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마 내가 구상한 프로젝트를 AI 처음부터 끝까지 완성시켜 주겠다라고 정보
설마 내가 구상한 프로젝트를 AI 처음부터 끝까지 완성시켜 주겠다라고
본문
생각하신건 아니죠?
AI를 사용하면 할수록 어떤 생각이 드냐면요
개발에 대한 진입 장벽을 높였다라는 생각이 드는건 왜일까요?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어떤 정형화된 결과물들... 예를 들어 to-do list 라던가? 테트리스 라던가?
이런 프로그램들은 기가 막히다 못해 디자인 까지 완벽하게 몇분 정도면 실행해 볼수 있을 정도의 결과물을 만들어 줍니다.
그렇지만 조금만 생각해야 되는 문제들 ... 은 글쎄요.
같은 맥락인지는 모르겠지만
일론머스크가 핸들이 없는 자동차를 생산한다고 했었나요?
그래서 그런 행정적인 절차들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트럼프랑 손을 잡았다는 얘기를 얼핏 들었는데요
저는 자동차가 도로가 잘 닦여진 길만 다닌다고 보진 않습니다
캠핑을 가기 위해 오지를 가야 하는 경우도 생기구요
또는 대로변에 사고가 나서 옴짝달싹 하지 못하는 경우도 생길수 있다고 봅니다
이럴때 핸들 없는 차가 어떻게 빠져 나갈수 있는지 도무지 감이 잡히지 않는데요
저는 자율주행차를 접해보지 않아 어디까지 진행이 됐는지는 모르지만 항상 어떤 일에는 변수가 생기는 법이라고 생각하구요
프로그램도 동일선상에서 생각을 하는 편입니다
앞으로 시니어의 개발 능력은 더 향상될 것이고, 신입은 정말 어디라도 들어가는게 굉장히 어려워지는 시대가 될것이라 생각합니다.
인원수로 개발하던 시대는 가고 경험으로 개발하는 시대가 될것이라 봅니다.
4
댓글 3개

보안 프로그램 제작하는 대표님도 그제 이야기를 들어보니
CTO 가 이제 신입 개발자는 안뽑고 시니어만 뽑는다고 하고
60명 넘는 직원을 제작년 기준으로 40명 수준으로 줄이고
작년 수준에서 30명 수준으로 줄였다고 하더라구요
말씀하신대로 시니어는 날개를 달고 있고
쥬니어 개발자는 발도 못붙이는 현상이
이제 주변에서 현실로 하나씩 다가오고 있습니다.

동의합니다.

나이들면 치고올라오는애들한테 잡힐꺼라생각했는데 여전히 그들은 노력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