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RO 유료화 후 > AI

AI

KIRO 유료화 후 정보

KIRO 유료화 후

본문

약 2주간 토큰이 없어질 때 까지 하루에 8시간씩 수정을 했습니다.

 

지난 금요일에 유료화하라고 해서, 오늘 40불 플랜으로 할려고 했더니,

 

월말로 끊는다고, 16불정도만 내라고 하네요.  남은 기간동안 받은 Vibe 코딩 갯수가 181개 (40불이 225개)

오늘 반나절 수정하는데 50%를 사용했네요.

 

사용법이 거의 패턴이었으니,  지난 무료기간은 거의 하루에 200개의 바이브토큰을 사용했다고 봐야 되겠네요. (무료 기간이 이번달말까지만 주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긴하지만.)..

그런데 아래에 Overages가 있는데,  바이브 요청당 4센트이면 $200짜리 2250*0.04 해도 90불이면 되네요
(이전 글 참조 https://sir.kr/cm_free/1715131 )

스펙작성이 $0.20인데,  지금까지 작업을 보면,  스펙작성은 하루에 한번 아니면 두번정도 하고,  나머지는 틀린 부분 수정해줘, git commit해줘(이것도 바이브 요청에 들어가는 것 같으),  코드 Verification 해줘등이 들어가네요.   $40불이나 $20불 플랜에(여긴 바이브 요청당 가격이 더 비싸질려나? 같다면 스펙은 20불정도도 충분하니 Overages를 키고 사용하는 것이 비용 절약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한번 뭐 해줘하면, 모든 코드를 찾아서 해당되는 곳을 찾다 보니,  이 때 엄청 많은 바이브 요청이 사용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원하는 부분을 딱 집어서 수정해 달라고 해야 바이브 요청을 줄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리자 님 글 보면 현재까지 써본(많이 써보진 않았지만.) 경험으로 보면,  80-90%는 대부분의 바이브 코딩이 만들어 주는데,  나머지 10%, 5%를 딱 집어서 수정하고, 구현하는 것은 아마도 어느정도의 능력과 문제점 파악을 할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2886372021_1755619257.2984.png

 


 

추천
0
  • 복사

댓글 9개

은근히 스테레스 받네요.
오후 프로젝트는 좀 더 정확하게 파일 위치 및 수정해야 될 부분등을 알려주고,  2가지 정도를 고쳤습니다.   (스펙 갯수가 늘고, 바이브 요청은 많이 줄였네요.)

 

930d8e8702cec82b792c0f249eca39c2_1755631295_6513.png

@똥싼너구리 결과가 더 중요하지 않을까요?    지금 커서 무료 버전(내일이 마지막)이라서 써보고 있는데, 같은 내요이 계속 반복되네요.  

@마젠토 같은 내용이 반복되는것은 커서 아주 예전에 챗이 길어지면 그렇게 동작하던 경험이 있었습니다.

그뒤로 다 수정된 걸로 알고 있는데 아직도 그런 현상이 발생하는군요.

@똥싼너구리  contents summarizing이 너무 자주 나오고,  그 다음엔 이전에 지시했던것을 까먹는 경향도 너무 많고..   그래서 관여를 더 많이 해야 되네요.

KIRO는 요청을 줄여볼려고 수작업을 했지만,  커서는(무료 체험기간) 너무 반복해서, 수작업을 ㅠㅠ.

혹시 GPT5는 사용해 보셨나요?  처음에 엉망이라서 테스트해 보고 안썼는데,  요즘은 좋아 졌다고 해서..   한번 리팩토링을 시켜볼까 해서..

 

20불 내면, Codex로 사용가능한지요?

@마젠토 저는 GPT5 딱 한번 써보고 바로 변경해 버렸습니다.

완전 별로였거든요

 

저는 커서 200불 요금제 사용합니다.

그래서 Limit 제한없이 사용가능한지도 모르겠습니다.

가끔 summarizing 하긴 하는데

 

기존에는 요약하지 않고 버벅거렸던데 비해

알아서 길어지면 요약해 주니 좋더라구요

그리고 전체 컨텍스트의 몇프로 사용중인지 하단에 실시간으로 보여서

80% 이상 차고 어느정도 구현을 마무리 했으면

했던 내용을 잘 정리해서 지식베이스로 업데이트 하고

새롭게 대화를 시작합니다.

 

제가 이것저것 처음부터 많이 써보면서 느낀점은

프로젝트 하나를 재대로 끝내려면 어마어마한 양의 토큰을 소비해야 하고

20달러 짜리 토큰으로는 프로젝트의 디테일한 부분까지 구현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 됩니다.

그래서 200달러로 결제하고 사용하지만

어떤 부분에서는 삽질 하는 경우도 있고 잘 안되는 부분도 있지만

(사실 너무 불필요하게 코드를 복잡하게 짜는 경향이 있습니다.)

적절히 잘 코칭하면 결국 마무리는 됩니다.

 

결국 프로젝트가 마무리가 되는가 안되는가 인데

저는 프로젝트 마무리를 위해서 돈을 좀 투자 하자는 생각입니다.

 

결과적으로 모든 프로젝트가 AI를 통해 하나씩 잘 마무리 되고 있긴 합니다.

 

@똥싼너구리  GPT5가 좋으면 유튜브의 알고리듬에 따라 여러개 나올텐데,  하나도 안나온것을 보면,  

그런데 채팅방에  커서가 못해준것을 GPT5가,   1000줄짜리 리팩토링 한번에 끝냈어요 등이 나와서..    좋아졌나해서요..

KIRO나오면 꼭 비교해 보세요.

5ad3c0e97a56daf1d508b9578b9862a8_1755785909_1467.png

 

요청 한번 했다가 vibe 100개나 나가 버렸네요 ㅠㅠ

로직수정 요청했더니, 수정하고 테스트하고 몇번하더니 순식간에 100 vibe가.. 

@라엘 위에도 적었지만,  잘못 요청하면 50-60개 날라갑니다.
그래서 이것을 줄일려면,  대략적인 에러나는 위치가 어디인데, 여기서 픽스해줘 하면 줄일 수가 있습니다.

 

94개 써서 하나 고쳤는데,  오후에는 15개만 써서 2개 수정했습니다.  ㅎㅎ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