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좀 더 명확한 해답이 나왔네요.. > AI

AI

이제 좀 더 명확한 해답이 나왔네요.. 정보

이제 좀 더 명확한 해답이 나왔네요..

본문

 

기존 커서 에디터 사용시

Sonnet4 모델만 사용했습니다.

뭔가 되긴 하는데 길어지면 삽질을 시작하고 정확하게 알려주지 않으면 

딴짓을 해서 롤백 하기 일수이고

잘못하면 기존의 코드를 다 망가뜨려 놓는 경우도 있어서

이걸 삽질하기 위해서 토큰 소모를 엄청나게 합니다.

----

[Claude code Opus]

MAX 요금제를 쓰기 때문에

클로드 코드를 사용하면 opus 모델을 쓰게 됩니다.

하지만 이것도 시간제한이 있긴 합니다.

opus는 좀 더 추론이나 이런것들이 똑똑해서

대충만 말해도 소스코드를 보고 뭘 원하는지 아는것 같고

내가 다음에 뭘하고 싶을지도 파악해서 제시해 줍니다.

그래서 비싸긴 하지만 오히려 토큰 소모가 덜하고

시간도 줄여 줍니다.

-----

[Claude code Sonnet]

이 경우도 제가 체감상 느끼기에는 커서보다는 좀 더 효율적인것 같습니다.

동일한 소넷을 활용하지만 조금더 코딩에 특화된 처리가 가능한것 같습니다.

-----

 

결론...

코딩같은 고성능 작업은

그냥 비싼거 쓰자... 입니다.

 

싼거 쓰면 어차피 삽질하면서 토큰 어마어마하게 소비합니다.

그만큼 스트레스도 심하고 시간 낭비도 심합니다.

 

그리고 하나 더,

지금 처럼 룰북에 지식베이스 구축에 복잡한 설정등

너무 많은 지식베이스를 구축하지 말자 입니다.

이렇게 구축하면 상황에 따라서 토큰 소비량이 증가하게 되고

많은 내용을 집어 넣어봐야 재대로 수행하지 않더라구요

정말 핵심 적인 내용만 지식베이스로 구축하고

나머지는 AI 알아서 해당 코드를 읽어서 알아가는걸로 하는게 더 효율적이네요..

----

저는 많이 쓰다보니 지식베이스를 꼼꼼하게 구축해서 잘 활용하면

AI가 더 똑똑해지지 않을까? 생각을 했었는데..

그래서 지식베이스 구축에도 많은 토큰을 소비했었는데

 

지식베이스 구축은 적당히만 하는게 도움이 되는것 같습니다.

추천
1
  • 복사

댓글 7개

딱필요한 만큼만 필요한 부분만 전달해야 명쾌한 답이 돌아오더라구요 당연한 결과겠지만요...맥락도 크면 오히려 엉뚱한 결과를 가져옵니다

@nekoieye 저는 요즘 파일 하나하나 수정 하는 것을 하지 않고

그냥 전체적인 그림을 그려주고 그대로 구현 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중간에 잘못가면 방향 전환시켜주고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1. 코딩같은 고성능 작업은 그냥 비싼거 쓰자

2. 지식베이스 구축은 적당히만

 

감사합니다. 꽁으로 한수 배웁니다. ^^: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