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의뢰시 기획서의 범위(?)
본문
월초에 그누 기반 커뮤니티 사이트 제작을 위해 질문을 했었는데, 직접 제작 보다는 전문가에게 의뢰를 맡기고 사이트 운영 및 홍보에 집중해야겠다고 결심했습니다
그후 나름 기획이 되었다고 생각해서 의뢰글을 작성하였는데, 제가 한 것은 기획이 아니라 머릿속으로 한 구상(?) 수준이었다는것을 깨달았습니다.. 웹사이트 기획을 해 본적이 없으니 아무것도 몰랐네요
여기저기 찾아보니 기획이 구체적으로 되어있을수록 개발자와 의뢰인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작업물이 나올 확률이 높다는것을 알게되어, 디자인 툴도 이용하고 세세한 기능 하나하나 신경써가며 상세 설명도 붙혀놓고 하다보니 이제서야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게 되었네요
질문)
사이트 이용자가 대부분 모바일을 사용할 것이기에 모바일을 기준으로한 디자인을 만들어 기획서를 작성하였습니다.
반응형으로 사이트를 제작할것인데 PC화면 디자인도 기획서로 작성하여야 할까요? 아니면 디자이너 분이 제 디자인을 참고하여 pc화면을 충분히 구성해 주실까요?
PC 환경에서만 보이는 부분을 텍스트로 설명은 해 놓을것인데, 그냥 디자인도 만들어야할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ㅋㅋ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답변 6
추상적일수록 비용을 높게 책정합니다.
상담하느라 시간 다 보낼 게 확실해서...
가장 확실한 건 제3자가 보더라도 작업량이 확실하게 준비하는 겁니다.
그래야, 뭐가 잘못되었을 때, 따질 수 있습니다.
기획이라는걸 단순하게 할순 없겠지요.
얼마전 디자인 의뢰가 필요해서 작성했었는데요. 10이면 10. 모두 디테일한 정의서를 원했습니다.
저희야 이미 제작이 완료된 부분에서의 디자인 부분 의뢰였기에 그나마? 적은 분량이지만 플로우차트까지 다 보내줘야 했습니다. 그래야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알테니깐요.
아무리 애자일이 유행?이고 효율이 좋다고하지만 기획단계까지 애자일일순 없겠지요.
스토리보드에 제품 요구 사항 정의서와 플로우차트까지... 디테일할수록 좋습니다.
하지만 또 이런경우가 있습니다. 디자인이라면 어느정도 디자이너의 센스도 녹아내는 부분이 발생하는데
기획이 디테일해지면 디자이너도 그냥 그리는 사람으로 전락해버리게 되지요.
어느정도!까지의 디테일함. 이게 참 어려운거 같습니다.
기획자라면 프로젝트시에 상시로 물어봐야합니다. 어느정도 진행이 되었는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등...
내가 기획한대로 프로그래머나 디자이너가 그대로 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짬밥이 차있다면..더더욱...
나는 a 에서 b 를가서 최종적으로 c를 가도록 기획했는데 프로그래머나 디자이너가 마음대로 b를 버리고 a에서 c로 바로 도출되게 한다던가... 기획의 의도를 벗어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기획서도 중요하지만, 진행단계에서도 지속적인 피드백을 요구하는것이 좋더라구요.
PC와 모바일은 UI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PC용으로 기획을 다시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사실상 알아서 잘해주세요라는게 가장 어렵습니다.
말씀해주신것처럼 세세하게 설명이 있는게 상호간에 좋습니다.
디자인적인 요소는 텍스트만으로 예상하는 결과 및 의도를 전달하기엔 부족합니다.
세세하고 정확한 명세서 일수록 작업자나 의뢰자나 서로간의 혼선 및 시간비용을 줄일수 있습니다.
애매모호한 정의는 양쪽 모두를 힘들게 합니다.
질문이 안 나오면 가장 좋죠,
오해가 없다는 조건에서...
간단한 와이어프레임 + 디자인 골격을 준비해주셔야 단가가 떨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