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setInterval함수에서 딜레이 시간이 3000과 1000*3의 차이가 뭔가요??

[javascript] setInterval함수에서 딜레이 시간이 3000과 1000*3의 차이가 뭔가요??

QA

[javascript] setInterval함수에서 딜레이 시간이 3000과 1000*3의 차이가 뭔가요??

답변 2

본문

일을 하다가 코드에 setInterval(function(){ .... },1000*3); 이렇게 되있더라구요.

그래서 왜 3000으로 안쓰지 싶어서 구글에 찾아봤더니 딱히 저렇게 쓰는 예제를 못찾겠었습니다.

 

그리고 크롬 콘솔로 찍어보니

3000은 3초에 한번 돌아가고

1000*3은 3초에 두번 돌아가더라구요.

 

그냥 1000*3으로 쓰면 3초에 두번 돌아가는 이유가 뭘까요?

혹시 아시는분 계시면 답변 부탁드려요 ㅠㅠ 궁금해 죽겠네요 ㅠ

이 질문에 댓글 쓰기 :

답변 2

서로 같습니다. 두번 돌아가는 것은 잘 못 본 게 아닌가 싶습니다.

 

3000 을 쓰지 않고,

1000 * 3 으로 쓰는 것은,

3초라는 의미의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려는 이유 때문일 거에요.

 

가령, 하루를 초로 변환하면 86400 인데,

이를 60 * 60 * 24 로 쓰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두번 돌아간게 아니라 아마 새로고침 하는 과정에서 clearInteval 이 안되서 이전 코드가 동작한것으로 보입니다.

화성회사 말씀처럼 가독성을 위한것 말곤 다르면 안되지요 ^^

혹시 또 사이드 이펙트가 있나 해서 찾아봤지만 전혀 그런거 없던데요 ㅋ

답변을 작성하시기 전에 로그인 해주세요.
QA 내용 검색
질문등록
전체 6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