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동시접속 가능한 사이트를 만들고 싶습니다.

매출이 오르면 내리는 수수료! 지금 수수료센터에서 전자결제(PG)수수료 비교견적 신청해 보세요!
대규모 동시접속 가능한 사이트를 만들고 싶습니다.

QA

대규모 동시접속 가능한 사이트를 만들고 싶습니다.

본문

그누보드 기반으로 대규모 동시접속 가능한 사이트를 만들고 싶습니다. 

 

이용중인 호스팅 업체는 vultr나 linode인데, 

 

지금 규모는 일반적인 가상 서버 호스팅 하나로도 충분히 운영이 가능한 규모이지만, 

 

몇명이 동시에 접속하든 접속 수용이 가능한 구조로 다시 설계를 하고 싶은데, 

 

어떤 것을 공부하고 어떤 식으로 적용을 시켜야 할까요? 

(추상적으로 답변해주셔도 됩니당!)

 

로드밸런싱으로 해결이 가능하다고 들은거 같은데,
그냥 서버 호스팅 한개에 로드밸런싱 서비스를 물려도 될까요?
메인 서버는 한개뿐이라 디비 로딩에 프리징 현상이 걸릴거 같은데 ㅜㅜ 

이 질문에 댓글 쓰기 :

답변 5

그누보드도 대용량 접속에 대응 가능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이토랜드 커뮤니티가 그누보드 기반이죠.

 

웹서버에서 하드웨어 스팩과 망 품질을 올리는것 외에는

솔직히 눈에 띄게 최적화는 어렵습니다.

 

현실적인 부분을 타협하자면

DATA 서버와 DB 서버를 분할하는정도?

 

근데 이정도는 검색하셔서 충분히 아실듯 하네요.

주로 서버 대역폭입니다. 큰 대역폭을 구입하시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100Mbps 대역폭의 서버는 초당 최대 100억 비트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서버 투자인데 서버 투자만 아끼지 않으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검토해보시는건 어떨까 합니다.

 

로드밸런서 설정: Vultr나 Linode와 같은 호스팅 업체에서 제공하는 로드밸런서 서비스를 활용하거나, Nginx, HAProxy 등의 소프트웨어 로드밸런서를 설치하여 설정.

 

서버 확장: 필요에 따라 여러 대의 가상 서버를 생성하고 애플리케이션을 배포. 이 서버들은 로드밸런서에 등록되어 트래픽을 분산받게 됨.

 

데이터베이스 처리: 대규모 사이트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처리도 중요함. 데이터베이스 서버도 적절하게 확장하고, 필요하다면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나 샤딩(sharding)을 고려할 수 있음.

 

캐싱 및 CDN 활용: 정적 파일에 대한 요청을 최소화하기 위해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을 사용하거나, 캐싱 서버를 도입하여 동적 콘텐츠에 대한 부하를 줄일 수 있음.

 

모니터링 및 스케일링: 서버 및 인프라스트럭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서버를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자동 스케일링을 구현.

 

로드밸런서와 인프라 아키텍처의 구성은 애플리케이션의 특성과 요구사항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구성은 프로젝트의 규모와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답변을 작성하시기 전에 로그인 해주세요.
전체 0
QA 내용 검색
  • 개별 목록 구성 제목 답변작성자조회작성일
  • 질문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주)에스아이알소프트 / 대표:홍석명 / (062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7-34 한신인터밸리24 서관 1404호 / E-Mail: admin@sir.kr
사업자등록번호: 217-81-36347 / 통신판매업신고번호:2014-서울강남-02098호 / 개인정보보호책임자:김민섭(minsup@sir.kr)
© SIR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