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하지 않은 서브도메인 구글 노출현상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연결하지 않은 서브도메인 구글 노출현상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QA

연결하지 않은 서브도메인 구글 노출현상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답변 2

사용하는 빌더

기타

그누보드5(영카트) 버전

5.6.10

사용 PHP 버전

7.4

본문

3068615838_1755606327.9876.jpg

 

위 사진처럼 구글 에서 검색하면 연결 하지도 않은 모르는 api , test 서브도메인으로 

검색 노출됩니다 클릭하면 열리지도 않습니다

정작 메인 도메인은 구글 검색에 노출 되지도 않고 있는 상황인데 답답합니다

이 질문에 댓글 쓰기 :

답변 2

ChatGPT 답변이니 참고해 보세요.

 

서버에 연결 안 된 서브도메인이 구글에 노출되고 있어. 왜 그런거야?

ChatGPT의 말:

서버에 연결되지 않은 **서브도메인(subdomain)**이 구글 검색 결과에 노출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가능성이 있습니다:


✅ 1. 과거에 해당 서브도메인이 살아있던 시점에 크롤링된 경우

  • 해당 서브도메인이 과거에는 서버와 연결되어 있었고, 콘텐츠가 있었기 때문에 Googlebot이 크롤링해서 색인했을 수 있습니다.

  • 서버에서 내렸거나 서브도메인을 삭제한 이후에도, 구글 검색 결과에는 캐시나 색인 정보가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 예: test.example.com 이 예전에 살아있었고 콘텐츠가 있었음 → 이후 비활성화 → 그래도 구글 검색 결과에는 남음


✅ 2. 외부 링크나 백링크로 인해 색인이 유지되고 있는 경우

  • 다른 웹사이트에서 해당 서브도메인으로 링크를 걸어 놓았을 경우, 구글은 여전히 이 URL을 "중요한 리소스"로 간주하고 색인을 유지합니다.


✅ 3. 사이트맵(sitemap)이나 robots.txt에 여전히 포함되어 있는 경우

  • 메인 도메인의 사이트맵이나 robots.txt 파일에 해당 서브도메인의 URL이 들어가 있으면, 구글은 이를 기반으로 색인을 계속 시도할 수 있습니다.


✅ 4. DNS는 살아 있으나 웹 서버만 연결 안 된 상태일 수도 있음

  • DNS 레코드는 살아 있고 IP도 반환하지만, 웹 서버에서 해당 서브도메인을 처리하지 않거나 404/502 등의 오류만 주는 경우에도 색인이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 해결 방법

  1. Google Search Console에서 해당 서브도메인을 등록하고, URL 제거 요청:

  2. robots.txt 파일 수정 (가능한 경우):

    • 해당 서브도메인에 접근 가능한 경우:

      
       

      User-agent: * Disallow: /

    • 하지만 이미 색인된 항목을 지우진 않음. Search Console 제거 도구와 병행해야 함.

  3. HTTP 응답을 404 또는 410으로 명확히 처리

    • 404: Not Found → 일반적인 삭제

    • 410: Gone → 구글이 더 빨리 색인 제거함

  4.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검색 결과에서 사라질 수도 있음

    • 보통 몇 주 ~ 몇 달 소요


필요하다면 해당 서브도메인 URL 알려주면 더 구체적으로 도와줄 수 있어요 (예: 어떤 응답을 주는지, 현재 색인 상태 등).

나의 말:

1~4번 케이스 모두 아니야. 그냥 한번도 연결 안 한 서브도메인양.

ChatGPT의 말:

좋은 정보야. 말씀해주신 대로 한 번도 연결된 적 없는 서브도메인인데도 구글에 노출되고 있다면, 아래와 같은 비정상적이거나 예외적인 이유가 있을 수 있어요.


? 가능성 있는 원인들 (한 번도 연결한 적 없는 경우)

✅ 1. 외부에서 추측하거나 오타로 링크된 경우

  • 예를 들어 blog.example.com 같은 흔한 패턴의 서브도메인은 누군가가 블로그나 포럼 글에 "그럴 듯하게" 링크했을 수 있어요.

  • 구글은 이 링크를 따라가서 해당 URL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확인하기도 전에 색인을 시도하는 경우가 있음.

예: 누군가 "https://dev.example.com" 을 게시글에 썼는데, 실제로 그건 만든 적이 없음 → 구글이 그 URL을 발견하고 크롤링 → 색인 시도


✅ 2. DNS는 설정되어 있으나 웹 서버가 없거나 연결 안 된 경우

  • 서브도메인을 따로 설정한 적은 없어도, *.example.com 와일드카드 DNS 레코드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존재하지 않는 서브도메인도 IP를 반환할 수 있어요.

  • 이 경우 구글은 해당 URL이 살아있다고 판단하고 크롤링을 시도해 색인할 수 있음.

? 확인 방법:


 

nslookup yoursub.example.com

  • IP가 나온다면, DNS 차원에서 유효한 것으로 판단됨


✅ 3. 서버가 기본적으로 200 OK 응답을 주는 경우

  • 와일드카드 서브도메인 요청에 대해 웹 서버가 "존재하지 않음" 처리를 안 하고 기본 페이지 (200 OK) 를 응답할 경우, 구글은 콘텐츠가 있다고 착각해서 색인할 수 있어요.

? 이것은 굉장히 흔한 문제입니다, 특히 Nginx나 Apache가 "디폴트 페이지"를 띄우도록 설정된 경우.


✅ 4. 공격자 또는 스패머가 의도적으로 링크를 퍼뜨린 경우

  • 드물지만, 경쟁자나 스패머가 색인을 유도해서 SEO 스팸이나 부정행위를 시도하는 경우도 있어요.

  • 이 경우 이상한 URL이 생기고, 구글이 그걸 크롤링하는 현상이 생길 수 있음.


✅ 해결 방법 요약

조치 설명
? DNS 확인 *.example.com 와일드카드 DNS가 설정되어 있다면 삭제
? 서버에서 404 또는 410 응답하도록 설정 존재하지 않는 서브도메인은 무조건 에러를 반환
? Search Console에서 색인 제거 요청 해당 URL을 제거
? 서버에서 기본 응답이 200 OK인지 확인 없는 서브도메인 요청에 200 응답 주면 안 됨

➕ 원하면 도와줄 수 있는 것

  • DNS 설정 분석 (nslookup, dig)

  • 서버 응답 분석 (curl, wget)

  • 구체적인 URL이 있다면 어떤 색인 상태인지 추정


필요하면 직접 확인해볼 수 있는 도구나 명령어도 알려줄게. 특정 URL 예시를 줄 수 있으면 더 정확하게 진단 가능해.

답변을 작성하시기 전에 로그인 해주세요.
QA 내용 검색
질문등록
전체 129,102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