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누보드.tar.gz 퍼미션
본문
로컬컴이 윈도우이고요...로컬에서 테스트 한 후... 웹서버(리눅스)에 올리는데
그누보드.tar.gz 을 로컬(윈도우)에 다운받아서 알집으로 풀거든요
질문)
로컬(윈도우)에서 알집으로 풀린 그누보드.tar.gz 은... 원래 제작하신분의 퍼미션이 그대로 유지된 상태입니까?
윈도우에는 퍼미션이라는 개념이 없지 않습니까?
궁금한게...로컬에서 풀린 파일이... 원래 제작하신분의 퍼미션이 유지되어야...
그파일들을 웹서버에 올릴텐데요... 갑자기 궁금합니다.
답변 2
tar에는 퍼미션을 포함하여 압축하는 기법이 있습니다. 다만 윈도우 시스템상에서 tar을 압축해제하여 ftp로 유닉스 시스템에 업로드하는 경우 퍼미션 정보는 완전히 상실되게 됩니다. 리눅스에서 퍼미션정보를 포함한채로 압축하거나 압축해제할 때는 p 인자를 포함해 주시면 됩니다.
ex)tar zxvpf ..... 로 압축해제
tar zcvpf .... 로 압축
FTP로 tar.gz를 업로드하시고 SSH상에서 작업하시면 됩니다.
또는, 그누보드는 새 'data' 디렉터리를 만들어서 707 권한을 부여하면 완전히 정상 작동하게 됩니다.
bash# mkdir data
bash# chmod 707 data
약간 덧붙인다면...
윈도우즈는 리눅스 파일시스템같은 파일퍼미션 내용이 없습니다. (없는건아니고 윈도우즈방식은 유닉스와는 다른방식입니다.)
따라서 서버에서 가져온 파일을 로컬에 풀면 퍼미션 정보는 당연히 다 날아갑니다.
그 파일들을 윈도우즈에서 tar.gz 아무리 압축해봐야 소용없습니다.
파일자체가 퍼미션내용이 없으니까요..
퍼미션을 유지하는 가장좋은 방법은 개발장비도 리눅스로 하시는 방법이 가장 간단합니다.(저같은 경우에 이렇게 씁니다. 우분투 좋아용 ㅋ)
아니면 개발작업자체를 서버에서 하시는 게 낫습니다. 별로 테스트 웹계정을 만들던지해서요.
윈도우즈에서 하시려면 퍼미션정보를 모두 숙지하고 일일히 업로드해서 퍼미션 바꿔줘야 합니다.
일반 그누보드같은 경우 data 폴더만 바꾸면 되지만 곳곳에 퍼미션이 다른부분이 있다면 꽤 난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