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누보드 관련하여 하나만 질문하겠습니다
본문
여기 계신 분 들이나 그누보드를 만들어서 무료로 배포해주신 분께는 어떻게 보면 죄송한 질문입니다만...
그누보드 소스를 보면 table안에 table을 넣는 식으로 레이아웃이 잡혀있는 걸 볼 수 있는데
그렇게 하신 이유라도 있는 건가요 ?
table안에 table로 레이아웃잡을 시 깨지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한분 한분 의견 얘기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6
저는다른 솔루션을 몇개 봐온 결과 그누보드 처럼 체계적으로 잘 관리 해 둔 소스 보기 힘들었던거 같은데..
저는 그누보드가 가장 쉬웠어요~ 라는 생각이 들긴 하네요.
뭐 처음 접한게 뭐냐에 따라서 다르기는 하죠.
처음 나온때 그때는 그렇게 코딩했습니다.
웹 표준화를 굳이 신경안쓰고 만든 경우?
아니면 높은 익스버전 나오기 이전의 스킨
아니면 레이아웃 잡기 편해서
아니면 그냥 편한 소스로..
뭐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죠..?
제가 알기로는 최근 3~4년간에 웹표준화에 대해 더 관심이 높아 진걸로 알고는 있네요.
(정확한 정보는 아니고 제 체감입니다.)
웹표준 코딩이라고 해서 딱 정답은 없다고 보네요.
table태그 보다는 ul태그를 사용을 해야된다는 말이 있지만,
하지만 table태그도 정확한 사용법으로 사용하면 웹표준화에 맞는 코딩을 할 수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더 어려우시다고 하셨는데, table로 이력서 폼 만들라 하면 정말 뚝딱 만들수 있습니다. 몇줄 몇개 라고 생각을 해야되지만, 만약 div 태그로 이력서 폼을 만들라하면 차곡 차곡 왼쪽 정렬로 쌓아야 하므로 저는 더 어렵게 느껴지네요.
제 생각에는 table은 한번에 표를 뚝딱 만들어지는거고, div태그로 만든 레이아웃은 차곡차곡 싼다는 느낌이 드네요.
마지막으로 대세인 웹표준을 맞추는게 좋다고 하셨는데,
웹표준화란 말 그대로 웹개발에 있어 표준을 준수한다는 의미이다.
이는 올바른 HTML, CSS,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함을 말하며 웹표준을 논의 할때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사항들에 중점을 둔다. |
|
naver 블로그에서 펌했습니다.
이라고 말하는데, 직접 저 3가지를 다 웹표준화를 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요..?
그리고 홈페이지를 만들 때 웹표준화를 생각한 홈페이지랑 생각 안한 홈페이지랑 제작시간이 많게는 2배~5배 까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그러한 스킨들이 많은거 같네요.....
아마도 그러할것입니다.. 저도 스킨 만들면서 제이쿼리 공개 소스를 가져다 쓰지만, 그 많은 소스를 다 하나하나 언제 수정을 할까요..
제생각입니다..
제가 보기에 아무래도
그누보드가 디자인보다는 프로그래밍이 우선적인 느낌인것 같습니다.
그대로 사용하는 사례는 거의 본적이 없고,
그누보드를 안다면 table이든 div 든, 입맛에 맞게 고객에 맞게
바꿔서 다들 사용하는걸루 알고 있습니다.
저는 지금 한번 쭉 읽고도 뭔말인가 .......
답변을 작성하시기 전에 로그인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