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중히 질문 드려 봅니다. 정보
Flash 정중히 질문 드려 봅니다.본문
//////////////////////////////////////////////////////////////////////////////////////////////////////////////////////
//////////////////////////////////////////////////////////////////////////////////////////////////////////////////////
Stage.showmenu = false;
//우클릭시 나오는 메뉴 안보이게합니다
Stage.scaleMode = "noScale";
//플래시는 사이즈 변경 못하게, 스테이지만 커지게 합니다
_global.stay = pageNum;
/* 전역 변수(이하설명 생략 "_global = 전역 변수 :전역변수는 모든함수내에서 쓸수있는 변수") stay 를 선언 ,
초기값 PageNum 이라는 변수를 대입 합니다 . "페이지인식 코드"
(pageNum은 htm파일안의 플래시삽입소스부분에서 컨트롤 됩니다.
html 파일소스 중 플래시 영역 소스내용 중에서 아래처럼 보이는 부분에 (?pageNum=해당페이지번호)를 추가시킴
<param name="movie" value="해당메뉴이름.swf?pageNum=해당페이지번호"> ) */
_global.vari = stay;
// 전역 변수 vari 를 선언, 초기값 stay라는 변수를 대입 합니다
numMenu = 8;
// 메뉴의 개수(numMenu 라는 변수에 6이라는 숫자를 대입 시킵니다)
//////////////////////////////////////////////////////////////////////////////////////////////////////////////////////
//////////////////////////////////////////////////////////////////////////////////////////////////////////////////////
for (i=1; i<=numMenu; i++) {
// 반복문이 시작 됩니다 numMenu 만큼 즉 numMenu보다 작거나 같을동안 반복됩니다
this["menu"+i].btn_area.onRollOver = function() {
//해당 btn_area무비클립(각각 인스턴스 숫자를 부여)에 onRollvari 액션을 취했을때
_global.vari = this._parent._name;
// (_global) 전역 변수 vari 의 값을 현재 롤오버한 클립의 인스턴스 이름을 대입 합니다
};
this["menu"+i].btn_area.onRollOut = this["menu"+i].btn_area.onRollOut=function () {
// 여러 btn_area무비클립중에 사용자가 onRollOut한 btn_area무비클립이 롤아웃 했을때
_global.vari = stay;
// (_global) 전역 변수 vari 값은 다시 stay의 값이 됩니다
};
this["menu"+i].btn_area.onRelease = function() {
// 여러 btn_area무비클립중에 사용자가 클릭(onRelease)한 btn_area무비클립이 클릭(onRelease) 했을때
getURL(MENU_URL[this._parent._name], "_self");
// 링크를 걸어 줍니다
// 메인버튼 링크
};
//매프레임마다 변수 vari가 현제 진행하는 무비클립과 같으면 다음프레임으로 가고..아니면 이전프레임으로 실행하라는 이벤트 핸들러 입니다
this["menu"+i].onEnterFrame = function() {
if (vari == this._name) {
this.direction = "next";
this.nextFrame();
} else {
this.prevFrame();
}
};
}
//////////////////////////////////////////////////////////////////////////////////////////////////////////////////////
//////////////////////////////////////////////////////////////////////////////////////////////////////////////////////
position.onEnterFrame = function() {
// 메뉴상단의 막대바 이벤트 핸들러 입니다
if (vari) {
this._y += (5-this._y)/4;
// 0은 position의 세로위치값, 6은 position의 속도 -숫자를 높이면 느려짐
this._xscale += (this._parent[vari].btn_area._width-this._xscale)/4;
// position의 가로크기를 활성화된 메뉴의 크기와 동일하게 설정, 6은 position의 속도
this._x += (this._parent[vari]._x-this._x)/4;
// position의 가로위치를 활성화된 메뉴의 위치와 동일하게 설정, 6은 position의 속도
// this._alpha += (100-this._alpha)/1;
// position의 시작 투명도 설정, 10은 position의 속도
} else {
this._x += (-100-this._x)/8;
// -100은 position이 사라지는 가로위치값, 4는 position의 속도
// this._alpha += (0-this._alpha)/5;
// position의 시작 투명도 설정, 5은 position의 속도
}
};
//////////////////////////////////////////////////////////////////////////////////////////////////////////////////////
//////////////////////////////////////////////////////////////////////////////////////////////////////////////////////
//1depth 메뉴의 링크될 주소를 적는 부분 시작입니다.
MENU_URL = new Array();
// MENU_URL 라는 배열 을 생성 합니다 ( 버튼의 배열값(링크주소)을 각각 적어주면 됩니다)
MENU_URL[1] = "";
MENU_URL[2] = "";
MENU_URL[3] = "";
MENU_URL[4] = "";
MENU_URL[5] = "";
MENU_URL[6] = "";
MENU_URL[7] = "";
// 여기 까지 각 배열에 값을 넣어 줍니다 (링크주소가 되겠지요)
//////////////////////////////////////////////////////////////////////////////////////////////////////////////////////
Stage.showmenu = false;
//우클릭시 나오는 메뉴 안보이게합니다
Stage.scaleMode = "noScale";
//플래시는 사이즈 변경 못하게, 스테이지만 커지게 합니다
_global.stay = pageNum;
/* 전역 변수(이하설명 생략 "_global = 전역 변수 :전역변수는 모든함수내에서 쓸수있는 변수") stay 를 선언 ,
초기값 PageNum 이라는 변수를 대입 합니다 . "페이지인식 코드"
(pageNum은 htm파일안의 플래시삽입소스부분에서 컨트롤 됩니다.
html 파일소스 중 플래시 영역 소스내용 중에서 아래처럼 보이는 부분에 (?pageNum=해당페이지번호)를 추가시킴
<param name="movie" value="해당메뉴이름.swf?pageNum=해당페이지번호"> ) */
_global.vari = stay;
// 전역 변수 vari 를 선언, 초기값 stay라는 변수를 대입 합니다
numMenu = 8;
// 메뉴의 개수(numMenu 라는 변수에 6이라는 숫자를 대입 시킵니다)
//////////////////////////////////////////////////////////////////////////////////////////////////////////////////////
//////////////////////////////////////////////////////////////////////////////////////////////////////////////////////
for (i=1; i<=numMenu; i++) {
// 반복문이 시작 됩니다 numMenu 만큼 즉 numMenu보다 작거나 같을동안 반복됩니다
this["menu"+i].btn_area.onRollOver = function() {
//해당 btn_area무비클립(각각 인스턴스 숫자를 부여)에 onRollvari 액션을 취했을때
_global.vari = this._parent._name;
// (_global) 전역 변수 vari 의 값을 현재 롤오버한 클립의 인스턴스 이름을 대입 합니다
};
this["menu"+i].btn_area.onRollOut = this["menu"+i].btn_area.onRollOut=function () {
// 여러 btn_area무비클립중에 사용자가 onRollOut한 btn_area무비클립이 롤아웃 했을때
_global.vari = stay;
// (_global) 전역 변수 vari 값은 다시 stay의 값이 됩니다
};
this["menu"+i].btn_area.onRelease = function() {
// 여러 btn_area무비클립중에 사용자가 클릭(onRelease)한 btn_area무비클립이 클릭(onRelease) 했을때
getURL(MENU_URL[this._parent._name], "_self");
// 링크를 걸어 줍니다
// 메인버튼 링크
};
//매프레임마다 변수 vari가 현제 진행하는 무비클립과 같으면 다음프레임으로 가고..아니면 이전프레임으로 실행하라는 이벤트 핸들러 입니다
this["menu"+i].onEnterFrame = function() {
if (vari == this._name) {
this.direction = "next";
this.nextFrame();
} else {
this.prevFrame();
}
};
}
//////////////////////////////////////////////////////////////////////////////////////////////////////////////////////
//////////////////////////////////////////////////////////////////////////////////////////////////////////////////////
position.onEnterFrame = function() {
// 메뉴상단의 막대바 이벤트 핸들러 입니다
if (vari) {
this._y += (5-this._y)/4;
// 0은 position의 세로위치값, 6은 position의 속도 -숫자를 높이면 느려짐
this._xscale += (this._parent[vari].btn_area._width-this._xscale)/4;
// position의 가로크기를 활성화된 메뉴의 크기와 동일하게 설정, 6은 position의 속도
this._x += (this._parent[vari]._x-this._x)/4;
// position의 가로위치를 활성화된 메뉴의 위치와 동일하게 설정, 6은 position의 속도
// this._alpha += (100-this._alpha)/1;
// position의 시작 투명도 설정, 10은 position의 속도
} else {
this._x += (-100-this._x)/8;
// -100은 position이 사라지는 가로위치값, 4는 position의 속도
// this._alpha += (0-this._alpha)/5;
// position의 시작 투명도 설정, 5은 position의 속도
}
};
//////////////////////////////////////////////////////////////////////////////////////////////////////////////////////
//////////////////////////////////////////////////////////////////////////////////////////////////////////////////////
//1depth 메뉴의 링크될 주소를 적는 부분 시작입니다.
MENU_URL = new Array();
// MENU_URL 라는 배열 을 생성 합니다 ( 버튼의 배열값(링크주소)을 각각 적어주면 됩니다)
MENU_URL[1] = "";
MENU_URL[2] = "";
MENU_URL[3] = "";
MENU_URL[4] = "";
MENU_URL[5] = "";
MENU_URL[6] = "";
MENU_URL[7] = "";
// 여기 까지 각 배열에 값을 넣어 줍니다 (링크주소가 되겠지요)
이런 소스가 있는데요...
원래는 인스턴스 이름이 그냥 숫자만 있었는데..
메뉴 추가를 위해서 "menu" 를 추가 했습니다. 그래서 FOR문에 "menu"+I 로 하였고요..
그리그 실행하니.. 다른건 다 정상적으로 나오는데 네비막대가 움직이지 않습니다.....
도움좀 부탁드려 봅니다....
정말 어제 하루종일 여기저기 만져 보아도 안되네요... 야웅닷컴에서받은 플래쉬에 메뉴 추가 할려다보니
인스턴스에 영문을 넣어야 한다고해서..
정말 어제 하루종일 여기저기 만져 보아도 안되네요... 야웅닷컴에서받은 플래쉬에 메뉴 추가 할려다보니
인스턴스에 영문을 넣어야 한다고해서..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6:50:06 Flash에서 이동 됨]
추천
0
0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