어 보여집니다.
그러나
<a href="<?=$list[$i][href]?>"><img src="<?=$thumb?>" class="img_news"/></a>
이처럼 사용하면 출력의 형태가 약간 달라지며 CSS에서 정의한 소스가 일부 필요가 없어집니다.
직접 적용해서 사용해 보시고 차이점을 비교해 보십시오.
추천
0
0
댓글 5개

외국 사이트들 보면 의외로 CSS만 이용해 홈페이지 만드는 곳이 많더군요.
그만큼 다운 받을 이미지 파일이 적어지니까 확실히 화면 뜨는 속도가 몸으로 느껴지더군요.
요즘 CSS를 가급적 최대한 활용하려고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CSS 자체가 가진 매력을 좀더 일찍 알지 못한것이 내내 후회스럽습니다.
CSS 자체가 가진 매력을 좀더 일찍 알지 못한것이 내내 후회스럽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